독일 Kiel운하를 항해하는 핀란드해군 Pohjanmaa 급 기뢰부설및 훈련함이 지난 6월 3일 독일 Kiel운하 동쪽 지역을 항해하고 있습니다.
Pohjanmaa급 기뢰부설함 (핀란드어 Pohjanmaa-luokan miinalaiva)은 핀란드해군이 운용하는 기뢰부설용 함정으로 현재 핀란드해군의 기함입니다.

극지방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ICE-1A 급 쇄빙선처럼 북극의 얼음을 깨며 항해할 수 있어 일년내내 운용이 가능합니다.기뢰부설함이라고 하지만 실제는 지휘함으로 사용하며 해군사관학교 교육생들의 훈련함으로 매년 해외순방도 실시합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1979년 취역한 Pohjanmaa급 minelayer/training함은

원양 기뢰부설 작전능력이 있으며 일시적으로

기뢰적재텍크에 70여명의 병력을 수용하여 훈련함으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제원
만재배수량: 1,450 tons
길이: 78.6 m
함폭: 11.2 m
홀수: 3.3 m
추진기관: 2 × Wärtsilä Vasa 16V22 diesel; 4,280 kW (~5,800 hp) with propellers
속도: 18 - 19 knots
항속거리: 3,500 nm (6,500 km)
승조원: 70 명 (훈련함 120 명)

센서류:
Signaal DA05 radar
Philips 9LV 220 FCS
Simrad hull-mounted sonar

전자전장비및 기만장비:
Decoy: Philax chaff and IR flairs
ESM: Argo Systems radar warning system

무장:
1 × Bofors 57 mm/70 Mk1
1 × Bofors 40 mm/70
2 × Sako twin-barrel 23 mm/87 (modified ZU-23-2)
2 × NSV 12.7 mm machine guns
2 × rails for depth charges
4 × rails for 150 mines (Sea Mine 2000)
항공기적재수: Helicopter landing pad

보유함: FNS Pohjanmaa (01)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독일 Kiel운하를 항해하는 핀란드해군 Pohjanmaa 급 기뢰부설및 훈련함

                             지난 6월 3일 독일 Kiel운하 동쪽 지역을 항해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벨기에가 인수한 네덜란드 M급 Karel Doorman 프리깃 2척,

  BNS F930 Leopold I 함과 F931 Louise Marie호

6월 29일 열린 벨기에 Navy day's Zeebrugge에 항구에 정박하고 있습니다,

2005년 7월 벨기에 정부는 네덜란드가 칠레에 매각후 남은

 Karel Doorman 급 프리깃 6척중 2척을 인수하여

현재 운용중인 Wielingen급 프리깃 Wielingen 함과 Westdiep함을

불가리아로 인도하면서 대체하기로 합니다.
2005년 12월 Karel Doorman (F827)과 Willem Van Der Zaan (F829)을 구입한

벨기에 해군은 Leopold I (F930) 과 Louise-Marie (F931) 로 명명하며

2007년과 2008년 재취역하였습니다.

M-급 프리깃은

척당 대략 110백만에서 120백만유로로 합계 220~240백만 유로에 도입하는 것입니다.
동시에 벨기에는 수송및 수색구조용(SAR)으로 10대의 NH-90 해군형으로 도입키로 하는데

이는 7대의 SA318 Alouette II/III 과 3대의 Sea King Mk48 헬기를 대체하면서

네덜란드로부터 도입하는 M급 프리깃함에 탑재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함의 비행갑판을 강화하는 개수작업을 실시하였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BALTIC함대 소속 Geyzer함과 Passat 함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BALTIC함대 소속 Geyzer함과 Passat 함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BALTIC함대 소속 Geyzer함과 Passat 함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6월 29일 열린 벨기에 Navy day's Zeebrugge에 참가한 러시아 해군의 Nanuchka급 콜벳 RFS 560 Zyb호와 RFS 570 Passat호가 항구에 정박하고 있습니다,

Project 1234 Nanuchka급 은 미사일탑재 Corvette으로 중무장에 비해 소형함에 속합니다.
놀랄만한 무장과 전자장비를 갖추었슴에도 가격적으로 상당한 메리트가 있으며 최초 건조한 Nanuchka I 형은 모두 폐기되었고 III/IV급이 유지되고 있으며 배치내역은 발틱함대 4척, 흑해함대 2척, 북해함대 4척과 태평양함대 4척등 총 14척인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1234.1은 Nanuchka III급 개발명칭입니다.

Nanuchka급 은 연안용으로 건조된 초계함으로 Nanuchka I이 처음 모습을 드러낸 것은 1969년 지중해와 북해였으며 Nanuchka III가 1978년 태평양에서 등장합니다. Nanuchka II는 Nanuchka I의 수출형으로 개조된 함정입니다. 수출용은 무장에서만 약간의 차이가 있는것으로 I/III형에 비해 조금 약한 무장을 갖춘정도입니다. Nanuchka I과 III는 SSM, SAM으로 SS-N-9 과 SA-N-4을 사용하며 수출용 II형은 SS-N-2B 대함미사일을 SS-N-9대신 장비합니다. 또한 I형이 (II형도 마찬가지로) 2연장 57mm 함포를 갖지만 III형은 76mm 함포 1문과 30mm Gatling 기관포를 장착합니다.

제원:
건조조선소: Petrovskiy, St. Petersburg, Russia, Ulis, Vladivostok, Russia
만재배수량 : 730-770 tons
속도 (kts): 34
선체길이 (m): 59.3 meters
함폭 : 11.8-12.6 meters
홀수 : 2.4-2.9 meters
추진기관 : 3 diesel. turbines 3축 추진
출력 : 32'000 hp
승조원: 60
무장:
미사일 : 6기 P-120 Malakhit (SS-N-9 Siren) 2연장 대함미사일, 6기 SS-N-25 Switchblade (2 sextuple) - Nanuchka III 급 탑재 혹은 SS-NX-26 Oni  ks/Yakhont SSM - Nanuchka IV 급에만 탑재
1기 Osa-M (9M-33/SA-N-4 Gecko) 대공미사일발사기 - 미사일 20기 탑재

함포: 2연장 57-mm/80-cal AA 1문 - Nanuchka I 급, 1문의 AK-176 DP (76 mm) - Nanuchka III과 IV급, 1문의 6연장 AK-630 캐틀링포 AA (6 x 30 mm포로 분당 6'000rds/m 사격) - Nanuchka III 과 IV 탑재

레이더시스템:
Surface: Peel Pair,
Air & Surface: Band Stand, Plank Shave (Nanuchka III units) - Titanit/Band Stand SSM targeting
Navigation: Unknown
Fire Control: Bass Tilt (Nanuchka III), Pop Group - MPZ-301 Baza/Pop Group SA-N-4 control

대응장비 :
EW: Vympel-R2 suite with Foot Ball-A intercept, Half Hat-B intercept, 2 PK-16 decoy RL, 4 PK-10 decoy RL in some


현재 운용중인 함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Operational ships.
Ship Shipyard Commission Fleet
◇ Aysberg (535) 30.9.1979 NOR Laid: 14.4.1976. 1.12.1979 entered NOR. 20.9.1989 - 14.11.1990 overhaul at SRZ-82, Roslyakovo.
◇ Geyzer (555) Leningrad SSZ 27.12.1989 BAL Laid: 21.12.1987. 28.2.1990 entered BAL. 1999 visited Sweden. 07.2006 visited Germany.
◇ Rassvet (520) Leningrad SSZ 28.12.1988 NOR Laid: 29.9.1986. 1.3.1989 entered NOR. 1995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 Moroz (409) Vladivistok SSZ 30.12.1989 PAC Laid: 30.10.1984. 28.2.1990 entered PAC. 1999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 Zyb' (560) 26.9.1989 BAL Laid: 26.8.1986. 31.10.1989 entered BAL.
◇ Liven (551) Vladivostok SSZ 25.12.1987 PAC Laid: 6.7.1983. ex - «XX s'ezd VLKSM » (14.4.1987), ex -«Inei» (15.2.1992). 9.2.1988 entered PAC.
◇ Meteor (590) Leningrad SSZ 31.12.1987 BAL Laid: 13.11.1984. 19.2.1988 entered PAC. 12.10.1995 - 20.6.1996 overhaul at Riga SSZ (Latvia).
◇ Mirazh (617) 30.12.1986 BLS Laid: 30.8.1983. 24.2.1987 entered BLS.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7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09.2004 crew transferred their salary to Beslan Fund.
◇ Passat (570) 6.12.1990 BAL Laid: 27.5.1988. 14.3.1991 entered BAL. 07.2006 visited Germany.
◇ Shtyl (620) 31.12.1978 BLS Laid: 28.6.1976. ex- «Komsomolets Mordovii» 16.2.1979 entered BLS. 1984, 1989, 1990, 1991, 1993, 1998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 Smerch (423) Vladivostok SSZ 30.12.1984 PAC Laid: 16.11.1981. 4.3.1985 entered PAC.
◇ Tucha (533) 31.7.1980 NOR Laid: 4.5.1977. 24.10.1980 entered NOR. 1995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 Razliv (450) Vladivostok SSZ 31.12.1991 PAC Laid: 1.11.1986. 11.2.1992 entered PAC. 1999 awarded by CINC prize for missile trainings.
◇ Nakat (526) 30.9.1987 NOR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독일 Kiel항에서 열린 Kiel-Week기간중Kiel 운하에서 해상퍼레이드를 실시하고 있는 독일해군 Type 143A Gepard급 미사일정 FGS PUMA S72 (P6122)와 FGS OZELOT S78 (P 6128)호.
6월 26일부터 29일 사이 촬영된 사진입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사진은 지난 6월 27일 지브랄타항을 방문한 L-801 Johan de Witt 입니다.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네덜란드해군의 두번째 LPD형 상륙함으로

스페인과 함께 개발한 Rotterdam급 L800 도크형 수송상륙함의 확대형으로

첫번째 상륙함 로테르담이 취역한 1998년이후 거의 십년만에 취역한 후속함입니다.
주임무는 수송과 상륙전으로 완전 무장한 대대급 해병대를 헬기와 상륙정을 이용하여

목표지역에 상륙시킬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402명의 Combined Joint Task Force facilities (CJTF)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 임무로 군수지원이나 재해구호품의 공급등입니다.

또한 의료및 외과시설을 확대할 수 있는 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

전반적인 수송능력등은 기존의 로테르담급보다 2배정도 향상되었습니다.
로테르담급이 12,000톤의 만재배수량을 가지는데 비해 16,000톤으로 배수량이 증가하였으며

길이도 17m 늘었습니다.

사진은 지난 6월 27일 지브랄타항을 방문한 L-801 Johan de Witt 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Flyvefisken급 초계정은 덴마크가 14척을 건조한 다목적 함정으로 Standardflex 300 혹은 SF300급 이라고도 부릅니다. 선체는 FRP (fibre-reinforced plastic) 센드위치 구조로 되어 있으며 모듈식이라는 획기적인 건조방식을 적용하여 기본선체에 컨테이너화한 무장시스템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목적으로 변신이 가능합니다.
컨테이너 교체에는 48시간이 소요되며 이렇게 변경을 함으로써 수행 가능한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색
-수상전투
-대점전(ASW)
-기뢰 대응및 소해이무 mine countermeasures/minehunter
-기뢰부설 minelayer
-오염 통제

HDMS Støren P555호가 6월 9일 영국 Portsmouth항을 출항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컨테이너는 3.5x3x2.5 m 크기로 1개는 앞갑판, 3개는 함교와 연돌뒤의 뒷갑판에 적재합니다.
수중 음파 탐지기, 레이더를 포함한 모든 장비가 표준으로 장착되며 C3I(command control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시스템이 통합되어 있습니다.
1985년부터 95년사이 총 14척이 건조되었으며 그중 P556 함은 2006년 퇴역후 스크랩처리되었으며 Flyvefisken P550호와 Hajen P551 2척은 지난 5월 Lithuania에 판매되어 현재 11척이 덴마크해군에서 운용되고 있습니다,.

HDMS Støren P555호가 6월 9일 영국 Portsmouth항을 출항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명 및 취역시기
KDM Flyvefisken (P550) 19DEC1989 - 2007. 5월 Lithuania에 판매
KDM Hajen (P551) 19AUG1990 - 2007. 5월 Lithuania에 판매
KDM Havkatten (P552) 01NOV1990
KDM Laxen (P553) 12MAR1991
KDM Makrelen (P554) 04OCT1991
KDM Støren (P555) 24APR1992
KDM Svaerdfisken (P556) - 2006년 8월 퇴역
KDM Glenten (P557) 01FEB1992
KDM Gribben (P558) 01JUL1993
KDM Lommen (P559) 21JAN1994
KDM Ravnen (P560) 07OCT1994
KDM Skaden (P561) 10APR1995
KDM Viben (P562) 15JAN1995
KDM Søløven (P563) 27MAY1996

HDMS Støren P555호가 6월 9일 영국 Portsmouth항을 출항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승조원: 19-29 명으로 임무에 따라 변경

선체치수
만재배수량: 480 tons
길이: 54 m (177.2 ft)
함폭: 9 m (29.5 ft)
홀수: 2.5 m (8.2 ft)

추진기관 : 디젤엔진과 가스터빈 겸용
1 × General Electric LM500 가스터빈 4066 kW (5450 hp)
2 MTU 16V 396TB94 디젤 4226 kW (5440 hp)
1 GM 12V-71 보조용 디젤엔진, 373 kW (540 hp) Hydraulic 추진시 사용
3 GM 6-71 디젤발전기


오데사를 방문한 P561 Skaden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Hals를 방문한 P561 Skaden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속도:
최대 : 30 kt (디젤과 가스터빈 겸용시);
순항 : 디젤엔진만 사용시 20 kt
경제 : hydraulic 추진시 7 kt
항속거리 : 3860 km at 18 kt

무장 - 모듈별 적용시
Boeing RGM-84 HarpoonBlock II SSM 8연장 발사기 - 수상전투임무시
Sea Sparrow SAM 최대 6연장 Mk 48 Mod 3 l수직발사기 - 대공임무시
OTO Melara 76 mm/62 함포 1문, 포탄 120발 - 기본무장
12.7 mm 기관총 2문
21in (533 mm) 어뢰발사관 2기,

Bofors TP613 형 유선유도어뢰 장착 - 수상전투임무시
기뢰부설용 레일/ 기뢰 60발 - 대잠전 수행시, 대잠어뢰도 탑재

발틱해를 항해중인 Gribben (P558)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Almirante Padilla 급 프리깃은 콜롬비아해군이 운용하는 주력함으로 Blohm + Voss FS 1500급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독일 Kiel에 있는 Howaldtswerke에서 4척을 건조하여 도입하였습니다.
유사한 동급함 2척이 말레이지아 해군용으로 건조되어 Kasturi 급으로 도입되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반제원
기준배수량 : 1,850 tons
만재배수량 : 2100 tons
길이: 99.1 m
함폭: 11.3 m
홀수 : 3.7 m
추진기관: 2 축추진 MTU 20V 1163 TB92 디젤엔진 4기 23,400 hp
속도: 27.0 knots
항속거리: 7000 nm / 14 knots
승조원: 92 명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무장
Aerospatiale MM 40 Exocet 대함미사일 8연장 발사기
Simbad SAM 대공미사일
OTO Melara 3 in (76 mm) /62 cal compact 함포 1문
Breda 40 mm /70 2연장 함포 1문
324 mm Mk 32 3연장 어뢰발사관 2기
기만장비: CSEE Dagaie 발사기 2기
EW 장비 : Phoenix intercept, Scimitar jammer,
탐색레이더: Thomson-CSF Sea Tiger
사통장비: Castor II B
소너시스템: Krupp Atlas Elektronik ASO 4-2 (Hull Mounted)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헬기: MBB B-105 CBS-5, 혹은 Eurocopter AS-555 Fennec 헬기 1대

보유함정
Almirante Padilla (FM-51) - 1983년 10월 31일 취역
Caldas (FM-52) - 1984년 2월 12일 취역
Antioquia (FM-53) - 1984년 4월 30일 취역
Independiente (FM-54) - 1984년 7월 27일 취역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콜롬비아 해군은 자금이 허락하면 동급함들의 업그레이드를 검토중인데

                     엔진을 개장하고 이스라엘제 Barak SAM 시스템의 탑재를 원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Almirante Padilla급 경 프리깃은 콜롬비아해군이 운용하는 주력함으로

                                           Blohm + Voss FS 1500급을 바탕으로 개발된 주력함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IMAGE 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페르시아만에서 훈련중인 이탈리아 항모등 다국적함대 모습


Combined Task Force (CTF) 150는 다국적 우방해군의 함대로 Operation Ebduring Freedom를 수행하기 북부 아라비아해 페르시아만과 Oman해의 Aden만, 홍해등에서 임무를 수행중입니다.
CTF 150 소속으로 Operation ALTAIR 참가하여 항진중인 캐나다 해군과 다국적 함대 모습입니다.
바레인,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파키스탄, 미국, 캐나다에서 함정 10~15척이 참여하여 CTF 150 소속으로 Operation ALTAIR 작전을 수행입니다.

이탈리아해군의 경항모 Giuseppe Garibaldi (CVH-551)호와 임무수행중인 Harrier 전투기도 보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Tikuna은 브라질 해군이 도입한 독일 Howaldtswerke-Deutsche Werft (HDW) 사의 209급 잠수함의 한형식인 연안용 잠수함 Type 209/1400급 잠수함으로 브라질은 Tupi급을 개량하여 도입한 신형잠수함입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upi급은 5척을 도입할 계획이였으나 브라질 해군이 더 개량된 잠수함을 요구하여 4척만 건조된 후 사업이 종료되었고 이후 Tikuna급으로 명명된 개량형 Type 209 1척을 2005년 진수하여 도입 운용하고 있습니다. 2번함 Tapuia호는 예산부족으로 건조가 취소되어 현재 유일하게 운용되는 함정이기도 합니다.
S-34 Tikuna는 함길이가 0.85m 연장되었고 센서류를 중심으로 추가 장비가 탑재되며 배수량도 1,550톤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앞서 건조되어 취역한 브라질해군의 Tupi급 209/1400급 잠수함 일번함 Tupi (S30)호는 1989년 최초로 브라질해군에 취역하며 나머지 함은 브라질의 Rio de Janeiro에 있는 Arsenal de Marinha 해군조선소에서 건조되어 Tamoio (S31)가 1994년, Timbira (S32)호가 1996년에 그리고 마지막함인 Tapajo (S33)호가 1999년 취역하였습니다.
Tupi급은 BAE Systems이 개발한 Mk24 Tigerfish Mod 1 혹은 Mod 27 어뢰를 발사할 수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Tupi급 (Type 209/1400)과  Tikuna급 제원

승조원 Improved Tupi - 40명 / Tupi - 장교 8명 포함 30명
수상배수량 Improved Tupi - 1,850t / Tupi - 1,260t
수중배수량 Improved Tupi - 2,425t / Tupi - 1,440t 
길이 Improved Tupi - 6.7m / Tupi - 61m 
함폭 Improved Tupi - 8m / Tupi - 6.2m 
함고 5.5m
수상속도 혹은 Snorting 속도 : 10kt
수중속도 : 24kt
수상항해시 항속거리 : Improved Tupi - 11,000 miles / Tupi - 8,000 miles
수중항속거리 : 400 miles

무장시스템
어뢰발사관 : Boe에 8문의 533mm 발사관, 자력추진 발사식  
어뢰 8기는 즉시 발사가능 장전, 재장전용 8기 탑재
IPqM 어뢰사거리 18km, 속도 45kt
Tigerfish Mod 1 혹은 Mod 27 어뢰사거리 14km 에서 40km, 속도 25kt 에서 40kt
IPqM Mines MCF-01/100 기뢰를 어뢰대신 탑재가능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레이더류 
Weapon Control KAFS-A 10
Radar Warning Receiver DR-4000

센서류
Periscopes 2 x Kollmorgen Mod 76 periscopes
I-band Navigation Radar Calypso III
Hull-Mounted Sonar CSU-83/1 

엔진
Tupi급 디젤엔진: 4 x MTU 12V 493 AZ80 GAA31L
Alternators (Tupi) 4 x Siemens 1.8MW
Motor (Tupi) Siemens 3.4MW motor
Improved Tupi급 디젤엔진: 4 x MTU 12V 396, providing 2.76MW

5월 25일 브라질 Santos항에 정박중인 브라질해군의 신형 209급 잠수함 Tikuna (S34)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프랑스해군 헬기 순양함 Jeanne d'Arc (R97)호가 6월 2일 Seine강을 항해하는 모습입니다.
호위함 D640 Georges Leygues호가 기계 이상으로 귀항하여 홀로히 순방 임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Jeanne d'Arc (R97)는 프랑스해군의 헬기 순양함으로 평화시에는 교육과 훈련목적으로 운용하며 전시나 위기 발생시에는 헬기순양함으로 운용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헬기사이즈와 무게증가로 곤란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Mistral급 헬기운용 강습상륙함의 배치로 2010년전 퇴역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함이력
건조착수: 1959
진수: 1961
취역: 1964
함명변천: La Resolue호로 건조되었지만 1964년 Jeanne d'Arc호로 변경
모항: Brest
예명: "La Jeanne"

일반제원
배수량: 10,575 tonnes
길이: 182 m
함폭: 24 m
홀수: 7.5 m
추진기관: 10,000 마력(7.5 MW) 출력을 가진 증기터빈 4기로 29 420 kW 출력
속도: 28 knots (52 km/h)
항속거리: 3 000 nm/26,5노트, 3 750 nm/25노트, 6,800 nm/16노트, 7,500 nm (14,000 km)/ 15 knots (28 km/h)
승조원: 장교 31명, 하사관 182명, 수병 414 명, 150 cadet officers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센서및 전술시스템:
1 DRBV 22 D
1 DRBV51A
2 DRBN34
1 DRBC32A
1 Sonar DUBV24
1 Inmarsat

전자전 디코이 시스템: Nixie

무장:
Exocet-38 대함미사일 발사기 6기
100 mm 함포 2문(원래 4문이였는데 2000년 철거)
12.7mm 기관총 4문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세느강정도는 되어야 배가 다니든가 말든가 할텐데, 이런 사진을 보고 "우리도 가능해"하고 헛소리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사진들은 세느강을 통해 Rouen으로 향하는 모습인데, 세느강이 과연 어느정도 일까요?
네이버 백과를 참조하면, 총길이는 776km로 영국해협으로 흘러드는 프랑스에서 3번째로 긴 강인데, 발원지가 몽타셀로산으로 고도가 겨우 471m입니다.

강의 너비는 킬레뵈프 부근의 2km에서 점차 넓어져서 르아브르옹플뢰르 사이에서 10 km에 달하며, 그 구간에서는 밀물 때 거센 파도가 일어난다. Rouen까지 조수 간만의 영향이 미치고, 1만 t급의 외양선이 항행할 수 있다.
물길의 해발고도는 수원지에서 불과 51 km 지점인 샤티용에서 215m로 반으로 줄고 몽트뢰유에서는 47m, 파리에서는 26m로 낮아진다. 그와 같이 중류 ·하류에서는 완만한 흐름을 보이고, 또 욘강을 제외하고는 본류 ·지류가 다같이 안정되어 유수량이 연중 대체로 고르다.

파리에서의 유수량은 평균 매초 157m3, 최저 75m3, 최고 1,650m3이다. 흐름이 완만하고 유수량이 안정되어 하구에서 650 km 상류의 바르쉬르센까지 주운()이 가능하고, 특히 루앙과 몽트뢰유 사이의 선박 왕래가 활발하다.

하천의 흐름과 병행하여 오트센 운하외에, 다른 하천과의 사이에도 솜 운하, 아르덴 운하, 마른-라인 운하, 마른-손 운하, 부르고뉴 운하, 오를레앙 운하 등이 통하여 내륙수로망을 이룬다. 센강 유역에는 파리를 비롯하여, 루앙 ·르아브르 등의 대도시가 있고, 그들 도시의 발전은 센강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특히 파리와 센강과의 공존관계가 커서, 센강이 파리의 도시미관에 큰 역할을 하고 있고, 센강의 수운() 발달은 파리 및 파리 분지의 번영에 의해 촉진되고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