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1번 잠수함, 국내 최초 무사고 항해 20만 마일 달성

 

(사진=해군작전사 제공)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인 해군 제9잠수함 전단 소속 '장보고함'(1200t)이 국내 최초로 20만 마일(약 37만 400㎞) 무사고 항해기록을 달성했다. 이는 2003년 무사고 항해 10만 마일 달성 이후 8년 만이다.

해군 9잠수함전단은 지난 3일 경남 창원시 진해군항에서 장보고함 승조원들과 전단 장병이 참석한 가운데 장보고함 무사고 안전항해 20만 마일 달성 축하 기념식을 가졌다고 4일 밝혔다.

1991년 독일 HDW 조선소에서 건조된 장보고함은 지금까지 단 한 차례의 사고 없이 림팩훈련 등 각종 연합과 합동훈련을 포함해 모두 37회의 작전수행 및 동·서해 전방경비 임무를 수행했다.

장보고함의 항해 기록인 20만 마일은 지구를 아홉 바퀴 반을 돌아야 하는 거리이며, 여러 선진 잠수함 운용국에서도 20만마일 무사고 항해기록을 달성한 선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우리해역의 작전환경은 세계 전역에서 잠수함 작전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도 잠수함 운용이 가장 힘든 해역으로 꼽는데 장보고함의 20만 마일 무사고 항해는 어려운 환경 조건들을 극복하고 달성한 값진 성과라고 해군 측은 강조했다.

장보고함이 1997년 국내 최초로 태평양을 횡단해 하와이에 성공적으로 도착을 하자 미 해군 태평양 잠수함사령관은 콜럼부스가 미 대륙을 발견한 것과 같다고 이야기하면서 당시 장보고함장에게 '콜럼부스 킴'이라는 애칭을 선물한 에피소드가 있다.

또 장보고함은 수중 작전의 안전 유지뿐만 아니라 전투형 부대로서 전투역량도 탁월한 역량을 보이면서 2004년 환태평양 연합훈련(림팩)에서 항공모함을 포함해 가상 적 함정 40척을 격침시키는 성과를 거둬 '퍼펙트 장보고'라는 찬사를 받기도 했다.

이 외에도 장보고함은 지난 해 기상악화로 인한 어려운 환경에서 완벽한 어뢰 발사훈련을 실시해 '2010년 9전단 어뢰발사 우수함'으로 선정됐다.

장보고함 작전관 신기현 대위는 "전 부대원이 수중작전을 전제로 하는 잠수함 작전은 '99%는 0이며, 100%만이 완전한 것'이라고 생각하고 근무한다"면서 "완벽을 추구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는 한 앞으로도 잠수함 무사고 항해기록은 계속될 것"이라며 말했다.

장보고함 8대 함장 김원득 중령은 '무사고 안전항해 20만 마일 기록은 9전단과 장보고함에 근무했던 선배들이 흘린 땀의 결실"이라며 "'백번 잠항하면 백번 부상한다'는 신념으로 무사고 안전항해 30만 마일 달성을 위해 혼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해군 9전단은 잠수함 부대 운용 16년 만인 2008년에 100만 마일의 항해 기록을 달성했고, 이에 대해 미 해군은 국제적으로 선례를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짧은 기간에 한국 해군 잠수함의 작전 임무 수행 능력이 높은 수준에 올랐다고 평가한 바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2함대기동훈련-폭뢰투하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항진하는 잠수함의 모습. 수심이 얕은 해역이나 필요시 잠수함은 부상하여 항진할 수

있으며, 이 때 함 내부 환기 및 잠항을 위한 축전지 충전 등을 한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지난 6일 석방된 삼호드림호를 해군 청해부대의 왕건함과 링스의 호송을 받아 안전지대로 이동중인 모습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잠수함 구난함 '청해진함(ASR-21)'

 

'청해진함(ASR-21)'은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장보고급 잠수함에 문제가 발생하였을때 구조활동을 펼치고 지원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우리나라 해군 유일의 잠수함 구난함입니다.

 

장보고급 잠수함의 도입으로 잠수함 구조함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1992년 건조 결정되었고 대우조선해양에서 건조되어 1996년 취역하였다. 잠수함 조난시 인명구조 및 선체인양 등의 구조지원 임무를 주요 목적으로 하며 그 외에 제한적인 군수지원 임무와 수중촬영과 같은 해양 조사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

 

청해진함은 다른 나라에서도 부러워하는 뛰어난 기술력과 첨단 설비를 가지고 있습니다.

수심 300m까지 심해 잠수사의 잠수를 지원할 수 있는 심해잠수장비(DDS)와 최고 수심 457m까지 잠수 가능한 잠수함 승조원 구조용 심해 잠수정인 심해잠수구조정(DSRV,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을 탑재 보유하고 있으며, 잠수함 외에 수중에서 작업하는 잠수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감압챔버 3기를 가지고 있는 부족함없는 설비들을 갖추고 있다.

구조작전 중 정밀함을 요하는 인양작업 도중 배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성과 연결되는 자동 함위유지장치(DPS,Dynamic Positioning System)와 제자리에서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함수 추진기(Bow Truster)', 4개의 닻을 이용해 위치를 고정하는 '4묘박 시스템'이 탑재되어 정밀하게 배의 위치를 조종할 수 있습니다. 또한 SH-60급 헬기가 이착함 할 수 있는 비행갑판을 보유하고 있어 인원이나 장비 등을 신속하게 이송할 수 있다.

 

심해잠수장비에는 심해와 같은 압력 환경을 만들어주는 갑판 감압실(DDC)과 잠수부를 안전하게 작전 깊이까지 수송하는 인원 수송 캡슐(PTC)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감압실은 최대 9명의 잠수부가 들어가 수심 300m까지의 압력을 조성할 수 있으며 인원 수송 캡슐은 3명의 잠수부를 공기, 온수, 전기, 통신장비와 함께 최대 300m 까지 안전하게 수송 가능하다.

 

주요 작전 성과로는 대표적으로 1999년 3월 남해안으로 침투 중 수심 150미터에 격침된 북한 반잠수정 인양작전이 있으며 그 외에 1998년 6월 동해안 침투중 침몰한 북한 유고급 잠수정 인양작전 및 2002년 8월 서해교전에서 침몰한 참수리 인양작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해군 유일의 잠수함 구난함 '청해진함(ASR-21)'>

 

일반제원
  ㅇ 배수량 : 3,150톤(경하), 4,300톤(만재)
 
ㅇ 속  력 : 최대 18노트, 순항 15노트
 
ㅇ 항속거리 : 9,500NM
 
ㅇ 크  기 : 전장 102m, 전폭 16.4m
 
ㅇ 승조원 : 140명
 
ㅇ 제작국/제작사 : 한국 / 대우중공업

 

주요 탑재장비

구    분

장 비 명

제작국 / 제작사

주 기 관

16PA6V2801 Diesel Eng.

프랑스 / PIELSTIC

보조추진기

Thruster

노르웨이 / Bronvoll

발 전 기

DMG 400KM

한국 / 대흥기계

전 탐 기

AN / SPS-64V

미국 / RAYTHEON

잠수함 승조원
 구조장비

심해잠수구조정(DSRV)

영국 / Slingsby Engineering Ltd.

포화잠수장비

심해잠수장비(DDS)

이탈리아 / Drass

자동 함위유지장치

D P S

노르웨이 / Simrad

    ※  DSRV : Deep Submergence Rescue Vehicle
 
        DDS : Deep Diving System
   
     DPS : Dynamic Positioning System

승조원의 1/3이 SSU 해난구조대일 정도로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해군 구조전 기함이라고 할 수 있는 청해진함은 잠수함에 물자와 장비들을 지원하는 군수지원의 기능도 갖춘 멀티플레이 함선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당초 이런 뛰어난 기능을 하는 해난구조함을 여러대 보유할 예정이었으나 예산 상의 이유로 후속함 건조가 보류되었고 결국 청해진함만이 유일한 우리나라의 해난구조함으로 취역하게 되었죠. 청해진함은 취역과 동시에 147m 바다 아래에 침몰한 북한 반잠수정을 인양하는 모함으로 사용되었고,이는 구조전 역사상 전례가 없는 대단히 큰 성과였습니다. 또한 지난 천안함사건때 바다 속으로 가라앉은 국군장병들을 구하기위해 청해진함의 심해구조잠수정을 이용하려고 하였으나 규격이 맞지 않아 취소된 사례가 있어 전 국민을 안타깝게 만든 적도 있었죠. 하지만 현대전에서의 해난 구조함의 임무 비중이 대단히 크다는 것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ATS-27 평택함>                                 <ATS-28 광양함>

 

청해진함이 취역하기 전에 우리나라는 구난함으로 창원함(ASR-25)과 동급의 구미함(ASR-26)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이 배들은 미 해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건조해 사용하던 구형함으로 잠수함 지원능력이 부족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잠수함 구난함의 필요성을 깨닫고 장보고급 잠수함 건조와 함께 추진했던게 잠수함 구난함의 건조였죠. 결국 앞서도 말했지만 청해진함 한척만이 건조되었지만 우리나라는 미국의 구조함이었던 평택함과 광양함을 도입하면서 부족한 구난함 전력을 보강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대한민국 해군 수상함정 구난 ATS-27 평택함

 

 

 

평택급 수상함 구난함 제원
만재배수량 : 약 3000t
길이 : 86m
폭 : 15.2m
레이더 : 대수상 레이더 2기
엔진 : 디젤엔진 4기
속도 : 최대 16노트
항속거리 : 약 1만 6000㎞
승조원 : 120여명


마지막 남은 미국제 군함
1997년 4월 진해의 해군기지에서 성대한 취역식이 열렸다.
군함의 취역식은 새로 도입된 선박이 해군 소속으로 첫발을 내딛는 ‘출생신고’와 같은 의미로, 당연히 취역하는 군함은 ‘새 배’인 것이 보통이다.하지만 이날 취역식의 주인공은 여기저기 세월의 흔적이 느껴지는 ‘헌 배’였다. 미 해군 소속 수상함 구난함(ATS)이었던 평택함과 광양함이 우리나라 해군함정으로 재취역하는 날이었기 때문이다.

평택함은 원래 미 해군 소속 ‘에덴튼급’(ATS-1 Edenton)구난함의 2번함인 ‘뷰포트함’(ATS-2 Beaufort)으로 1972년 1월 취역해 1996년 3월 퇴역했다. 광양함 역시 에덴튼급 구난함의 3번함인 ‘브런스윅함’(ATS-3 Brunswick)으로 1972년 12월 취역해 뷰포트함과 같은 날 퇴역했다.

해군은 미국으로 인수요원들을 파견해 퇴역한 두 군함을 수리한 후 다시 배를 몰고 태평양을 건너 우리나라로 들여오는 방법으로 이들을 도입했다.

미 해군이 쓰던 중고 군함을 도입한 것은 1945년 3월에 건조돼 미 해군에서 활동하다 1981년 7월 우리나라 해군에 인수된 ‘전주함’(DD-925) 이후 17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해군은 이보다 앞서 잠수함 구난함인 ‘청해진함’(ARS-21)을 국내에서 건조해 도입했지만 추가도입 없이 미 해군이 퇴역시킨 평택함과 광양함을 도입해 부족한 구난함 전력을 보충했다.

도입 당시에는 3000t급 대형 구난함을 빠르게 전력화했다며 호평을 받기도 했지만, 이번 천안함 사태땐 광양함의 성능부족으로 SSU대원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지 못하면서 신형 구난함의 필요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능력은 충분하나 이미 퇴역했어야…
평택급 구난함은 2축에 연결된 4기의 디젤엔진에서 뿜어져 나오는 강력한 추진력으로 해군이 보유한 모든 함정을 예인할 수 있다. 함수와 함미에는 각각 10t, 20t 규모의 크레인이 설치돼 있으며 수중작업을 지원할 수 있는 감압챔버 1기를 탑재하고 있다.

함 측면엔 수중의 물체를 끌어올리기 위핸 공기주머니(Lift bag)도 탑재하고 있어 구조장비는 충실한 편이다.
하지만 평택급 구난함은 선령이 38년으로 퇴역할 시기가 도래하고 있다. 이미 1996년 미 해군에서 퇴역할 당시 선령이 25년에 이르고 있었고 우리나라에서 재취역한 지도 벌써 13년째다.

한 예로 지난달 30일 퇴역한 초계함 ‘수원함’(PCC-752)과 ‘강릉함’(PCC-753)은 1983년에 취역해 28년간 현역에서 활동했다.
물론 구난함들은 그 특성상 악천후에서의 작전이나 급격한 기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전투함보다 더 오래 쓰이는 게 일반적이지만 선령 40년이 다가오는 상황에서 후속 함정 도입을 서둘러야 하는 상황이다.

다행히 해군은 평택함과 광양함을 대체할 차기 수상함 구난함을 국내건조해 도입할 예정으로, 큰 변동이 없는 한 이 배들은 향후 수 년안에 퇴역할 것으로 보인다.


◆ 평택급의 실전
동급은 미 해군에서 활동하던 시절부터 다양한 구조, 구난임무에 투입돼 활약했다.

평택함은 미 해군 소속이던 1991년 걸프전 당시, 이라크군이 부설한 기뢰에 피격당한 미 해군 이지스 순양함 ‘프린스턴함’(CG-59 Princeton)을 무사히 구조하는 데 성공했었다.

광양함은 미 해군 소속이던 시절부터 우리나라 해군과 인연이 깊은데 지금은 퇴역한 구형 전차상륙함인 ‘덕봉함’(LST-672)이 서해 고군산도에 좌초했을 때 구조작업에 참가한 바 있다.

동급은 우리나라 해군함정으로 취역하고 나서도 1998년 속초 앞바다에서 발생한 북한 유고급 잠수정 침투사건 당시에도 청해진함과 함께 투입되는 등 다양한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왔다.

2008년부터는 해군이 직접 고안한 ‘오조묘’라는 장비를 사용해 서해의 얕은 해저에 버려진 폐그물이나 투기물 등을 건져내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덕분에 인근 어민들의 어획량이 2배 가까이 증가하는 가시적인 성과도 거두고 있다.

오조묘는 해저에 버려진 폐그물을 수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닻 모양의 쇠갈고리로, 생김새가 5개의 새발가락 같다해서 오조묘라 불린다.지난 3월에는 광양함이 천안함 실종자 수색작업과 선체 인양작업에 투입된 사례가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대한민국 해군의 구난함 ATS-28 광양함

 

ATS-28 광양함은 대한민국 해군의 구난함이다. 미해군이 쓰던 중고 구난함을 도입한 것이다. 1996년 미국의 이든턴급 구난함인 브룬스윅함은 광양함으로 명명했다.

 

함종 : 구난함

함명 및 함번 : 광양함 ATS-28

함급 : 이든턴급 구난함

제작 : Brooke Marine

운영 : 미국 해군, 대한민국 해군.

기공 : 1968년 5월 27일

진수 : 1969년 10월 14일

취역 : 1972년 12월 19일

퇴역 : 1996년 8월 29일 대한민국에 판매

 

일반적인 함제원

배수량 : 3,063톤

함길이 : 전장 283 feet

            선폭 50 feet

            홀수 18 feet

속력 : 17 knots

승조원 : 106명

무장 : 20mm 기관포 2문,12.7mm 기관포 4문

 


광양함은 길이 86m, 폭 15m, 만재배수량 3000t의 수상함구난함(ATS)으로 원래는 미 해군 소속이었다.
미 해군에서의 함명은 ‘브런즈윅’(ATS-3 Brunswick)이었다.

해군은 광양함과 함께 에덴튼급 2번 함인 ‘뷰포트함’(ATS-2)함을 같이 인수했으며 이들은 수리를 거쳐 1997년 4월 재취역했다.
뷰포트함은 ‘평택함’(ATS-27)로 명명됐다.

해군은 평택함과 광양함을 인수하면서 일부 전자장비를 교체했으며 함수와 함미에 설치된 해상크레인을 신형으로 교체했다.

이중 평택함은 1998년 북한의 유고급 잠수정 인양작전에서 활약한 바 있다.

2축에 연결된 4기의 디젤엔진을 통해 최대 16노트(약 30㎞/h)의 속도를 낼 수 있으며 구난함인 관계로 무장은 소화기와 20㎜ 기관포만을 갖추고 있다.

최대 9명이 들어갈 수 있는 감압챔버 1기를 갖추고 있으며 함수와 함미에 각각 10t과 20t 용량의 크레인이 달려있어 평소에는 폐그물 회수 등 환경보호작업에 투입되기도 한다.

한편 평택함과 광양함은 최초 취역한 지 40년이 다되어가는 등 노후화가 진행중이기 때문에 신형 구난함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미 해군 소속 당시 광양함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군항에 정박해 있는 참수리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