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비아해를 거칠게 항해중인 미 미사일 순양함 Chancellorsville

 

 

 

 

 

 

 

미해군 Ticonderoga급 미사일 유도 순양함 USS Chancellorsville (CG 62)함이 아라비아해의 거친 파도를 헤치며 항진중입니다.
USS Chancellorsville 순양함은 항모와 원정타격군을 지원할 수 있는 대공전, 대잠수함전, 장거리 타격능력과 대수상전 능력을 보유합니다.
현재 Ronald Reagan Carrier Strike Group소속으로 미해군 5함대 관할해역에서 지역적 안전과 해상안보를 수호하는 임무를 수행중입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대조영함, 남해에서 해적을 잡다!
청해부대 2진, 해적퇴치를 위한 해상종합훈련 실시

 

월3일 소말리아 해역으로 파병 되는 청해부대 2진이 거제도 남방 해역에서 해상 종합 훈련을 실시하였다.

훈련의 내용은 연안항해, 해상보급훈련 등이며 가장 중요한 해적으로 부터의 피호송 선박을 보호, 차단하는 것을 모의 상황으로 가정하여 임무와 절차를 숙달하는 것이다.

특히 모의 상황 훈련은 청해부대의 주축인 DDH-2급인 대조영함과 LYNX 1대, 고속단정(RIB)3대와 해군특수전(UDT/SEAL)요원 30여명으로 이루어져서 모의 상황 훈련을성공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 이번 파병의 주축인 DDH-2 대조영함이 해적 발견, 해당 해역으로 향해하고 있다.

 

 

 

 ▲ 해적의 위치를 확실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LYNX를 이륙시켜

해적의 위치 파악 및 차단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이륙하여 해당 해역으로 이동하고 있다.

 

  ▲LYNX가 이륙 후 대원들이 정리를 하는 동안

수병들이 혹시 모를 해적들의 접근을 막기 위해 경계를 실시 하고 있다.

 

 

▲위치 파악 후 고속단정(RIB)와 해군특수전(UDT/SEAL)대원들이 출동 준비를 하고 있다.

 

 

 ▲고속단정과 LYNX가 이동하는 동안 대조영함에 남아 있는 대원들이 함정의 근접 경계를 실시 하고 있다.
    대조영함은 이번 파병을 위해 총 8포인트의 근접 방어용 소총 거치대를 설치 하였다.

 

 

 ▲고속단정에 탑승한 특수전요원들과 LYNX헬기가 해당 해역을 향해 회피기동을 하면서접근하고 있다.

특히 소말리아 부근의 해적들은 RPG-7등으로 무장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이런 실전같은 훈련이 중요하다.

 

 

 

 

 ▲드디어 해적을 발견! 모의 상황에서는 참수리 고속정이 가상의 해적이였다.

해적을 제압하기 위해 특수전 요원들이 해적선에 승선하여 해적들을 제압하고 있다.

 

 

▲상황 종료 후 특수전 요원들이 모함인 대조영함으로 복귀 하고 있다. 이번 훈련을 통해
     청해부대 2진은 청해부대 1진이 쌓아올린 경험과 결합하여 완벽한 임무를 수행할 것 이다.


이번 훈련에 앞서 청해부대 2진은 6차례에 걸쳐 해적으로부터 우리 국적선박과 외국선박을 완벽하게 보호한 청해부대 1진의 파병 경험을 살리기 위해 사전정보교환과 교육을 통해 철저히 인계받았으며, 2진 장병들은 임무에 앞서 합참 PKO 센터 교육, 검문검색 교육훈련 등을 통해 성공적인 파병임무에 대한 준비를 완벽하게 마쳤다.

청해부대 2진은 이번 해상 종합훈련을 마치고 파병 전까지 자체 훈련을 실시한 후 7월16일 소말리아 아덴만을 향해 출항, 8월 중순부터 올해 연말까지 파병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 충무공 이순신급 3번함 DDH-977 대조영함
     
     승조원:250명 전장: 150M 전폭: 17.3M 홀수: 7.3M
     경하배수량: 4400톤 만재배수량: 5520톤
     최대속도: 29노트 순항속도: 17노트 항속거리: 5500nm
     무장: MK41 VLS 32셀 SSM-700K 해성 4연장 2기
               MK 45 Mod4함포 1문, 21연장 RAM 1기, 골키퍼 1조

◆ 수퍼 링스(LYNX) 대잠헬기
    
     탑승인원 4명 최고속도 150노트(277km/h) 항속거리: 320nm(593km)
    센서: 기본형-  페란티 시스프레이 MK3000 레이더+라칼 ESM
               대잠형-  벤딕스/킹 AQS18(V) 디핑소나+ ASQ-504(V) 자기이상 탐지기(MAD)
                               국산형 열영상장비 + 국산형 ESM시스템
    무장: 시스쿠아 공대함 미사일 4발 MK744 or 청상어 어뢰 2발

 

 

 

출처 :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고속정(PKM)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잠헬기 LINX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P-3C초계기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다목적 헬기(UH-60)

 

 

 

-= IMAGE 3 =-

 

-= IMAGE 4 =-

 

-= IMAGE 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8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미해군 핵추진잠수함 버펄로함(Buffalo, SSN-715, 6천100톤)

 

-= IMAGE 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세계 최고의 해군력을 자랑하는 미국의 대표함은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이다

 

-= IMAGE 1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2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3 =-

 

-= IMAGE 14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5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일본 해군의 대표함은 4,650톤급 구축함 스즈나미함(Suzunami, DD -114)

 

-= IMAGE 16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17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중국 해군의 대표함은 4,800톤급 하빈함(Harbin, DDG-112)

 

-= IMAGE 18 =-

 

-= IMAGE 19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0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1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IMAGE 22 =-

 

-= IMAGE 23 =-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 ‘바다의 요새’ 항공모함, ‘신의 방패’ 이지스 구축함. 10월 부산 앞바다는 세계 해군의 첨단 함정들로 가득 차게 된다. 대한민국 해군이 건국ㆍ건군 60주년을 맞아 10월 5일부터 10일까지 부산에서 개최하는 『'08 대한민국 해군 국제관함식』에는 항공모함과 잠수함, 순양함, 구축함 등 국내ㆍ외 함정 50여척과 항공기 30여대가 참가한다.

 호스트인 우리 해군의 대표함은 7,600톤급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함이다. 세종대왕함은 최대속력 30노트에 함대함, 함대공 등 120여기의 미사일과 장거리 대잠어뢰 등을 탑재하고 있다. 또한 위상배열 레이더로 구성된 이지스(Aegis) 전투체계를 탑재하여 1,00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탐지 추적하여 그중 20여개의 표적을 동시에 공격할 수 있는 뛰어난 방어 및 대응능력을 보유한 최신예 전투함이다.

세계 최고의 해군력을 자랑하는 미국의 대표함은 항공모함 조지 워싱턴호이다. 9만 7천톤의 무게에 길이 333m, 폭 78m, 흘수 12.5m로서 110층 빌딩을 옆으로 뉘인 것과 비슷하다. 승조원은 무려 5천 6백여명, 한국 해군 1/8에 해당되는 병력이 한 배에 타고 있는 셈이다.
 미 해군은 항모뿐만 아니라 순양함인 카우펜스함(COWPENS, CG-63, 9천600톤)과 맥케인(Jhon S. McCAIN, DDG-56, 9천200톤)을 비롯한 이지스함 4척, 핵추진잠수함 버펄로함(Buffalo, SSN-715, 6천100톤)도 함께 방한할 예정이다.

 전력상으로 세계 2위로 평가받고 있는 일본 해군의 대표함은 4,650톤급 구축함 스즈나미함(Suzunami, DD -114)이다. 일본 수도와 태평양 방어를 담당하는 제1호위대군(요코스카) 소속 스즈나미함은 길이 151m, 폭 17.4m로 대함ㆍ대공ㆍ대잠 공격능력을 갖고 있다.

 최근 구축함, 프리깃함, 핵잠수함 등을 자체 생산하는 등 전력강화에 힘쓰고 있는 중국 해군의 대표함은 4,800톤급 하빈함(Harbin, DDG-112)이다. 하빈함은 길이 144m에 2대의 헬기를 탑재할 수 있으며, 대함ㆍ대공 미사일과 어뢰 등을 장착하고 있다.

 해군력 부활을 선포한 러시아 해군의 대표함인 8,400톤급 구축함 마샬샤포쉬니코프함(DDG-543,MashalShaposhynikov)은 길이 163m, 폭 19.7m로 2대의 대잠초계헬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대함ㆍ대공 미사일과 어뢰 등을 갖추고 있다.

 이밖에도 인도의 5,600톤급 대형상륙함인 가리알함(INS GHARIAL), 영국의 3,470톤급 해양조사선 에코(HMS ECHO)함, 캐나다의 5,000톤급 호위함 켈거리함(HMCS CALGARY), 태국의 2,900톤급 호위함인 나레수안함(HTMS Naresuan), 싱가폴의 8,500톤급 대형상륙함인 펄시스턴스함(RSS Persistence), 인도네시아의 11,000톤급 대형 상륙수송함인 마카사르함(KRI Makassar), 말레이시아의 1,900톤급 호위함 레키르함(KD Lekir) 등이 참가한다.


 건국ㆍ건군 60주년을 맞아 개최되는 ‘08 대한민국 해군국제관함식에서는 이와 같이 세계 각국의 함정들이 한자리에 모여 해군만이 보여 줄 수 있는 최대의 해상 쇼를 펼치게 된다. 이는 ’98년 이후 10년만에 찾아 온 기회로 해군은 ‘하나 되어 바다로, 세계로’라는 슬로건과 같이 국민과 함께 각국의 해군이 한 자리에 모여 세계 평화와 번영을 다짐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해군전력사업(대양해군 수상함정) [0] | 벽제계-일왕
    • 번호 55963 | 2008.09.07
    • 조회 303 | 추천 추천 0
     

     

    즉3개함대만드든데 1개함대당6+6구성

    1) 4,200~4,500톤(kdx-2,만재5,700톤) :4~5척 (4)

    2) 7,650톤(만재1만톤규모)이지스함(kdx-3) :1~2척(2)

    -괄호숫자가 유력,해군사업은  변화가심해 정확한건 시간지나봐야--

     -2007년kdx-3,1번함진수예정(전력화는 아래LPX함과 같은시기)

    LPX함

    2006년-1번함(독도:2005,7진수-2006년6월중 해군인도로예정보다2년앞당김) 2010년-2번함(마라도) 2012년-3번함(백령도)을전력화

    3) 13,500톤(만재19,000톤) 헬기강습함(LPX) :1척(강습/공격헬기각6대)

    4) 2만톤지원함-1척

    5) 장시간작전가능한214급(수중1.800톤)이상잠수함-1척

     

    **즉6+6(일본은8+8)이란 1개함대에 구축함6척(kd2-4척,kd3-2척).헬기(강습/공격)6대를말하며 그외에잠수함,지원함등을포함 하며 현재장보고급잠수함(209)은 별도잠수함전단(10척)으로 편성될것으로봄

     

    B,이후계획2020년해군국방개혁안(1.5대양함대구성-2005년안)

     *대양함대
    *신설
    1)기동전단-1.5전단
    구축함: KDX3-3척, KDX2-6척, KDX1-3척,
    헬기상륙함: LPX-2척(추가1척)
     
    2)잠수함사령부
    항공사령부-현50여대항공기>>120여대

     
    *연안함대
    FFX1-9척, FFX2-15척,  PKX-88척 (1차-10척 계속32척 추가88척)
    *잠수함대
    KSS1-9척, KSS2-3척, KSS3-3척(3.000톤급)
     
     
    -해군전력사업 처음계획은 kdx3-7척,kdx2-10척이였다고함(조선일보유용원기자)
    그리고 잠수함숫자는 더늘어남(숫자는보안사항)

     

     1.KDX-2사업                                

          3함대의 대조영함(2007년6월)                  사진-양기사70포병님(비밀회원)


    문무대왕함(kdx2) 4.200톤(만재5.700톤)            사진-강남제비님

    *32셀의미제mk41수직발사기-후기형(왕건함)부터는 국산발사기조합으로56~64셀발사기배치 예정

     


    **KDX-2사업을보면[ batch-1형:1,2,3번함(4.200톤/32셀), bacth-2형:4,5,6번함(4.500톤/64셀),batch-3형:7,8,9번함(?),batch-4형:10,11,12번함(?) ]후기형에서는 좀더나은 성능과무기를탑제하는데,이는 KDX-3사업에서도 적용될가능성이 매우큼니다.이는 KDX-4사업 하는것보다 2번함,3번함등으로  후기형에서 업그레이드하는편이 해군전력 효율성이과 경제성이 더 크다고 보기에 KDX-4 사업하는건 무리가있어보임


      

     


     
    kdx-2 4번함인 왕건함(4,500톤,만재5,700톤)진수식광경인데 vls 셀이 한쪽으로치우쳐있습니다(32셀로보여짐)
    나머지는 국산vls(콜드런처방식) 셀로,대잠미사일8기,함대지순항미사일16~24기 장착계획이라하더군요
                                  214잠수함진수식때의 왕건함               사진-유용원군사세계
     


     kdx2, 5번함인 강감찬함진수식(2006,3/16)            

     

    KDX-2  최영함

                                                                                                 사진-김한솔님

    KDX-2사업 마지막함인 최영함 진수식(2006,10.21)광경

              













































    건조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배수량


    경하배수량 : 4,400톤

    만재배수량 : 5,700톤(bacth1은5.500톤)


    크기


    149.5m x 17.4m x 4.9m(길이/폭/흘수선)


    승조원


    260여명


    추진


    CODOG 방식

    GE LM2500 개스터빈 엔진 2기

    MTU 20V 956 TB92 디젤 엔진 2기

    2축 추진


    속도


    최대 29노트

    순항 17노트


    항속거리


    5,500nm(순항시)


    무장


    KMK 45 5인치 62구경장 함포 1문

    Block1 SAAM(21연장 발사기 1기)

    30mm 골키퍼 CIWS 1문

    SM-2 Block IIIA 대공 미사일(MK 41 VLS 32셀)
    하푼/해성 대함 미사일(4연장 발사기 2기)

    천룡 순항 미사일, 홍상어 대잠 미사일(국산 VLS) ? 탑재예정

    K-744/청상어 경어뢰(324mm KMK 32 3연장 어뢰 튜브 2문)


    대응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SLQ-261K 어뢰 음향 대항 체계(TACM)

    SLQ-200(V)K 소나타 전자전 체계(ESM/ECM)


    지휘 무장 통제


    SYQ-500K KDCOM2(BAE SEMA사의 SSCS MK-7)

    해군 전술 지휘 통제 체계(KNTDS) Link11


    레이더


    장거리 2차원 대공 레이더 : SPS-49(V)5 - C/D 밴드
    단거리 3차원 대공 레이더 : MW08 - G 밴드
    사격 통제 레이더 : STIR 240 2기 - I/J/K 밴드
    대함 레이더 : SPS-95K - I 밴드


    소나


    DSQS-21BZ 함수 소나

    SQR-220K 흑룡 예인 소나


    탑재헬기


    MK 99 링스 또는 MK 99A 슈퍼링스 헬기 2대


    보유함정


    DDH975 충무공 이순신함

    DDH976 문무대왕함

    DDH977 대조영함

    DDH978 왕건함

    DDH979 강감찬함

    DDH981 최영함

                                                                             

                                                          

             2007년 전시증원(RSOI)및 독수리훈련(Foal Eagle)-동해(2007.3/29)

     미항공모함(로널드레이건호) 미타이콘데로가급순양함,알레이벅크급구축함과함께 훈련중인 대조영함,문무대왕함
     
    2.LPX(헬기강습 상륙함)사업


    진수식 LPX 1번독도함

                                                                                      사진-해군본부

     

     

                                                                                         사진출처-사진에표기

     

    *탑재전력-상륙군최대720명,전차6대,트럭10대,야포3문,헬기7대(내부에4대적재가능),고속공기부양정

    (LCAC)-2척

    *무장-30mm골키퍼2문,근접방공시스템ram1문

    *동시에헬기6대가 이착륙가능

     

     솔개1(LSF-1)                                                          사진-일발필적님

    주요제원(만재150톤규모-속도:시속101km)

    2005년 6월 러시아건조 2005년12월 한국해군취역

    탑재전력-장갑차2대 또는무장병력130명

     

     

     

     LPX함에들어갈 고속공기부양정 솔개2(LSF-2)               사진-유용원군사세계

    주요제원

    만재155톤규모(만재시속74km), 탑재전력-전차1대 병력24명 또는 병력150명

     

     

     

     

    LPX함의

    SMart-L레이다

     

    장거리탐색용3차원

    반경400km,1.000개목표물동시추적
                                                              

     

    2006 대양순항훈련떠나는 대청함(군수지원함)과대조영함 

     


                                                                                                           사진-해군본부

     

    3.kdx3-aegis구축함사업                     

                                                                                                           

    Aegis구축함 세종대왕함진수식 (2006년5월25일 울산 현대중공업)

    사진- 한국국방안보포럼

    <제원>














































    생산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


    배수량


    경하배수량 : 7,650톤

    만재배수량 : 10,000톤


    크기


    165.9m x 21.4m x 6.25m(길이/폭/흘수선)


    승무원


    300여명


    추진


    COGAG 방식

    LM2500 가스터빈 4기(100,000 마력)

    2축 추진


    속도


    최대 30노트

    순항 20노트


    항속거리


    5,500nm(순항시)


    무장


    KMK 45 5인치 함포 1문

    Block1 SAAM(21연장 발사기 1기)

    30mm 골키퍼 CIWS 1문

    SM-2 Block IIIB/Block IV 개량형 대공 미사일(MK 41 VLS 80셀)

    해성 대함 미사일(4연장 발사기 4기)

    천룡 순항 미사일 32발, 홍상어 대잠 미사일 16발(국산 VLS 48셀)

    청상어 경어뢰(324mm KMK 32 3연장 어뢰 튜브 2문)


    대응


    KDAGAIE MK2 채프/플레어 발사기

    SLQ-261K 어뢰 음향 대항 체계(TACM)

    SLQ-200(V)K 소나타 전자전 체계(ESM/ECM)


    지휘 무장 통제


    Aegis KNTDS Link 11, 16

    KIF/ASWCS-K 대잠 전투 통제 체계


    레이더


    대공 레이더 : SPY-1D(V) 다기능 레이더 - E/F 밴드

    대수상 레이더 : SPS-95K - I 밴드

    사격 통제 : SPG-62 미사일 유도용 3기


    소나


    DSQS 21 BZ-M 함수소나


    탑재헬기


    중형 헬기 2대


    보유함정


    DDG991 세종대왕함

    DDG992

    DDG993

     

    *128셀(국산조합)의수직발사기 설치예정인데,선수sm2 40셀-선미sm2 40셀,국산vls-kss700/국산대잠미사일48셀,

    -sm2 블럭3a=해상사거리 148km,고공19km

    -sm2 블럭3b=     "         185km,고공24km <-------------------세종대왕함에 탑재

    -sm2 블럭4a=해상사거리 240km,고공33km

    -sm3            =사거리 1,000km이상(TMD-탄도미사일요격전용)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작사 : 한운사 / 작곡 : 이봉조

     

    1. 내 얼굴이 검다고 깔보지 마라

    이래뵈도 바다에선 멋진 사나이

    커다란 군함타고 한달 삼십일

    넘실대는 파도에 청춘을 바쳤다

    야야야 야야야 야야야야야야

    갈매기가 잘안다 두둑한 배짱

    사나이 태어나 두 번 죽느냐

     

    2. 미끈하게 뽑았다고 붙잡지 마라

     네눈에는 근사하게 보이겠지만

    상륙하는 하룻밤에 빈털털이

    돌아갈땐 빗쟁이가 그래도 좋다고

    야야야 야야야 야야야야야야

    갈매기가 잘안다 두둑한 배짱

    사나이 태어나 두 번 죽느냐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가    사

     

     검푸른 파도                    (여기서 쭈욱 ↑면서 기합든 목소리로 끊는다.)

    삼킬듯 싸나와도     ( 여기선 목소리를 딱 끊는다..)

    우~리는 언제나              (목소리를 | 끊고 나아~가 아니고 나로 발음)

    바다의 싸아나이~~ (목소리를 길게 늘여트린다..)

    흙냄새 그리울땐..  (이때 DI가 참견한다..목소리 대불량..그럼 기합을 받는다.)

            항구찾아 달래이고   (항구를 찾는 생각하며 불러야한다.)

    사랑이 그리울때엔      (마치 파도속에 뛰어드는듯한 감정을 갖고 배에서

                                                   우러러 나오 는 목소리로 부른다.)

    파도속에 뛰어든다   (다음 노래를 위해 빨리 끊고 쉰다..3 옥타브 올림.)

                                               싸나이 한평생           (악으로 부른다..)

    세월로써 몬재우거 꿋꿋하게 살다가 (경상도 사투리로 불러도 상관없씀)

    사내답게 죽으리라..  (죽는다치고 목소리를 ↓시킴)

     아아~                    (목청을 동그랗게 다 핀다음)

      바다는                   (군인자세로 절도있게 끊고..)

        나으 거향               (사투리로 써도 전혀 티가 안남)

     나으 지븐               (철자가 틀려도 DI는 모른다.)

             베에라안다        (아파트 베란다를 생각하며 웃으면 바로 기합들어가니 주의할것!)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해군가    작사: 김찬호 이교숙

     

    1) 우리는 해군이다 바다의 방패

    죽어도 또 죽어도 겨레와 나라

    바다를 지켜야만 강토가 있고

    강토가 있는 곳에 조국이 있다

    우리는 해군이다 바다가 고향

    가슴속 끓는 피를 고이 바치자

     

    2) 우리는 해군이다 바다의 용사

    살아도 또 살아도 정의와 자유

    오대양 지켜야만 평화가 있고

    평화가 있는 곳에 자유가 있다

    우리는 해군이다 바다가 고향

    가슴속 끓는 피를 고이 바치자

     

     

     

     

     

     


     

    단정이 해안에 접안할 때 신속하게 바지단을 접을 수 있도록 한데서 유래했다.
    70년대는 세계적 패션으로 유행하기도 했다.

     

    선원들이 땀을 닦기 위해 더러움이 잘 타지 않는 검정색 천을 목에 두르고 다닌데서

    유래했다.
    또한 먼거리에서 들리는 주변의 소리를 잘 듣기 위해 치장깃을 세워 사용하기도 했다.

     

    견장은 프랑스에서 장교의 표시로서 처음 쓰였고 이후 영국과 미국해군이 표준 복제로

    사용하면서 널리 쓰였다.
    장교들의 정복에도 견장과 동일한 모양의 노란색띠를 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2008년 대한민국 해군의 ‘스타 구축함’은?

    ▲ RIMPAC 2006 훈련에 참가해 한국 군함의 위력을 세계에 과시했던 문무대왕함의 멋진 모습.

    마스트에 휘날리는 태극기는 자주국방네트워크 회원들이 기증한 것이다.


     환태평양 해군연합훈련(RIMPAC)과 순항훈련 등 관심이 높은 군함들의 2008년 해외 훈련 일정을 예상해 봤습니다.

    - [화보] 광개토대왕과 문무대왕의 ‘태평양 출정’

    - [화보] 문무대왕함, 림팩 다국적 전투함 지휘

    - [화보] 전세계를 누비는 ‘대조영함의 위용’

     

     먼저 RIMPAC 훈련을 생각해 보면, 그동안 충무공이순신함과 문무대왕함이 참가하여 하푼 발사, SM-2 발사, 분함대

    지휘임무 등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했었습니다. 그러므로 해군 지휘부라면 이번 훈련은 새로운 임무를

    부여하려 할 것입니다.

     

     새로운 임무라고 한다면 충무공이순신함과 문무대왕함에 없는 무기들의 성능시험일 텐데, 그것은 바로

    대조영함 부터 장착된 SSM-710K 해성 함대함 미사일의 실전성능 시험과 왕건함부터 장착된 홍상어

    어뢰의 시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해군 지휘부가 신중한 결정을 한다면 2008년 훈련은 ‘해성

    함대함미사일’ 미사일 훈련을, 2010년 훈련은 ‘홍상어 어뢰’ 훈련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 해군의 하이엔드인 KD-2충무공 이순신함과 문무대왕함 입니다. 좌측이 975충무공이순신함,

    우측이 976문무대왕함.
    만재배수량 : 5,500톤  길이 : 149.5m  넓이 : 17.4m  최고속도 : 29노트  승조원 : 최저 180 ~ 최대 250명
    공격무장 :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 MK45 127mm 함포 1문
    방어무장 : SM-2대공미사일(사정거리 120km)32발, RAM미사일 발사기 1문(21발, 최대사정거리 약 12km),

    골키퍼 근접방어시스템 1문.

     


     그동안 2회 연속으로 KD-2와 KD-1의 2척 조합으로 출전을 했었는데, 이번에도 그 조합이 지켜진다면 '해성'과

    '홍상어'를 동시에 실험할 수 있는 왕건함이나 강감찬함과 KD-1의 조합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KD-1 들은 지난 2006년에는 광개토대왕함이, 2004년에는 을지문덕함이 참가했으므로 한 번도 RIMPAC에

    참가하지 않은 양만춘함이 확률이 매우 높다고 봐야 합니다. 그리고 강감찬함은 내년 2월에 전력화할 예정이므로

    전력화와 동시에 장기간의 훈련에 투입되는 것을 조심스러워 할 수 있다고 본다면 왕건함이 가장 유력해 보입니다.

     

    ▼2006년 6월 9일 현대중공업에서 열린 214급 잠수함인 손원일함이 진수를 할 때, 그 옆에서 진수식을 호위하는

    역할을 한 왕건함.

     


     그러나 해성과 홍상어 등 신무기의 실험을 동시에 하기가 부담스러운 신중론적 입장이라면 대조영함이 해성

    함대함미사일 실험을 하기 위해 KD-1 구축함 1척과 같이 출전하는 것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즉, 두 가지 경우 중에서 급진적 경우는 왕건함과 KD-1을, 신중론적 경우에는 대조영함과 KD-1을 출전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2006년 순항훈련을 떠나고 있는 대조영함.

     

     순항훈련에 떠나는 구축함은 그동안 굵직굵직한 훈련애 다수 참가하여 KD-2의 성능을 떨쳐왔던 문무대왕함이나

    2월에 전력화 할 강감찬함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충무공이순신함은 이미 2회나 순항훈련에 참가한 경험이 있고,

    대조영함은 전력화와 동시에 순항훈련을 다녀왔던 경험이 있고, 왕건함은 RIMPAC에 참가할 경우의 수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문무대왕함과 강감찬함 중 하나가 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러나 왕건함이 RIMPAC에 참가하지 않는다면 강력한 경쟁자로 부상해 3파전이 되겠지요. 이 3파전의 경우에는

    강감찬함과 왕건함의 확률을 높게 보는데, 그 이유는 다른 군함들에 비해 문무대왕함 함장이 함장에 임명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것도 고려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2006년 3월 16일 진수식을 했던 KD-2의 5번함인 979강감찬함입니다.

     


     그러나 변수도 있습니다. 내년 10월에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관함식에 최신예 군함을 한척이라도 더 참가시켜서

    우리 해군의 외형적 위력을 세계에 떨치고 싶은 해군 수뇌부의 의지가 작용한다면 내년 10월 당시 항해 가능한

    모든 KD-2 구축함들과 KDX-3 이지스함인 세종대왕함을 모두 관함식 해상사열에 참가시키고, 순항훈련은

    KD-1을 보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국제관함식의 변수가 작용하지 않는다면 순항훈련은 강감찬함이 될 확률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문무대왕함의

    가능성이 높지만, 림팩 변수로 인해 왕건함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또한 어느 군함이 RIMPAC이나 순항훈련에

    참가하든, 우리 국위를 선양하고 우리 해군력을 떨치는 데는 부족함이 없다는 생각도 같이 해봅니다.

     

    ▼DDH-971 광개토대왕함은 우리 민족 역사상 가장 공세적인 위인이셨던 광개토대왕의 이름을 딴 우리 해군

    최초의 국산 구축함 이며 KDX-1(Korea Destroyer eXperimental-1)이라는 프로젝트 이름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1996년 10월 28일 진수하였으니 이제 꼭 만 11년이 되었으며, 취역한지는 만 9년 정도 되었습니다.

     

     

    ▼3함대의 기함인 KD-1 973양만춘함입니다.
    만재배수량 : 3,900톤  길이 : 135.4m  넓이 : 14.2m  최고속도 : 30노트  승조원 : 170명
    공격무장 : 하푼 함대함 미사일 8발, 127mm 오토멜라라제 함포 1문
    방어무장 : 씨스패로 대공미사일 16발, 골키퍼 요격시스템 2문

    한국해군 최초로 적 항공기나 적의 대함미사일을 요격 할 수 있는 전투함입니다. 그러나 사정거리가 짧고

    성능이 좀 떨어지는 씨스패로 미사일을 장착한 관계로, 인근 함정을 도와 주지는 못하고, 자함 방어만

    가능한 정도 입니다. 물론 대량의 미사일을 요격할 수는 없고,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 약 3~4발의 미사일에 대한

    요격 능력이 있지 않을까 생각 합니다.
    여태까지 진해에서 기러기 부부 신세였던 이 양만춘 함은 6월이 지나면 부산의 새로운 3함대 기지로 가서

    오륙도 앞에 멋진 자태로 정박해 있을 겁니다.

     

     

    ▼이 함은 역시 KD-1이고, 2함대의 기함인 972을지문덕함입니다.

     

     

    제공= 동아누리 e누리칼럼: http://www.donga.com/e-county/sssboard/board.php?tcode=03015

    도깨비뉴스 국방전문 리포터 신인균 dkbnews@dkbnews.com

     

    ▼관련화보

    - [화보] 광개토대왕과 문무대왕의 ‘태평양 출정’

    - [화보] 문무대왕함, 림팩 다국적 전투함 지휘

    - [화보] 전세계를 누비는 ‘대조영함의 위용’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해병 가족이라면, 들어볼수록  항시 즐겁답니다,,, 

     























        디스코 해병대가 - 유상록 & 강진주 01. 해병대 △△ 가 02. 쎄무워카가 03. 서울의 왕대포집 04. 말뚝가 05. 김포의 성냥공장 06. 빠따가 07. 묵사발가 08. 시궁창가 09. 곤봉가 10. 동기가 11. 팔각모 사나이 12. 달려라 해병 13. 영원한 해병 14. 브라보 해병



    출처 : 竹馬故友
    글쓴이 : 오인의 벗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