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후퇴하면 날 쏴라" 나라 구한 백선엽을 누가 왜 흔드나

작성자: 유용원

조회: 2897 추천: 1 

 

작성일: 2020-05-29 11:36:26

일제 때 간도특설대 경력 논란
"독립군 다 떠난 후 부임
독립군과 싸운 적 없다"

 

 

 

 

6.25전쟁 때 많은 전공을 세워 한국군 최초의 대장이 된 백선엽 장군/조선일보 DB

 

 

‘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의 현충원 안장 문제와 관련해 여권 일각에서 ‘친일 단죄론’과 ‘파묘(破墓·무덤을 파냄)론’이 잇따라 나오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는 “백 장군은 ‘6·25의 이순신’이라고 평가해도 될 것”이라고 했지만 더불어민주당 김홍걸 당선자는 28일 “백 장군의 책에 친일 행적을 고백하는 내용이 있다”며 현충원 안장에 반대했다.

 

국내외 전문가들은 백 장군의 6·25전쟁 전공(戰功)은 재론의 여지 없이 높이 평가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재향군인회는 지난 27일 발표한 성명에서 “백 장군은 창군 멤버로서 6·25 전쟁 시 최악의 전투로 알려진 낙동강 ‘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끈 주역이며, 인천상륙작전 성공 후 평양 탈환 작전을 성공시켰다”며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에서도 공인한 전쟁 영웅”이라고 했다.

 

 

 


6.25전쟁 때 당시 백선엽 1사단장이 참모들과 작전을 협의하고 있다. /조선일보 DB

 

 

◇ 31세 최연소 참모총장, 한국군 최초의 대장 기록

 

북한군의 기습 공격으로 낙동강까지 후퇴했을 때 그가 사단장으로 지휘하던 육군 1사단은 한국군 부대 중 유일하게 미군 1군단에 배속됐다. 지원나온 미군 2개 연대와 함께 경북 칠곡에서 6.25전쟁 중 대표적인 격전이었던 다부동 전투를 치렀다. 전투 중 겁에 질린 우리 군 병력이 뒤로 후퇴하고 무단 이탈도 생겼다. 그러자 다부동을 지키던 미군 27연대장 마이켈리스 대령이 “전선 좌측의 한국군 부대가 무단 이탈하고 있다”고 다급히 전황을 알려왔다.

 

백 장군은 후퇴하는 한국군을 가로막으며 “나라가 망하기 직전이다. 저 사람들(미군)은 싸우고 있는데 우리가 이럴 순 없다. 내가 앞장설 테니 나를 따르라. 내가 후퇴하면 나를 쏴도 좋다”며 장병들을 독려했다. 백 장군의 고군분투에 힘입어 한미 양국군은 다부동 전투를 승리로 이끌 수 있었다. 다부동에서 패했다면 최후의 낙동강 방어선이 뚫리고, 남한이 적화됐을 것이라는 평가가 많다.

 

백 장군이 이끈 1사단은 인천상륙작전 이후 미군 1기병사단, 24보병사단 등과 치열한 북진 경쟁을 벌였다. 백 장군의 부대가 결국 가장 먼저 평양에 입성했다. 평북 운산까지 진출한 1사단은 중공군의 반격에 밀려 다른 유엔군과 함께 38선 이남으로 후퇴했다. 전쟁 중 1사단은 미군들로부터 “가장 잘 싸운 한국군 부대”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는 전쟁 중에도 국군과 경찰 유자녀, 전쟁 중 부모를 잃은 고아들을 위해 ‘백선 유아원’을 설립했다. 1951년11월엔 야전전투사령부 사령관에 임명돼 지리산 빨치산 소탕작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1952년 만 31세의 나이로 한국군 사상 최연소 육군참모총장에 오르는 기록을 세웠다. 33세엔 한국군 최초의 대장이 됐다. 영어를 잘 구사해 전쟁 중 미군(유엔군)과의 소통에도 역할이 컸다. 미 밴 플리트 장군과 함께 한국군 증강 계획을 세워 한국군 발전의 토대를 닦았다. 1954년엔 제1야전군을 창설하고 사령관에 임명돼 43개월 동안 재임하며 야전군의 기틀을 다졌다. 1957년엔 두번째로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11월 로버스 에이브럼스 주한미군사령관과 마이클 빌스 미 8군사령관이 100세 생일을 맞은 백선엽 장군을 방문해 셀카를 찍고 있다. /주한미군 SNS

 

 

◇ 간설특설대 복무 논란 “독립군과 전투한 적 없다”

 

백 장군을 폄훼하는 사람들이 내세우는 친일 행적 논란의 핵심은 일제시대 간도특설대에서 복무한 경력이다. 간도특설대는 폭파, 소부대 행동, 잠입 등을 주임무로 했던 일본군 특수부대였다. 백 장군은 일본어판 자서전에서 ‘간도특설대가 추격했던 게릴라 중에는 많은 조선인이 섞여 있었다’며 ‘한국인이 독립을 위해 싸우고 있었던 한국인을 토벌한 것이기 때문에 이이제이(以夷制夷)를 내세운 일본의 책략에 완전히 빠져든 형국이었다’고 적었다. ‘동포에게 총을 겨눈 것은 사실이었고 비판을 받더라도 어쩔 수 없다’는 대목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 등은 이같은 내용 등을 토대로 백 장군을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포함시켰고, 김홍걸 당선자도 같은 취지의 주장을 폈다.

 

백 장군은 이에 대해 지난해 6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내가 간도특설대로 발령받아 부임한 1943년 초엔 항일 독립군도, 김일성 부대도 일본군의 대대적인 토벌작전에 밀려 간도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옮겨가 버리고 없을 때였다”며 “독립군과 전투행위를 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일본어판 자서전에서 간도특설대 근무 시절 조선인 항일 독립군과의 전투가 있었던 것처럼 기술한 데 대해 “1930년대 간도특설대 초기의 피할 수 없었던 동족 간의 전투와 희생 사례에 대해 같은 조선인으로서의 가슴 아픈 소회를 밝혔던 것”이라고 했다.

 

백 장군은 그동안 친일반민족진상규명위 등의 주장에 대해 언론 인터뷰나 법적 대응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백 장군의 측근은 “주위에서 명예훼손 등으로 법적인 대응을 하거나 공개 반박 등을 해야 한다는 건의를 드렸지만 백 장군은 대응을 하지 않는 게 좋겠다고 판단하셨다”고 했다. 일각에선 백 장군이 1944년 중국 공산당 팔로군 토벌작전에도 참여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백 장군은 이에 대해 “간도특설대의 박격포 지원 후방 소대장으로 주력부대가 아닌 단순한 경비임무를 수행했을 뿐”이라고 밝혔다.

 

 

 


2018년11월 백선엽 장군의 백수(한국 나이 99세) 축하 행사에서 해리 해리스 주한미대사가 정경두 국방장관이 지켜보는 가운데 무릎을 꿇고 축하인사를 하고 있다. /조선일보 DB

 

 

◇ 백장군을 ‘살아있는 전설’로 예우하는 미군

 

6·25전쟁 영웅인 백 장군에 대해 한국군보다 오히려 미군이 ‘살아 있는 전설(Living Legend)’로 부르며 극진히 예우해 왔다. 역대 주한미군사령관들은 이취임식에서 한국군 관계자들을 언급할 때 백 장군을 가장 먼저 호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주한미군은 2013년 그를 ‘명예 미 8군사령관’으로 위촉해 각종 공식행사 때 주한 미 8군사령관과 같은 예우를 해왔다. 지난해 11월 로버트 에이브럼스 한미연합사령관 겸 주한미군사령관은 마이클 빌스 미 8군사령관 함께 한국 나이로 100세 생일을 맞은 백 장군을 찾아 축하 인사를 했다.

 

국회 윤상현 외교통일위원장은 이날 “백선엽 장군을 서울현충원에 모실 수 없다는 문재인 정부 국가보훈처의 넋 나간 조치는 당장 취소돼야 마땅하다”고 했다. 이어 “서울현충원에 자리가 부족해도 없는 자리를 어떻게든 만들어서라도 모시는 게 나라다운 책무이고 예의이고 품격”이라며 “그런데 이런 국가의 은인을 찾아가 ‘서울현충원에 안장하더라도 다시 뽑아내는 일이 생길 수 있다’라는 폭언을 했다니, 이 정도면 국가보훈처가 아니라 국가망신처”라고 했다. 원희룡 지사도 “백 장군을 위한 자리는 서울 현충원에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이미지

2020052803555_0.jpg

김정석 입력 2020.05.31. 05:01 수정 2020.05.31. 07:13 댓글 279

 

SNS로 공유하기 펼쳐짐

인천상륙작전 하루 전 실시된 양동작전
139명 전사하고 92명 부상 큰 희생 치러
안전문제·소송 이어지며 4년 개관 못해

경북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해변에 문산호 전시관이 서 있다. 연합뉴스

7번 국도를 타고 경북 포항에서 영덕으로 올라가다 보면 해변에 높이 26m, 길이 90m에 달하는 거대한 선박 한 척이 눈에 들어온다. 영덕군이 한국전쟁 당시 '장사상륙작전'을 기념하기 위해 만든 전시관이다. 장사상륙작전에 투입된 선박인 '문산호' 모양을 본 떠 만들었다.

장사상륙작전은 인천상륙작전 하루 전인 1950년 9월 14일 대부분 학도병으로 구성된 육본 독립 제1유격대대 772명이 북한군 후방 교란과 7번 국도 보급로 차단에 성공한 양동작전이다. 상륙 당시 태풍 ‘케지아’의 영향으로 악천후 속에서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해안으로 어렵게 상륙한 부대원들은 엿새간 전투를 벌여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하는 등 큰 희생을 치렀다.

전쟁 이후 잊힌 장사상륙작전은 1997년 참전 학도병들이 ‘장사상륙작전 참전유격동지회’를 결성하면서 조명을 받기 시작했다. 또 좌초된 문산호로 추정되는 선체가 확인되면서 역사적 재조명을 통해 후대에 널리 알려져야 한다는 공감대가 생겼다. 이 때문에 전시관 문산호도 탄생했다.

경북 영덕군 남정면 장사리 해변에 지어진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문산호 전경. 영덕군

1950년 9월 15일 경북 영덕군 장사리 앞바다에 좌초한 문산호. 해군


이 전시관이 현충일 전날인 다음 달 5일 개관한다. 문산호는 겉으로 보기엔 이미 완성된 것 같지만 4년째 방치되고 있었다. 당초 2012년 착공해 2015년엔 문을 열 예정이었다. 하지만 공정률 80% 넘긴 시점에 각종 안전 문제가 드러나고 영덕군과 시공사의 법적 분쟁까지 발생하면서 문을 열지 못했다. 공사 기간 지연에 대한 시공사의 책임을 따지는 소송과 선미부 파손 하자손해배상 등 3건의 법정소송이 제기됐다.

하지만 지난해 법정 소송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소송과는 별개로 하자보수 공사를 우선 시행하기로 추진위와 설계사가 합의했다. 이후 지난 3월 선미부 하자보수보강 공사가 이뤄졌다.

개관하는 전승기념관 1층에는 장사상륙작전의 역사적 배경, 결성과 출동 등 전개와 고조를 전시한다. 2층에는 작전 전개부터 상륙 작전 종료까지 작전의 하이라이트를 살펴볼 수 있다. 각종 사진 자료와 체험 행사도 마련됐다. 관람 시간은 3~10월에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2월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전시관의 모티브가 된 문산호는 1943년 미국 인디애나에서 건조된 2300t급 LST(전차 상륙용 함정)로, 세계 2차 대전 당시 미 해군에서 사용하다 47년 한국 정부가 수송용으로 사들인 배다. 대한해운공사에서 수송용으로 사용했으며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 군사용으로 전환됐다. 50년 6월 26일 묵호경비부 대원을 묵호에서 포항으로, 7월 27일에는 육군 병력과 차량을 여수에서 진해로 옮기는 해상 수송 임무를 수행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개관식은 열리지 않는다. 영덕군은 코로나19 사태의 추이를 살피면서 오는 9월 14일 참전 유격 동지회 회원 등을 초청해 개관식을 열 계획이다. 해마다 9월 14일에는 장사상륙작전 전승 기념식이 열렸다.

이희진 영덕군수는 “장사상륙작전은 인천상륙작전에 가려졌지만, 한국전쟁에 있어 중요한 전투였다. 이번에 개관하는 전승기념관은 꽃다운 나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학도병의 숭고한 뜻을 후대에 널리 알리는 호국 안보 체험의 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6월 27일 충남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열린 '6ㆍ25전쟁 장사상륙작전 문산호 전사자 서훈식'에서 전사자 유가족이 심승섭 해군참모총장 등과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지난해 장사상륙작전 상륙 돌격 후 전사한 문산호 선원 10명이 69년 만에 화랑무공훈장을 받기도 했다. 해군은 지난해 6월 27일 충남 계룡대 해군본부에서 무공훈장 서훈식을 열고, 훈장을 유가족들에게 전달했다. 무공훈장을 받은 문산호 선원은 고(故) 이찬석, 고 이수용, 고 권수헌, 고 부동숙, 고 박시열, 고 윤은현, 고 안수용, 고 이영룡, 고 한시택, 고 김일수씨 등이다.

영덕=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6·25영웅 백선엽 장군에 서울현충원 못 내준다는 보훈처

작성자: 희노짱

조회: 1014 추천: 1 

작성일: 2020-05-27 12:01:45

국가보훈처가 최근 6·25전쟁 영웅인 백선엽〈사진〉 예비역 대장 측을 찾아 "국립묘지법이 개정되면 백 장군이 현충원에 안장됐다가 다시 뽑아내는 일이 생길까 걱정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26일 알려졌다. 올해로 만 100세를 맞은 백 장군은 최근 거동이 불편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보훈처는 "백 장군의 건강이 안 좋다는 소식을 듣고 장군의 정확한 건강 상태를 묻고자 한 것"이라고 했지만 백 장군 측은 "가족들 모두 최악의 사태까지 생각하고 있다"고 했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23&aid=0003534122

 

그래? 정권교체 하고 국립묘지법 개정해서 똑같이 하면 되겠네요.. 부관참시 할 인간 꽤 있습니다.

 

 

이나라에서 찬밥 대우 받는 6.25 전쟁 영웅 백선엽 장군은 현재 미군요양원에 계신걸로 압니다.

 

 

사진 출처 : 주한미군(백선엽 장군 95세 생일)

 

 

 

 

 

 

이미지

Previous

백선엽장군1-1.png

중국 지상군 경량화

윤석준의_차밀 작성자: 운영자

조회: 24784 추천: 1 글자크기 글자크기크게 글자크기작게

작성일: 2020-05-18 10:25:51

 


중국 지상군 경량화

 

 

 

중국 지상군이 과거 군구 내에 정치공작, 치안유지, 농공지원을 위한 주둔군이 아닌, 중원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전구로 원정작전(expeditionary operation)을 하는 신속기동군 또는 신속대응군으로 변신 중이며, 이는 중국 지상군의 경량화를 의미하고 있다.

 

2017년 4월 중국군 당(黨) 중앙군사위원회는 군구(軍區)를 해체하고 5개 지역 전구사령부(戰區司令部)를 창설하였으며, 18개 집단군(集團軍)을 13개로 축소하고 집단군 구성을 과거 2∼3개 사단(師)에서 신속성(agile), 기동성(manuerver), 독립성(independent) 그리고 유연성(cross-service)을 갖춘 대대(菅) 위주의 혼성여단(旅)으로 몸집을 줄였다.

 

중국 군사문제 전문가들은 2017년 이전까지 중국 지상군의 1개 집단군 구성을 40대의 Type 08형 8X8 차량형 장갑차(輪式裝甲車), ZBD-09형 8X8 30㎜ 대공기관총와 105㎜ 직사포를 갖춘 보병전투차량(步兵戰鬪車)를 구비한 기계화 보병부대, 약 120대의 Type-99A2형 주전차로 구성된 4개의 전차부대 그리고 24개 곡사포를 갖춘 포병부대와 전투군수지원과 통신부대로 구성된 2∼3개 사단이라고 평가하였으나, 2017년 이후부터는 혼성여단 위주의 원정군 체제로 경량화를 추진 중이라고 전망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중국 지상군의 경량화가 2014년부터 미 육군이 개발하고 있는 전투여단(BCT: Brigade Combat Team) 개념을 모방하고 있다며 이는 지상작전 개념을 과거 주둔작전이 아닌, 지상기동전, 공지작전, 공중강습, 화력작전과 상륙작전으로 변경하고, 미 육군 BCT가 전 세계 어느 전구이든 96시간 이내에 신속대응이 가능하도록 General Dynamic사의 Stryker 전투차량과 M109형 155㎜ 자주포를 C-17 또는 C-130 허큐리스(Hercules) 수송기에 탑재하는 것과 같이 중국군 지상군도 전차, 전투차량과 자주포를 Y-20 또는 Y-9 수송기에 탑재가 가능하도록 경량화시키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즉 해·공군력 발전에 상응하여 지상군이 작전적 보조를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듯이 지난 5월 7일자 『PLA Daily(解放軍報)』는 중국 지상군의 경량화를 대변하는 신형 전력 실전배치를 보도하였으며, 이는 혼성여단의 화력작전을 대표하는 PCL-181형 155㎜ 6X6 차량형 곡사포으로서 미 육군 BCT의 M109형 또는 M777형 155㎜ 자주포에 맞대응하는 조치로 평가되고 있다.

 

그동안 중국군은 다양한 곡사포를 생산하였으며, 이들은 대부분 구소련과 러시아 모방형이었다. 예를 들면 1960년대의 152㎜ 견인포, 1970년대 Type 54형 152㎜ 궤도형 자주포, 1980년대부터 배치된 Type 83형 152㎜ 차량형 자주포, 1990년대부터 배치된 PLZ-05형 155㎜ 궤도형 자주포 그리고 2009년부터 배치된 PCL-09형 122㎜ 6X6 차량형 자주포들이었으며, 이들 화력전력들은 구소련 교리에 따른 주둔군 지상작전용으로 공지작전, 공중강습 등의 원정작전을 위한 공중수송에 있어서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중국군은 견인포를 자주포로 바꾸면서, 곡사포 구경을 130㎜와 152㎜에서 122㎜와 155㎜로 개선하고, 이동수간을 궤도형에서 차량형으로 그리고 Y-20에 이어 Y-9에 탑재가 가능하도록 중량을 대폭 줄이는 경량화를 추진하였다. 여기에는 중국 지상군의 교리 변화 이외에 위협 평가, 포신 관련 군사과학기술 입수, 신속 공중수송 여건과 그리고 중국내 전구간 이동 여건 개선 등의 요소가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 육군의 다양한 형태의 BCT 구성, 러시아 의존을 탈피하기 위해 유럽으로의 포신 관련 군사과학기술 입수, 혼성여단 구성에 따른 화력작전 개념 변화 등이었다.

 

지난 2019년 10월 1일 텐안먼 군사열병식에서 중국 지상군은 PCL-181형 6X6 차량형 곡사포를 처음으로 선보였으며, 최근엔 동부전구사령부에 배치한 것으로 보도하였다. 특히 지난 4월 30일 『Global Times(還球時報)』와 5월 7일 『PLA Daily(解放軍報)』는 PCL-181형 155㎜ 6X6 차량형 곡사포가 기존의 PL-86형 152㎜ 차량형 곡사포를 대체하고, PLZ-05형 또는 PLZ-52형 155㎜ 궤도형 곡사포와 함께 운용될 것이라며, 1990년대 말부터 배치한 PLZ-05형 155㎜ 궤도형 곡사포에 이어 PCL-181형 155㎜ 6X6 차량형 곡사포를 개발한 이유를 다음과 같이 보도하였다.

 

첫째, 지상작전 개념 변화이다. 즉 지상작전이 점령에서 적의 기능을 무력화시키는 차단과 통제로 변화됨으로써 화력운용 개념이 제압사격에서 표적정밀사격으로 변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화력의 정확도와 사거리 확장이 추진되었다는 것이다. 특히 원정작전의 혼성여단 편성으로 화력작전이 가로 세로 200㎢의 정형적 사단 작전구역에 대한 무력화 개념에서 원거리 핵심 표적에 대한 표적사격과 살상력을 높이는 기동형 화력전으로 변화함에 따라 130㎜는 122㎜로 축소하여 정확도를 개선하였고, 152㎜는 155㎜로 늘여 화력을 증대시켰으며, 사거리를 40km에서 최대 72km까지 확장하였다.

 

실제 지난 5월 8일 미 『Global Security』는 지난 4월 30일 중국 동부전구사령부 지상군 혼성여단의 포병대대 창설식에 PL-86형 152㎜ 차량형 곡사포를 대체할 18대의 PCL-181형 155㎜ 6X6 차량형 곡사포가 관측되었다면서 1개 포병대대가 과거 24대에서 18대로 감소되었으며, 궤도형에서 차량형으로 변화되어 경량화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둘째, 3분 원칙의 신속성(fastness)이다. 기존 PL-66/86형 152㎜ 궤도형 곡사포는 대기(parking)-진격(marching)-전투사격(combat)까지 소요 시간이 너무 길었으며, 이는 혼성여단 주력이며, 중국형 Stryker라고 불리는 ZBD-09형 보병전투차량의 이동에 제한을 주었다. 즉 화력 지원이 늦어 전장에 투입될 보병대대 운용이 늦어지고 있었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ZBD-09형 보병전투차량을 개량해도 화력작전이 신속하지 못하면, 작전효과가 미흡하였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특히 지난 5월 7일 『PLA Daily(解放軍報)』는 중국군이 “3분 원칙”을 설정하였으며, 구소련 D-74 자주포를 모방한 Type 59형 152㎜ 곡사포는 분당 5∼6발 사격로 발사속도가 느려 3분 원칙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며, PCL-181형 155㎜ 6X6 차량형 곡사포는 기존 40발 탄약 탑재에서 75발까지 확대하면서 대기(parking)-진격(marching)-전투사격(combat) 시간을 3분으로 줄었다고 보도하였다. 아울러 지난 5월 8일 미 『Global Security』는 중국북방공업(中國北方工業: NORINCO)이 3분원칙을 위해 프랑스 시저(Caesar)사의 곡사포 관련 군사과학기술을 이전받고 차량 운전석(driver cab)을 개량하여 PCL-181형에 탑재된 SH-15 155㎜ 곡사포가 좌·우 30⁰와 고각 20⁰∼70⁰까지 조정될 수 있도록 개선하였으며, 표적 방위와 곡사포 방위 간을 자동으로 융합하는 차량용 자동사격통제시스템(AFCS)을 탑재하였다고 보도하였다.

 

또한 중국북방공업(NORINCO)가 기술이전에 소극적인 러시아보다, 영업이익에 비중을 둔 유럽 방위산업체로부터 포신 관련 군사과학기술과 노하우 습득이 쉬웠다면서, 이를 통해 미 육군 M777 155㎜와 인도 육군의 K9 155㎜ 성능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었다고 평가하였다.

 

셋째, 차량 개선이다. 예를 들면 PCL-09형 122㎜ 차량형 곡사포는 포신이 뒤로 설치되어 최고속력으로 이동시에 전복(rollover)되는 사고가 많았으나, 이번 PCL-181 형 155㎜ 곡사포는 포신을 차량 앞으로 하여 155㎜ 포신 탑재에도 불구하고 차체 안정도를 높여 전복사고 가능성을 최소화시켰다. 특히 PCL-181형 차량은 엔진을 개량한 타이엔 오프로드 차량(泰安通用越野疷盤)으로 전륜구동에 기동성이 우수하며, 확장된 작전거리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중국북방공업(NORINCO)은 PCL-09형 122㎜ 차량형 곡사포를 2019년 10월 1일 공개이전에 서부전구사령부 지역 산악지대에서 작전운용 시험을 거쳐 성능을 증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넷째, 공중수송이다. 기존 자주곡사포와 전차는 대부분 40톤∼35톤으로 이는 중국 공군의 Y-20 대형 수송기에 탑재하는데 애매모호하였다. 즉 탑재 중량이 60톤인 Y-20에 2대는 힘들고 1대만 탑재하자니 너무 비효율적이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PCL-181 6X6 차량형 곡사포 중량을 25톤으로 줄여 Y-20에 PCL-181 6X6 차량형 곡사포 2대 또는 PCL-181 6X6 차량형 곡사포 1대와 최근 배치한 30톤의 Type 15 경전차 1대를 탑재하는 ‘공중수송 배합’을 갖추었다.

 

아울러 중국 공군의 주력 수송기 Y-9의 탑재중량 25톤에 PCL-181형 155㎜ 차량 곡사포 중량을 맞추었다. 현재 중국 공군은 Y-20을 20대만 보유하고 있어 국내·외 신속기동군 지원을 위한 지상전 장비와 무장을 이동시키는데 제한적이었다. 이는 지난 우한(武漢) COVID-19 사태시에 증명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Y-9을 추가로 투입하였다. 2014년부터 배치한 미 육군 C-130 허큐리스를 모방한 Y-9 수송기는 중량 25톤의 PCL-181 155㎜ 6X6 차량형 곡사포를 탑재할 수 있다.

 

다섯째, 중국 도로, 다리 및 철도 상황에 맞추었다. 현재 중국은 도시를 제외한 향촌의 다리와 도로는 35톤급 중량 곡사포 차량 또는 궤도형 곡사포가 이동하는데 제한적이다. 이에 곡사포 차량 중량을 줄여 구형 다리와 도로를 통과하는데 문제가 없도록 개선하였다. 이는 2019년 4월 일본육상자위대가 기존 Type-90형 전차를 Type-10형 경전차로 개량한 이유로서 Type-90형 전차가 일본 전역 약 18,000 다리 중 약 65%만 지날 수 있어 지상작전이 제한되자, 기존 다리 통과율 84%까지 높이기 위해 Type-90형 전차를 Type-10형 경전차로 개량한 이유였다.

 

중국군도 예외일 수 없었다. 1990년대 이후 중국 도시의 대부분 다리와 도로가 개선되어 문제가 없으나, 내륙 향촌, 티벳과 신장자치구 내의 도로와 다리에는 중량형 보다는 경량형이 요구되었다. 특히 중국 전역에 구축된 약 12만 7천km의 고속철도를 활용하는데 편리하도록 6X6 차량형을 만들어 중국 전구 내 지상작전만이 아닌 중국 전구 어느 전구이든 고속철도로 신속히 이동하도록 중량을 대폭 감소시켰다.

 

여섯째, 무인기와 합동작전이다. 지난 2월 5일 영국 『제인스국방주간(Jane's Defence Weekly)』은 중국 Harwar(嗬瓦)사가 중국 지상군의 지상작전 지원용 Zhanfu(戰斧) H16-V12 무인수직이착륙기를 중국 지상군에 납품하여 ZBD-09 보병전투차량과 함께 훈련하고 있다고 보도하였으며, 5월 10일 『Global Times(還球時報)』는 중국북방공업(NORINCO)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ZBD-03형 공중수송용 무인 4륜 무장차량(airborne infantry fighting vehicle)을 중국 지상군 물자 이송에 사용한다면서, 이를 Y-20과 Y-9 수송기에 탑재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얻는다. 우선 과거에는 중국군이 전력 제원과 개량에 대해 구체적 배경과 이유를 공개하지 않았으나, 이제는 자신있게 어느 국가를 모델로 삼아 모방하였으며, 왜 전력 개선을 추진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공개하고 있으며, 이를 중국 관용 매체들은 가감없이 보도하고 있다. 이는 중국군이 과거 홍군(Red Army)이 아닌, 국방군(national armed force)로 변신하고 있으며, 그만큼 자신감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아울러 중국의 군사적 위협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 그동안 중국군사문제 전문가들은 중국 군사위협을 중국군이 과거 중국의 전략적 실수와 군사적 무지를 극복하고 이를 중화주의에 바탕을 둔 역사적 기득권 복원에 두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나, 앞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중국의 군사적 위협은 역사성이 아니며, 철저하게 미국 등의 서방 국가 군사력을 평가함에 따른 군사적 대등성 또는 우위를 두려는 작전적이며 전술적 노력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중국 지상군은 해·공군력 발전과 보조를 맞추어 전장에서의 승리를 위한 ‘게임 체인저’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를 신속성, 기동성 그리고 유연성을 지닌 이번 PCL-181 155㎜ 6X6 차량형 곡사포에서 찾을 수 있었다. 더욱이 무인기와 합동작전을 실시하여 경량화에 이어 가로·세로만이 아닌 높이까지 운용하는 3차원 공간의 화력작전을 추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향후 중국 지상군의 원정작전이 어떤 모습일까가 기대된다.

 

 

 

작성자 윤석준은 한국군사문제연구원 객원연구위원으로

현재 한국해로연 연구위원과 육군발전자문위원으로 활동 중이며,

예비역 해군대령이다.

- 주간 현안 및 쟁점

 


△ 중국발 「코로나-19」가 브라질 등 남미로 확산되고, 경제적 침체 등 여파가 본격화되는 가운데, 미중 대결 국면이 더욱 격화되면서 국제안보 질서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음. 미국의 대통령 선거를 의식한 대외정책, 홍콩 및 대만, 경제 문제 등 중국의 현안, 러시아의 코로나 대처 등 주요국의 정국 불안이 맞물려 역내 국가들의 전략적 입지도 제한되고 있음. 최근 남중국해 등 분쟁지역을 둘러싼 미중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고, 중국 책임론 공세 등 「Post-코로나」 관련 국제사회의 주도권 확보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어, 향후 한반도를 둘러싼 북한의 군사적 도발 추이와 미중 전방위 충돌 등 우발적 사태 추이가 주목됨.
* 「코로나-19」 관련 219개국 / 사망 341,290명, 확진 5,248,227명


0 미국은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미중 경쟁 가속화 추이는 대선판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 트럼프 대통령은 국내 지지도 만회를 위해 미중 무역전쟁 재개와 군사적 대결 움직임을 강화하고 있으며, 중국의 반응과 코로나 대응성과에 대한 미국 내 여론의 향방이 주목됨. 향후 미국 내의 경제상황과 재정압박 가중이 동맹 정책 및 한미 군사적 대비태세에 미치는 영향이 제기되고 있어, 방위비 분담금 협상 등 갈등 쟁점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우려됨.

 

0 중국은 「코로나-19」 진정 국면이 유지되는 가운데, 일부 재발 양상에 대해 집단격리 등 강경 대처하면서, 전인대와 정치협상회의를 전격 개최하였음. 「Post-코로나」 관련 중국 고립화 시도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국제적 반발 확대를 경계하는 한편, 미중 군사적 충돌과 무역전쟁 관련 주도권 경쟁에 본격 대응책 채택 여부가 주목되는 가운데 「홍콩 보안법」 추진이 새로운 불씨가 되고 있음. 향후 분쟁지역은 물론 남북관계를 둘러싼 한반도 관련 중국의 개입 동향이 주목됨.

 

0 일본은 「코로나-19」 관련 25일 「긴급사태 조치」 전면 해제를 검토하고 있으나, 동경 등 대도시 상황에 대한 우려는 지속되고 있음. 「Post-코로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나, 최근 내각 지지율 27% 등 국민 여론이 급격히 악화되면서 정권불신이 심화되고 있음. 2020년 외교청서에서 작년과 달리 「한국은 중요한 이웃」이라 언급하면서도, 영토 관련 기존 주장 반복 등 당분간 한일관계 개선은 어려울 것으로 보임. 대중국 견제를 위한 미일 공동훈련을 강화하는 한편 일중 관계 개선에 적극적 입장을 견지하는 등 이중적 대외 접근 자세를 견지하고 있으나 실효성은 의문시됨.


0 북한은 「코로나-19」 위기 중에도 3월 이후 단거리 미사일 발사와 강원도 비무장지대 내 아 GP 총격 등 대남군사도발을 지속해 왔으며, 24일 당중앙 군사위를 통해 핵억제력 강화방침 제시 등으로 보아, 향후 경제 침체와 정국 불안 타개를 위해 저강도 도발 가능성이 우려됨. 한미연합작전태세 유지 및 철저한 경계감시 대응태세가 요망됨.

 

 

※ 『코로나-19』 현황


1. 현황(5.24일 09시 현재) : 219개국 / 341,290명 사망 , 확진 5,248,227명
* 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909015&cid=43667&categoryId=43667#TABLE_OF_CONTENT1

 

 

 

 


3. 국내 현황(5.24일 0시 현재) : 사망 266명, 확진 11,190명

 

 

 

 

 

♡♣ 괴로움 속에서 즐거움을 얻어라 ♣♡

사람들은 한결같이 그 괴로움이라는 것을 싫어한다. 그래서인지 괴로움이 삶을 아름답고 즐겁게 만들어 준다는 사실을 전혀 의식하지 못한 채 살고 있다. 사람들은 지나가 버린 고통의 나날이 얼마나 아름다운 지를 한참 후에야 깨닫는다. 태풍이 없으면 바다가 살지 못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면 된다. 누구에게나 괴로움은 있는 것이다. 괴로움을 통째로 받아들이려 하지 마라. 괴로움을 이제 곧 다가올 환희를 위한 태풍의 눈쯤으로 받아들여라. "추녀 끝에 걸어 놓은 풍경도 바람이 불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 바람이 불어야 비로소 그윽한 소리가 난다. 인생도 평온무사 하다면 즐거움이 무엇 인지를 알 수 없다. 기쁜 일이 있으면 슬픈 일이 있고, 즐거운 일이 있으면 괴로운 일이 있게 마련이다. 이처럼 삶의 희로애락이 뒤엉키고 함께 어울림으로써 심금 울리는 그윽한 인생 교향악이 연주되는 것이다."

'위인.교육.기타 > 세상살아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당신에게 -좋은글  (0) 2020.06.29
아름다운 인연  (0) 2020.06.13
소만 [小滿]  (0) 2020.05.19
신통한 생활의 지혜   (0) 2020.05.15
바다 깊은 곳에 본성이 있다   (0) 2020.05.06

[뒷북정치] 文 '비핵화구상'과 반대로 가는 北김정은 "핵으로 전쟁 억제"

입력2020-05-24 22:00:01 수정 2020.05.24 22:00:01 윤경환 기자

facebook 공유 twitter kakao email

 

 김정은 "전략 무력, 고도의 격동상태에서 운영"

핵탄두 탑재 가능 ICBM·SLBM 등 추진 우려

핵개발 책임자 승진... 美대선판 겨냥 분석도

美는 28년만 핵실험 검토... 文 구상과 배치

청와대는 말아껴... "관련 부서에서 분석 중"

 

viewer

 

김정은. /연합뉴스

 

 



22일 만에 공개활동을 재개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전쟁 억제력 강화”를 주문한 가운데 그의 의도가 미국·한국 정부가 바라는 비핵화 조치와는 완전히 반대인 것으로 분석돼 우려를 낳고 있다.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원하는 미국 정부의 입장과 달리 김정은은 ‘전략 무력의 고도화’라는 사실상의 핵 카드를 꺼내 ‘내 갈 길을 기겠다’는 구상을 공개적으로 내비쳤다. 일각에서는 미국이 28년만에 핵실험 재개를 검토했다는 소식 속에 북한 역시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조만간 개발·실험하는 게 아니냐는 걱정도 나온다.

viewer

 

북한 발사체. /연합뉴스

“전략 무력, 고도의 격동상태에서 운영”... ICBM·SLBM 추진 우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24일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 개최 소식을 전하면서 “김정은 동지께서 회의를 지도하시었다”고 밝혔다. 지난 2일 평안남도 순천인비료공장 준공식에 참석한 모습이 공개된지 22일(보도 날짜 기준) 만이다.

통신은 이날 회의에서 “국가 무력 건설과 발전의 총적 요구에 따라 나라의 핵전쟁 억제력을 한층 강화하고 전략 무력을 고도의 격동상태에서 운영하기 위한 새로운 방침들이 제시됐다”고 전했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또 “조선인민군 포병의 화력타격능력을 결정적으로 높이는 중대한 조치들도 취해졌다”고 소개했다.

북한 전문가들은 김정은이 이번 회의를 통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느슨해진 군부를 다잡고 내부 결속을 꾀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는 ‘전략 무력을 고도의 격동상태에서 운영하기 위한 새로운 방침’ ‘조선인민군 포병의 화력타격능력을 결정적으로 높이는 중대한 조치’ 등에 ICBM이나 SLBM도 포함되는 것으로 분석했다. 신형 잠수함 진수식과 SLBM 시험발사 등이 임박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조선중앙통신은 “공화국 무력의 군사정치 활동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편향들에 대하여 총화 분석하고 그를 극복하고 결정적 개선을 가져오기 위한 방조적 문제들과 무력구성에서의 불합리한 기구 편제적 결함들을 검토하고 바로 잡기 위한 문제 자위적 국방력을 급속적으로 발전시키고 새로운 부대들을 조직 편성해 위협적인 외부세력들에 대한 군사적 억제 능력을 더욱 완비하기 위한 핵심적인 문제들이 토의됐다”고 전했다. 이번 회의는 실내 행사였음에도 김정은뿐 아니라 모든 참석자들을 마스크를 쓰지 않았다.

viewer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연합뉴스

 

핵무기 개발 책임자 중용... 核카드로 美압박

일부 전문가들은 지난달부터 ‘신병 이상설’을 무릅쓰고 이어진 잠행도 전략 무기의 고도화 작업과 무관하지 않은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실제로 미국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BEYOND PARALLEL)’는 이달 5일(현지시간) ‘신리 탄도미사일 지원시설’이라는 보고서를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북한이 평양 순안국제공항 인근 ‘신리’라는 곳에 탄도미사일 프로그램 확장과 관련한 것이 거의 분명한 대규모 시설 완공을 앞두고 있다고 전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새 시설 가운데 천장 고도가 높은 건물은 ICBM인 ‘화성-15’와 북한의 모든 탄도미사일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다. 존 랫클리프 미국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같은 날 미국 상원에서 열린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 정권의 계속되는 핵무기 보유와 이를 발사할 수 있는 시스템 추구는 여전히 깊은 우려를 낳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당 중앙군사위원회와 군 고위층에 대한 인사도 단행했는데 무엇보다 북한 미사일 개발 분야의 핵심 인사인 리병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군수공업부장이 중앙군사위 부위원장으로 선출된 점이 눈에 띄었다. 리병철은 북한 핵과 미사일 개발을 책임진 핵심 인사로 꼽힌다. 김정은 집권 후 수년간 주요 무기 실험 현장에서 김정은을 지근 거리에서 보좌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리병철 외에도 포병 전문가인 박정천 군 총장모장이 차수로, 정경택 국가보위상이 대장으로 각각 승진했다.

‘핵전쟁 억제력’이라는 표현은 다분히 미국을 겨냥한 표현이라는 진단이 나왔다. 지난해 2월 하노이 협상 결렬 이후 북미관계가 교착 상태를 이어가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에 빠진 북한이 미국에 다시 한 번 압박 메시지를 보낸 것이라는 해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미중 간 신냉전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연말까지 북미협상이 없다고 한 상황에서 군사분야에서의 논의 과정이 필요했을 것”이라며 “구체적으로 핵 억제력 강화라는 표현이 2년 만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viewer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韓 ‘비핵화 구상’과 반대... 美는 28년만 핵실험 검토

김정은의 이 같은 행보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강조한 미국 정부와는 전혀 상반된 것이다. 북미 관계 복원을 꾀하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구상과도 차이가 큰 것으로 진단된다. 김정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북핵 관련 업적을 겨냥해 미국 대선판에 영향을 주려 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폼페이오 장관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설득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길 원한다”고 말하면서도 ‘검증가능한 비핵화’ 원칙을 사실상 재확인했다. 또 다른 미국 국무부 관계자도 20일(현지 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보낸 논평에서 “남북협력이 반드시 (북한) 비핵화의 진전과 보조를 맞춰 진행돼야 한다”꼬 재강조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최근 북한 비핵화에 대한 언급을 자주 하지는 않았지만 지난해 말 기고 전문매체 ‘프로젝트 신디케이트’를 통해 “북한이 진정성을 갖고 비핵화를 실천해 나간다면 국제사회도 이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의 한반도 평화 구상에 북한 비핵화 실천이 여전히 가장 절대적인 전제라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관련 부서에서 분석 중”이라며 “더 이상 말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고만 했다.

한편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22일(현지시간) 미국 행정부 고위관료를 인용해 이달 15일 국가 안보기관 수장들이 모인 회의에서 미국이 지난 28년 동안 중단됐던 핵실험 재개를 검토했다고 보도했다. 최근 핵실험 의혹을 받는 러시아와 중국에 경고장을 날린 것이다.
/윤경환기자 ykh22@sedaily.com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1Z2VK8A4RX

고성혁의_역사추적

동경 124도선 넘지 말라는 중국, 서해바다도 위태롭다

고성혁의_역사추적 작성자: 고성혁

조회: 20557 추천: 2  

 

작성일: 2020-05-21 16:18:53

동경 124도선 넘지 말라는 중국, 서해바다도 위태롭다

 


해프닝으로 끝난 김정은 사망설


김정은이 얼굴을 드러냈다. 4월 11일 평양에서 열린 노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회의 참석 이후 20일 만이다. 김정은 건강 이상설은 4월 15일 태양절(김일성 생일)에 김일성·김정일 시신이 안치된 금수산태양궁전을 참배하지 않으면서 불거졌다. 여기에 초고도비만인 김정은의 신체조건이 맞물렸다. 어쨌거나 김정은이 나타나면서 그의 사망설은 하나의 해프닝으로 끝났다. 그런데 그 후폭풍이 우파에 만만치 않다. 특히 북한 고위급 탈북자들과 21대 총선에 당선자까지 나서서 김정은 사망설에 무게를 실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탈북자 출신 지성호, 태영호 당선자에게 비난의 화살이 쏟아졌다. 지성호 당선자는 김정은 사망이 99% 확실하다고 단정까지 했다. 그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 당시 미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지목받기까지 해서 화제가 된 적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인들은 지성호 씨의 말을 더 신뢰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북한 강성산 총리의 사위인 강명도 씨의 경우는 유튜브를 통해 북한 내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하면서 마치 수술 중 문제가 생긴 것처럼 말하기도 했다. 해당 게시물은 조회 수가 무려 123만이나 되었다. 또 미사일 발사장에서 뇌졸중으로 쓰러진 것처럼 언급하기도 했다. 그런데 김정은이 나타나면서 그들의 단언에 가까운 주장은 일종의 가짜뉴스가 되고 말았다. 강명도 씨는 1994년, 지성호 씨는 2004년 탈북했다. 결국 지성호, 태영호 당선자는 5월 4일 입장문을 내고 대국민 사과를 했다. 지성호 당선자는 “지난 며칠간 곰곰이 자신을 돌이켜봤다. 제 자리의 무게를 깊이 느꼈다”며 “앞으로 공인으로서 신중하게 처신하겠다”고 말했다. 유권자들이 21대 국회에 탈북자 출신을 진출하게 한 것은 누구보다 그들이 북한을 잘 알고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다. 어쨌든 이번 김정은 사망설이 빗나감에 따라 고위급 탈북자들이 북한 소식통을 인용한 주장은 상당히 신뢰성에 큰 상처를 입게 되었다.

 

비슷한 시기 기자에게도 제보가 들어왔다. 중국 북부전구 소속 대규모 기갑부대가 북·중 국경 쪽으로 이동 중이라는 내용이다. 동영상까지 포함한 해당 트윗은 한두 개가 아니었다. 민간 대형 트레일러에 실려 이동하는 중국 기갑부대 행렬은 끝이 없었다. 영상으로 보면 분명 중국군이 이동하는 것은 맞다. 영상과 함께 글도 있었다. 김정은 사망 같은 급변사태에 중국군이 대비하려는 것 아니냐는 내용이다. 김정은 사망과 연결해 본다면 매우 그럴 듯해 보였다. 같은 시기 미 공군의 B1-B 전략폭격기도 일본 항공자위대와 함께 동해상에서 훈련한 기사가 올라왔다. 여러 정황만 놓고 본다면 김정은이 죽은 것 아니냐는 데 무게를 실을 만했다. 그러나 기자는 이것을 기사화할 수 없었다. 팩트 체크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심양에 본부를 둔 중국군 북부전구는 정례적으로 압록강 지류에서 도하훈련을 수차례 실시한 적도 있다. 군사적 시각에서 볼 때 중국군이 북한에 개입하려 했다면 일반 시민들 눈을 피해 은밀히 기동하는 것이 맞다. 기갑부대 이동에 민간 트레일러를 이용하는 것도 기밀성을 요하는 작전과는 거리가 멀어 보였다. 그래서 제보 내용을 일축했다. 결과적으로도 중국군 기동은 김정은 사망설과는 전혀 관련이 없었다.

 

이제 우파사회는 뉴스든 정보든 그리고 사람이든 간에 필터링 능력을 키워야 한다. 잘못하면 좌파세력에 역공당하기 때문이다. 그동안 오피니언 리더급 탈북자들의 주장을 맹목적으로 받아들인 것도 이번 일을 계기로 반성할 필요가 있다. 탈북자라고 해도 탈북한 지 10년이 훌쩍 넘는다면 그들 입을 통해 나오는 북한 내 소식은 왜곡될 여지가 있다. 일반 북한 주민의 일상이라면 몰라도 북한 최고 수뇌부의 초극비 동향을 그들이 알고 있다는 것 자체가 사실 어찌 보면 난센스다. 아무리 북한이 폐쇄적이라고 해도 최고지도자 사망을 1주일 이상 숨기거나 발표하지 않을 수는 없다. 과거 김일성, 김정은 사망 시에도 공식 발표는 3일을 넘지 않았다. 김일성이 사망했을 때도 사망 발표는 하루 반 정도인 34시간이 지나서 공식화했다. 김정일 사망은 김일성 사망 발표 34시간보다는 길었지만 이틀이 조금 지난 51시간 후 발표했다.

 

후계자가 없다고 해도 최고 권력자 사망을 1주일 이상 질질 끌고 가기는 사실상 힘들다. 권력이라는 속성상 진공 상태를 허락하지 않기 때문이다. 너무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도 문제다. 일반 북한 주민의 일상이라면 몰라도 북한 최고 수뇌부의 초극비 동향을 그들이 안다는 것 자체가 현실성이 없다. 이번 일을 계기로 해서 우파사회는 북한 관련 소식뿐만 아니라 민감한 사항은 크로스 체크로 걸러낼 필요가 있다. 필터링을 전혀 하지 않는다면 우파사회 전체가 좌파세력에 도매금으로 매도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사진 : 김정은 사망설과 맞물리면서 북중 국경으로 이동하는 중국군 기갑부대 영상이 트위터 상에 퍼지기도 했다.

 


언제든지 북한에 진주할 수 있는 중국군 북부전구

우리가 김정은 사망설에 촉각을 세우는 것은 그것이 북한 급변사태에 연결될지도 모른다는 예측 때문이다. 이번 김정은 사망설에 우리 언론은 온통 김정은의 후계자가 누군지에 초점을 맞췄다. 대체로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이 권력을 승계할 것이라고 추측했다. 그러나 권력이라는 것은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른다. 과연 그렇게 될지는 실제로 일이 닥쳐봐야 안다. 누가 권력을 잡더라도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중국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측면이다.

 

 

 

 

 

북한은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도 중국 위성국이라고 봐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더 중시해야 할 부분은 중국군의 움직임이다. 중국군은 언제든지 북한에 진주할 수 있다. 사실 이 부분은 우리보다 북한 김정은이 더 민감할 수 있다. 처형된 김정은 고모부 장성택이나 살해된 배다른 형 김정남도 중국과 연결되어 있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중국은 역사적으로도 주변국에 정치적으로 개입하는 것을 당연시했다. 같은 공산권 국가라도 마찬가지다. 1968년 체코 ‘프라하의 봄’ 당시 소련군은 탱크로 체코를 무력 침공했다. 체코에서 일어난 체제 변화를 ‘마르크스·레닌주의로부터의 이탈 방지’라는 명분을 내세운 것이다. 1968년 8월 20일 소련군을 비롯한 바르샤바조약기구 5개국군 약 20만 명을 동원 침공해 체코 개혁파 주도자들을 숙청했다.

 

최근 홍콩 민주화 시위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공산당이 홍콩 민주화 시위가 더 번질 경우 중국 인민해당군을 투입할 것이라고 공공연히 밝힌 바 있다. 그러는 사이에 우한 폐렴 바이러스가 번지면서 홍콩 민주화 시위는 뉴스에서 사라졌다. 물론 중국군이 북한에 개입한다면 북한 민주화 때문은 아닐 것이다. 당분간은 말이다. 6·25 전쟁 때도 그랬던 것처럼 중국군이 한반도에 개입하는 명분은 소위 ‘항미원조(抗美援助)’ 차원이다. 현재의 휴전선 넘어 한미 양국군이 북상할 경우 중국군을 언제든지 투입한다는 것을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실제로 2017년 4월 25일 중국 북부전구사령부는 경계태세를 2급으로 격상시킨 전례가 있다. 홍콩에 본부를 둔 중국인권민운정보센터는 미국과 북한간 전쟁 발발에 대비하기 위해 2017년 4월 25일 새벽부터 북중 접경지역을 관할하는 북부전구(戰區)에 가장 높은 전비 태세 등급을 격상시키고 20만 병력을 동원했다고 전했다. 일본 요미우리신문도 이 내용을 재차 확인하기도 했다.

 

당시 대만 중국시보(中國時報) 역시 중국 인민해방군 북부전구가 한미연합 키리졸브 훈련과 독수리 훈련 기간에 발생할지도 모를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산하 4개 집단군, 43만 병력 중 약 2개 집단군의 15만 병력을 북·중 접경에 배치했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정세 악화의 정도와 대비 수준에 따라 모두 4개 등급의 전시대비령을 발령한다. 우리의 ‘데프콘(DEFCON)’과 비슷한 체계다. 1급 전시대비령은 전쟁 직전의 긴박한 사태에 발령하는 것이고, 2급은 정세 악화, 3급은 정세 긴장 시에 발령한다. 통상시는 4급이다.

 

2017년 4월은 북한의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로 인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최고조로 높아진 상태였다. 그래서 중국 북부전구에는 경계태세가 2급까지 올라갔다. 미국의 전략폭격기가 한반도 상공에서 비행하고 미 항모전단이 급파되는 상태였다. 이렇게 되자 중국군도 경계태세를 최고조로 올린 것이다.

 



그림 : 중국이 주장하는 동경 124도선. 중국 기준으로 하면 서해바다 70% 가까이가 중국바다가 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2015년 11월 24일 대폭적인 중국군 개혁지침을 발표했다. 7개의 대군구(大軍區)를 5개의 전구(戰區)로 재편하면서 중앙 통제의 통합사령부를 창설했다. 한반도 유사시 투입될 중국군은 북부전구(北部戰區) 소속이다. 북부전구는 과거 심양군구를 주축으로 제남군구를 포함해 확대 개편되었다. 만주에 주둔하고 있는 중국군은 주기적으로 압록강 인근 지류에서 대규모 도하훈련을 실시했다. 2004, 2008, 2012년 4년 주기로 하던 도하훈련은 2013년부터는 매년 실시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2013년에는 압록강 하구 단동 인근에서 도하훈련하는 것이 현지 주민들에게 포착된 바 있다. 그중 가장 큰 도하훈련은 2014년에 있었다. 심양군구 소속 39집단군이 투입되었다.

 

중국군도 과거 병력 위주의 군대에서 장비와 기술 위주의 현대적 군대로 변모했다.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화력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군은 북부전구 소속이다. 바로 한반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중국군 편제에서 집단군(集團軍)은 우리 군 편제로 비교하면 강화된 군단과 비슷한 성격이다. 중국군 집단군의 편제는 기계화 보병사단 1개와 기계화보병여단 4개 그리고 1개의 기갑여단이 주축이 된다. 여기에 보통 1개의 항공단과 1~2개의 포병여단과 방공여단이 추가된다. 중국군 편제에서 방공여단이 있는 것은 6·25전쟁 당시 미공군의 혹독한 공격을 받은 영향이 크다. 미군에 비해 공군력이 취약했던 중국군 입장에서는 방공여단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과거 심양군구 소속 39집단군은 현재 북부전구로 재편되면서 79집단군으로 단위부대명이 바뀌었다. 북부전구사령부는 기본적으로 수도 베이징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79집단군은 북·중 접경의 요녕성에 주둔하면서 유사시 한반도에 즉각 투입될 수 있는 중국 북부전구이 주력이다. 그 외 심양군구 소속 16집단군은 78집단군으로, 26집단군은 80집단군으로 재편되면서 북부전구 소속 지상군은 현재 3개 집단군으로 구성된다. 미 국방부가 분석하고 있는 중국 북부전구 병력은 총 20만으로 추정한다.

 

미 국방부가 미 의회에 제출한 <중국 군사·안보 발전 태세 2018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북부전구사령부는 3개 집단군(78·79·80군) 17만 명과 과거 제남군구 소속 북양 함대, 공군기지 두 곳, 공군 특수사단, 해군 항공사단 2개를 지휘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한국 지상군과는 달리 중국군 북부전구사령부는 유사시 육·해·공 통합지휘능력을 갖춘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특히 시진핑 주석은 2018년 북부전구의 주력군인 79집단군을 시찰했다. 시진핑 주석은 79집단군 항공단 훈련장에서 관계자들로부터 부대 지휘와 전술훈련, 편제 현황 등에 대한 보고 받는 자리에서 “(동북아시아의) 새로운 정세 속에선 당(공산당)의 강군(强軍) 사상을 철저히 이행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2017년 4월 시진핑 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트럼프 대통령은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시진핑 주석의 한반도에 대한 인식을 전했다. 시진핑 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는 사실 중국의 일부였다(Korea actually used to be a part of China)고 발언했다”고 한다. 즉, 시진핑의 79집단군을 시찰한 자리에서의 훈시는 결국 한반도에 대한 중국군의 영향력 확대를 노리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서해 동경 124도 넘지 말라는 중국 해군

 

중국은 남지나해상을 거의 모두 자국의 영해라고 주장한다. 중국은 남지나해상 곳곳에서 동남아 각국과 영해 분쟁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미 해군이 나서서 중국의 군사적 의도를 무력화 시키기 위해 공해 ‘무해통항권’을 관철시키는 ‘항행의 자유작전(Freedom of Navigation Operation)’을 펼치고 있다. 그런데 중국의 이 같은 팽창전략이 한반도에서 그대로 미치고 있다. 이른바 ‘동경 124도선’이다. 중국 해군이 일방적으로 서해상에서 자국의 해군 작전영역을 124도선까지라면서 주장하는 것이다. 영해는 해안선에서 12해리까지다. 법적으로는 그 밖의 해상은 공해다. 해안선이 좁아 중첩될 경우 양국 해안선의 중간선을 영해선으로 본다.

 

서해를 중국과 나눈다면 한·중 양국의 해안선 중간선을 잡아야 하는데 중국은 124도선을 자국의 해군 작전권으로 보고 한국 해군이 124도선을 넘지 말라는 것이다. 2013년 7월 최윤희 합참의장이 중국을 방문했을 때 우성리(吳勝利)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사령관이 말한 내용이다. 중국의 이 같은 요구에 즉각적으로 최윤희 함참의장은 거부했다고 언론은 보도했다. 한중관계가 최고로 좋을 때였기 때문에 중국은 이 문제를 확대시키지는 않았다.

 

그러나 현재도 중국 해군은 암묵적으로 동경 124도선을 자신의 작전권(AO : Area of Operation)으로 여기고 있다. 특히 한미연합훈련에 민감한 중국은 서해상에서 한미 양국군이 훈련하면 124도선 인근까지 와서 감시정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중국이 동경 124도선을 주장하는 이유는 1962년 북·중 해상 경계선을 124도선으로 정한 데 있다. 동경 124도선은 압록강 하구 끝단 선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선의 중간 지점을 해상 경계선으로 삼는 것에 비하면 북한이 굴욕적으로 잡은 것이다. 북한과 중국이 맺은 동경 124도선의 효력은 NLL 북쪽 해상까지만 유효한 것인데 중국은 이 선의 연장선을 대한민국 해상까지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동경 124도선은 백령도 바로 옆 해상인데다가 분명 우리해군의 작전권에 속한다. 따라서 중국이 요구하는 동경 124도선은 절대로 받아줄 수 없다.

 

그럼에도 우리 정부가 대중 굴종적 외교를 하고 한미관계가 틀어지게 되면 자연적으로 동경 124도선이 한·중 간 해상 경계선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것은 독도 문제보다 더 심각할 수 있다. 서해 3분의 2가 중국 바다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2018년 중국은 서해 한·중 잠정조치수역과 이어도 근해 등에 8개의 부표를 설치했다. 해군이 이종명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이어도 근해에만 5개의 부표를 설치했음이 밝혀졌다. 폭 3m·높이 6m의 주황색 부표에는 ‘중국해양관측부표’라고 표시돼 있다. 통상 공해상에 띄우는 부표에 국가명만 표기하는 것은 드문 일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해상용 부표(부이)는 선박의 항해 지원시설이다. 일종의 해상 교통표시판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국의 영해에 자국의 해상용 부표를 설치하는 것이 통례다. 그런데 중국이 공해상에 그것도 이어도 인근 해상에 부표를 설치했다는 것은 향후 자국의 해상영역 주장을 위한 선제적 조치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의 견해다. 남지나해상에서 중국의 ‘막무가내식’ 행동을 보면 서해도 위태로운 지경이다. 비록 해프닝으로 끝난 김정은 사망설이지만 우리가 더 눈여겨 볼 것은 북한 급변사태 시 중국군의 동향이다. 중국이 휴전선 넘어 한·미 양국군이 북상하는 것을 용납하지 않는 것처럼 우리 역시 만일의 사태에 중국군이 한반도에 들어오지 못하게끔 하는 무엇인가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것이 비록 선언적 행위에 그치더라도 말이다.

 

 

 

고성혁 군사전문기자

 

출처 : [심층분석] 한반도에 직접 위협이 되는 중국군의 동향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3823

[밀톡] 이쯤되면 파격이 아니라 파행, 軍 인사 왜 이러나

입력 2020.05.24 14:13 | 수정 2020.05.24 14:15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최근 군인사에서 사단장 경험도 없이 수방사령관에 발탁돼 '태풍의 눈'이 김도균 전 국방부 대북정책관/ 조선일보 DB


“파격이 아니라 충격이다. 해도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달초 단행된 군 장성 정기인사를 두고 군 일각에서 나오는 말들이다. 이번 인사 폭은 예년에 비해 오히려 작았지만 그 파장은 ‘역대급’이다. 종전 군 장성인사의 원칙과 관행에서 크게 벗어나는 내용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게 이미 여러 언론에도 보도된 김도균(육사 44기) 대북정책관의 수방사령관 발탁이다. 김 신임 사령관은 사단장을 거치지 않은 최초의 수방사령관이다. 전임 김선호(육사 43기) 중장을 비롯한 역대 34명의 사령관은 모두 사단장을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과거에도 야전통이 아닌 정책통이 수방사령관으로 진출한 사례들은 있었지만 모두 사단장 경험이 있었다. 또 국방부 정책기획관 등을 거쳐 한·미 관계 등 국방정책을 두루 섭렵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반면 김 사령관은 남북협상 등 대북정책에 한정된 정책 전문가다. 지휘관 경험이 있는 군 관계자들은 수방사령관 같은 군단장급 지휘관을 하는 데엔 사단장 경력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은다. 사단은 단순히 연대의 상급부대가 아니라 보병·포병·기갑 등을 아우르는 제병협동 부대이고 전략단위 부대다. 규모도 1만명 안팎에 달한다.
사단장이 ‘지휘관의 꽃’이라는 불리는 이유다. 2차대전 때 ‘사막의 여우’로 유명한 독일 롬멜 장군도 7사단장을 하면서부터 이름을 날렸다. 수방사는 휘하에 청와대 및 서울도심 방어를 맡는 제1경비단과 몇 개의 향토·동원사단을 거느리고 있다. 향토·동원 사단은 정규 사단보다 병력과 규모는 적다. 하지만 1만명을 거느리는 사단장 경험도 없는 사람이 휘하 병력이 3~4만명에 달하는 전략부대를 제대로 지휘할 수 있을지 우려를 하는 것이다.

◇현역 중장의 잇딴 청와대 1급 비서관 임명 논란

김 사령관은 특히 일각에서 문제를 제기해온 9·19 군사합의의 실무 책임자여서 보은 인사 아니냐는 눈총을 받고 있다. 김 사령관은 한때 군의 대북 정보를 총괄하는 국방정보본부장으로도 유력하게 검토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국방정보본부장 진출설이 나돌자 군내에선 “정보 전문가도 아닐 뿐더러 대북 정보를 남북대화 등을 고려해 심각하게 왜곡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국방부는 “수방사령관으로서 김 대북정책관의 대북 협상 경험과 유관 기관과의 협업 능력, 위기관리 능력을 고려했다”고 ‘파격 발탁’ 배경을 설명했지만 납득하지 못하는 군 관계자들이 많다.
두번째 문제는 안준석(육사 43기) 5군단장의 청와대 국방개혁비서관 이동이다. 안 중장은 이달 초 인사에서 김현종(육사 44기) 전 국방개혁비서관과 자리를 맞바꿨다. 그는 육사 43기 선두주자로 작전분야에서 잔뼈가 굵은 대표적인 작전통이다. 군내에선 그가 합참 작전본부장 등 작전과 관련된 요직으로 이동하는 게 정상적인 인사였다고 보고 있다. 정책 분야 근무 경험이 별로 없는 안 중장이 정무적인 자리라 할 수 있는 국방개혁비서관에 임명된 것도 예상밖이었다.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것은 청와대의 ‘장성 계급 인플레’다. 국방개혁비서관(구 국방비서관)은 주로 준장급 현역 장성이나 소장급 이하 예비역 장성들이 임명되던 자리였다. 육군의 경우 엘리트 준장들이 들어와 사단장으로 영전하곤 했던 자리였다. 김도균 수방사령관도 준장 시절 국방개혁비서관으로 있다가 소장으로 진급했고, 그뒤 국방부 대북정책관으로 옮겼다. 그 바통을 김현종 3사단장이 이어 받았다가 중장으로 진급. 같은 자리에 머물다 5군단장으로 옮긴 것이다. 현정부 들어 국방개혁비서관 계급이 준장에서 중장으로 두단계나 뛴 셈이다. 국방개혁비서관은 1급 자리인데 현역 중장은 의전상 차관급이다. 군의 한 영관장교는 “현역 중장이 1급 비서관 자리에 있다보니 일반 공무원들도 장군 직급과 권위를 전보다 낮춰보는 경향이 생기고 있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청와대에서 열린 삼정검 수여식에서 준장 진급 예정자들이 행사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조선일보 DB



◇국방부 정책기획관 등 핵심 요직 장성들의 진급 탈락

군에서 많은 논란을 야기하고 있는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도 예비역 중장 출신이다. 안보실 1차장은 지난 정부에선 국정원이나 외교부 출신들이 맡았던 자리다. 현정부 초기엔 예비역 준장이 있었다. 지난 정부에서 준장 자리였던 국가안보실 국가위기관리센터장도 현정부 들어선 소장 자리로 한 단계 높아졌다. 이에 대해 군내에선 “청와대가 기본적으로 군을 믿지 못해 계급으로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물론 과거 정부에서도 청와대의 장성 계급 인플레 문제가 제기된 적이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김인종 전 2군사령관(예비역 대장)이 차관급이던 경호처장에 임명되면서 “격에 맞지 않는 자리를 받아들인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박근혜 정부 시절 경호실장이 장관급으로 높아졌지만 박흥렬 전 육군참모총장(예비역대장)의 경호실장 임명도 논란을 낳았다. 육군의 최고 수뇌를 지냈던 사람이 대통령 경호 책임자가 되는 것이 격에 맞느냐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대통령 경호 관련 업무를 맡았었다는 점에서 문재인 정부의 계급 인플레 문제와는 차이가 있다.
세번째는 국방부 정책기획관 등 군내 신망이 두텁던 여러 장성들이 진급에서 사실상 탈락했다는 점이다. 국방부 정책기획관(육군 소장)은 각종 국방정책을 총괄하는 핵심요직으로 지난 20여년간 한두 차례를 제외하곤 중장 진급에서 탈락한 적이 없다. 그런데 김도균 수방사령관과 육사 동기인 정책기획관이 이번에 중장 진급자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뿐 아니라 합참 작전기획부장, 육군본부 기획관리참모부장 등 육사 44기 선두주자들이 대거 탈락했다, 한 장성은 “실력을 인정받았던 군의 정통 주류가 진급에서 대거 탈락하면서 준장~소장급 장성들은 물론 영관장교들도 술렁이는 기류가 생겼다”고 전했다. 한 예비역 고위장성은 “현정부 들어 일련의 인사를 통해 이제 군 장성, 영관장교들은 국방장관과 참모총장이 아니라 청와대만 쳐다보는 행태가 훨씬 강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각종 국방 현안에서 지나치 개입 및 월권 논란을 야기하고 있는 김유근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조선일보 DB



◇’논란 제조기’ 김유근 청와대 국가안보실 1차장

김유근 국가안보실 1차장 등 일부 청와대 인사들의 행태도 군의 청와대 눈치보기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김 차장은 국방일보의 서북도서 공·해 합동 방어훈련 보도 다음 날인 지난 8일 북한이 이를 강력 비난한 직후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합참), 육·해·공군 고위 정책 및 홍보 관련자들을 불러 대책회의를 가져 파문을 초래했다. 청와대와 국방부는 ‘질책’이 아닌 홍보점검 회의라는 공식 입장을 밝혔지만 이를 액면 그대로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김 차장은 앞서 지난해 6월 삼척항 북한 목선 귀순 사건 때도 지나친 개입과 간섭으로 군의 축소 은폐를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지난해 7월 서해 행담도에서 ‘잠수정 잠망경 추정 신고’로 소동이 벌어졌을 때에도 국방장관·합참의장이 참석한 화상 회의에서 관할 부대장인 32사단장을 직접 질책한 것으로 알려져 월권 논란이 일었다. 군내에선 김 차장이 청와대의 ‘군 군기잡기’ 악역을 맡고 있어 정경두 국방장관 등 군수뇌부와 군 고위관계자들로부터 원성이 높다는 얘기들이 나온다.
장성 진급 및 인사권은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의 고유권한이다. 과거 정부에서도 통수권자가 상식을 깨는 파격 인사를 단행한 경우는 종종 있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군의 근간을 뒤흔들수 있는 인사가 잇따르고 있는 경우는 유례를 찾기 힘들다는 지적이다. 류제승 전 국방부 정책실장(예비역 육군중장)은 최근 언론 기고를 통해 “문재인 정부 들어 요직에 배치된 인물의 면면을 보면 하나의 확증 편향성이 드러난다”며 “자신들이 야당 시절부터 반대해온 국가정책을 담담했던 실무 관료들은 정무직이 아닌데도 배척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가정책을 감당한 장군 인재는 희소하다”며 “그럼에도 오랜 기간 양성된 유능한 인재들이 정치적·이념적 편향 기준 때문에 희생된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블랙리스트로서 유사시 돌이킬 수 없는 국가적 불행의 씨앗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올 가을 군 수뇌부 인사에선 비육사 출신인 남영신 육군 지상작전사령관의 사상 첫 육군참모총장 진출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4월 남 사령관(사진 왼쪽)의 취임행사 모습./조선일보 DB
◇8월 이후 합참의장, 육군총장 등 수뇌부 인사 주목

이번 인사의 여진이 계속되면서 오는 9월 중순 이후로 예상되는 합참의장 등 군 수뇌부 인사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현 박한기 합참의장의 임기는 2년을 다 채울 경우 10월 초다. 국회 청문회 일정을 감안하면 후임 합참의장은 9월 중순쯤 발표될 가능성이 크다. 군 수뇌부는 1년6개월이 지나면 교체된 경우도 많아 9월 중순 이전 후임자가 발표될 수도 있다. 군내에선 서욱 육군참모총장이나 원인철 공군참모총장이 후임 합참의장으로 진출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정경두 국방장관이 연말까지 계속 재임할 경우 같은 공군 출신인 원 공군참모총장의 합참의장 진출은 어려워질 전망이다. 육군참모총장 인사도 큰 관심사다. 학군 23기 출신인 남영신 지상작전사령관이 비육사 출신으로는 사상 처음으로 육군총장으로 진출하는 것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분위기다.
최근 군내에선 “인사(人事)가 만사(萬事)인데 망사(亡事)가 돼선 안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음주, 하극상, 기밀유출, 성범죄 등 잇딴 사건사고로 군기강 해이에 대한 비판이 많고, GP 총격사건 등 대북 대비태세 문제도 불거져 있는 상태여서 우려가 많다. 잘못된 군인사는 군 총체적 부실 가속화의 첩경임을 청와대와 군 수뇌부는 명심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5/24/2020052400765.html

소만 [滿]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 “4월이라 맹하(孟夏, 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다.

이때부터 여름 기분이 나기 시작하며 식물이 성장한다.

이때는 씀바귀 잎을 뜯어 나물을 해먹고, 냉이나물은 없어지고 보리이삭은 익어서

누런색을 띠니 여름의 문턱이 시작되는 계절이다.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 찬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소만을 5일씩 3(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고대를 내밀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마르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하였습니다

 

소만이 되면, 산야가 온통 푸른 빛을 띠는데

유독 대나무만은 새로 솟아나는 죽순(竹筍)

모든 영양분을 집중 공급하느라 누렇게 변하게 됩니다.

 

이때 나온 죽순을 채취해 고추장이나 된장에 찍어 먹으면

그 맛이 담백하면서도 구수해 계절식 가운데 별미로 치기도 합니다

 

 

 

봉선화 물들이기

입하와 소만 무렵에 행했던 풍속으로는 봉선화 물들이기가 있다.

봉선화가 피면 꽃과 잎을 섞어 찧은 다음

백반과 소금을 넣어 이것을 손톱에 얹고

호박잎, 피마자잎 또는 헝겊으로 감아 붉은 물을 들인다.

 

 

첫눈이 내릴 때까지 손톱에 봉선화물이 남아 있으면

첫사랑을 만나게 된다는 이야기도 있다.

봉선화 손톱에 물들이기

 

 

모심기

 

냉이꽃

 

씀바귀꽃

 

댓글30카카오스토리 트위터 페이스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