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연의 세월 /명상음악


        인연의 세월 (산사명상음악) 귀향/歸鄕 내가 지길 것은 청정(淸淨)한 마음 내가 바칠 것은 순결(純潔)한 피(血) 내가 받은 것은 무상(無想)의정각(正覺) 내가 이룰 것은 원래(原來)의 모습(模襲) 본(本)영체(靈體)로 되돌아가는것 선곡 : 뮤직싸롱 운영자 멕가이버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다음카페:가장행복한공부 *전곡 이어듣기*
[산] 이어듣기 ☞ 클릭! 01. 장엄한 산 (08:40) 02. 산을 향하여 (06:00) 03. Calling (09:43) 04. 바위산 (06:26) 05. 산의 품에 싸여 (08:14) 06. 저녁노을-내일에의 기원 (10:38) [바람] 이어듣기 ☞ 클릭! 01. Cristal Air (07:54) 02. Running Through The Grass (09:59) 03. Coco Wind (08:51) 04. Green Wave (09:18) 05. Peaceful Afternoon (10:10) [숲] 이어듣기 ☞ 클릭! 01. 숲의노래 (08:46) 02. 요정들의 춤 (07:36) 03. 비개인 삼림-비에 젖은 신록 (11:34) 04. 안개의 향연-수풀 저 편에는 (09:12) 05. 새벽 발걸음 (12:22) [바다] 이어듣기 ☞ 클릭! 01. 푸른 수평선 (09:58) 02. 짧은 휴식 (07:55) 03. Bon Voyage (08:01) 04. 파도의 메세지 (08:12) 05. 바다에서 본 하늘 (10:19) [물] 이어듣기 ☞ 클릭! 01. 아침 안개(Morning Mist) (07:38) 02. Watery Designs (06:46) 03. 대양(Blue Water) (10:29) 04. 오아시스(Oasis) (09:48) 05. 물가에서(At The Waters Edge) (10:57) [눈] 이어듣기 ☞ 클릭! 01. 얼음 환상곡 (07:53) 02. 순백의 이야기 (09:27) 03. 다이아몬드 눈 모양 (09:50) 04. 눈 내리는 정경 (09:46) 05. 푸른 언덕의 북극성 (08:27)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왕생 발원문 (극락세계 발원문)

극락세계에 계시어 중생을 이끌어 주시는 아미타부처님께 귀의하옵고.
그 세계에 가서 나기를 염불행자 ㅇㅇ은 발원하옵나니 자비하신
원력으로 굽어 살펴주시옵소서.

저희들이 네 가지 은혜 끼친 이와 삼계 중생들을 위하여 부처님의 위없는
도를 이룩하려는 정성으로 아미타불의 거룩하신 명호를 수지 하여
극락세계에 가서 나기를 원하나이다.

업장은 두텁고 복과 지혜 부족하여 더러운 마음 물들기 쉽고 깨끗한 공덕
이루기 어렵기에 이제 부처님 앞에서 지극한 정성으로 예배하고 참회하나이다.

저희들이 끝없는 옛적부터 오늘에 이르도록 몸과 입과 마음으로 한량없이
지은 죄와 맺은 원수 모두 녹여 버리옵고 이제부터 서원 세워 나쁜 짓 멀리하여
다시 짓지 아니하고 보살도 항상 닦아 정각을 이루어서 중생을 제도하려 하옵나니

아미타부처님이시여!
대자대비 원력으로 저를 증명하시며, 저를 가피하시어 삼매나 꿈속에서나
아미타불의 거룩하신 상호를 뵈옵고,
아미타불의 장엄하신 국토에 다니면서,

아미타불의 감로로 저에게뿌려주시고,
아미타불의 광명으로 저를 비춰주시고,
아미타불의 손으로 저를 만져주시고,
아미타불의 옷으로 저의 허물을 덮어주시어

업장은 소멸되고 선근은 자라나고 번뇌는 없어지고 무명은 사라져서 원각의
묘한 마음 뚜렷하게 열리옵고 상적 광토가 항상 나타나지이다.

또 이 목숨 마치올 제 갈 시간 미리알아 여러 가지 병고액난이 몸에 없어지고
탐진치 온갖 번뇌 마음에씻은 듯이 육근이 화락하고 한생각 분명하여 이 몸을
버리옵기 정에 들 듯 하옵거든 그때에 아미타부처님께서 12광불과 관음 세지를
비롯한 25보살을 데리시고 광명 놓아 저를 맞으시며 아미타불의 손을 들어
저를 인도하여 주옵소서.

그때에 높고 넓은 누각들과 아름다운 깃발들과 맑은 향기 고운 풍류 거룩하온
극락세계 눈앞에 분명커든 듣는 이들 기쁘고 감격하여 위없이 깨친 마음 다 같이
발 하올 제 이내몸 고이고이 연화좌에 올라앉아 부처님 뒤를 따라 극락정토로
왕생케 하옵소서.

칠보로 된 연못 속에 상품상생 하온 뒤에 불보살 뵈옵거든 미묘한 법문 듣고
무생법인  깨치오며,부처님 섬기옵고 수기를 친히 받아 온갖 공덕을
원만하게 이루어지이다.

그러한 후 극락세계를 떠나지 아니하고 사바세계에다시 돌아와 한량없는 분신으로
시방국토 다니면서 여러 가지 신통력과 여러 가지 방편으로 무량중생 제도하여

탐진치를 여의옵고 깨끗한 마음으로 극락세계 함께 가서 물러나지 않는 자리에
오르게 하려 하오니 세계가 끝이 없고,중생이 끝이 없고,
번뇌 업장이 모두 끝이 없아올 새 염불행자ㅇㅇㅇ의 서원도 끝이없나이다.

저희들이 지금 예배하고 발원하여 닦아 지닌 공덕을 온갖 중생에게 베풀어주어
삼계유정들도 모두 제도하여 다 같이 일체 종지를 이루어지이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 아미타불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晩峰堂 원글보기
메모 :




먼   산    시 - 김 용 택      노래 - 범능 스님 

산사문답/ 범능스님. 작시/도종환

그대 어느 산그늘에 / 범능스님. 작시/김용택

꽃등 들어 님 오시면/ 범능스님. 작시/김용택

딩 동 댕 / 범능스님. 작시/고규태

꽃을 바치나이다 / 범능스님. 작자미상

설산 / 범능스님. 작시/고규태

푸른 학으로 / 범능스님. 작시/청학스님

오늘 밤 비 내리고 / 범능스님. 작시/도종환

추야몽 / 범능스님. 작시/한용운

돌아가는 꽃 / 범능스님. 작시/도종환

배경:화계사 음악:범능스님

1. 먼  산   작사:김용택 시  작곡:범능  편곡:범능  2:52

그대에게 나는 지금 먼 산이요 꽃 피고 잎 피는 그런 산이 아니라
산국 피고 단풍 물든 그런 산이 아니라 그냥 먼 산이요 꽃이 피는지 단풍 지는지
당신은 잘 모르는 그냥 나는 그대를 향한  그리운 먼 산이요


2. 산사문답   작사:도종환 시  작곡:범능  편곡:범능  3:31"

이 비 그치면 또 어디로 가시려나 대답 없이 바라보는 서쪽 하늘로 모란이 툭 소리 없이 지는데
산길 이백리 첩첩 구름에 가려 있고 어느 골짝 올라오는 목탁 소리인고 음- 추녀 밑엔 빗물 소리만


3. 그대 어느 산그늘에   작사:김용택 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4:16"

날이면 날마다 이내 맘은 그대 오실 저 들길에 서 있었더라
날이면 날마다 이내 맘은 그대 오실 저 들길에 서 있었더라
이 꽃 피면 오실랑가 저 꽃 피면 오실랑가 꽃 피고 지고
그대 어느 산그늘에 붙잡힌 풀꽃 같이 서 있는지 대체 무슨 일이다요
저 꽃들 다 저불면 오실라요 찬바람 불어오고 강물소리 시려오면
이 내마음 그 어디에 서 있으라고 어둡도록 안온다요
이 내 혼자 어쩌라고 그대 없이 나 혼자 어쩌라고
저 들에 저 들국 지들끼리 다 저불 것소


4. 꽃등 들어 님 오시면   작사:김용택 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5:49"

긴 어둠을 뚫고 새벽 닭 울음소리 들리면 안개 낀 강물 따라 꽃등 들고 가는 흰옷 입은 행렬 보았네
때론 흐르는 물이 막히우고 때론 흐르는 길이 멀다해도 아아 흐르는 일이야 우리 행복하지 않나
아아 우리의 땅 되살리고 그 길 따라 님 오시면 꽃등 들어 불 밝히리라
님 오실 길 불 밝히리 꽃등 들어 님 오시면


5. 딩 동 댕    작사:고규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4:34"

나는 어디서 왔는가 딩 동 댕 나는 어디로 가는가 딩 동 댕 새여 꽃이여 나무여 딩 동 댕
어느 하늘 아래 무슨 인연으로 우리는 잠시 태어나 음- 바람처럼 이슬처럼 사라지는가
(후렴) 딩 동 댕 딩 동 댕 딩 동 댕
끝도 시작도 한없는 윤회의 바퀴여 딩 동 댕 새는 어디서 우는가 딩 동 댕 꽃은 어디서 피는가 딩 동 댕
생노병사와 더불어 딩 동 댕 어느 강물 따라 무슨 인연으로 우리는 잠시 태어나
음- 바람처럼 이슬처럼 사라지는가


6. 꽃을 바치나이다   작사:미 상  작곡:범능  편곡:범능  4:14"

꽃을 바치나이다 꽃을 바치나이다
님께 바칠 것은 피어지는 꽃이니이다
아름다우나 이윽고 지는 꽃이니이다
바야흐로 이슬이 내려 더욱 아름다우니 꽃을 바치나이다 꽃을 바치나이다
오래 오래 피는 것보다 님께 바칠 것은 피어지는 꽃이니이다


7. 설산 매화   작사:고규태  작곡:범능  편곡:범능  3:19"

매화 매화 매화로다 하얀 설산 홀로 피는 에헤야 매화 매화로다
기쁨도 멀리 슬픔도 멀리 사랑도 멀리 미움도 저 멀리
환한 웃음 여기 이 자리 즈믄 햇살에 망울 짓는 에헤야 매화 매화로다
매화 매화 매화로다 하얀 설산 홀로 피는 에헤야 매화 매화로다
만남도 멀리 이별도 멀리 설렘도 멀리 아픔도 저 멀리
무념 무상 여기 이 자리 부는 바람에 미소 짓는 에헤야 매화 매화로다
부는 바람에 미소 짓는 에헤야 매화 매화로다


8. 푸른 학으로   작사:청학 스님 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3:59"

사색을 먹고사는 눈 푸른 운수 납자 구름에 쌓여 도는 인간사 속진을 떠나
나 여기 한 마리 꾸밈없는 푸른 학으로 무심천을 날아가리
뜬구름 같은 인생 청산을 닮아가며 자연의 순리 따라 한 삶을 살으다가
어느 날 문득 지는 석양에 내 모습을 불태우리니


9. 오늘 밤 비 내리고    작사:도종환 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5:09"

오늘 밤 비 내리고 몸 어디인가 소리 없이 아픔이 오고 빗물은 꽃잎을 싣고 여울로 가고
세월은 육신을 싣고 서천으로 서천으로 기운다
꽃 지고 세월 지면 또 무엇이 남으리 비 내리는 밤에는 마음 기댈 곳이 없더라


10. 추야몽   작사:한용운 스님 시  작곡:범능  편곡:범능  3:22"

가을밤 빗소리에 놀라 깨니 꿈이로다 오셨던 님 간 곳 없고 등잔불만 가물가물
그 꿈을 또 꾸라 한들 잠 못 이루워 하노라 야속다 그 빗소리 공연히 꿈 깨놓고서
님의 손길 어디 가고 이불귀만 잡았는가
베개 위의 눈물 자욱 씻어 무삼하리요 꿈이면 깨지 말자 백 번이나 벼렀건만
꿈 깨고서 님 보내니 허망할 손 맹서로다 이후는 꿈 깰지라도 잡은 손은 아니 놓으리


11. 돌아가는 꽃   작사:도종환 시  작곡:범능  편곡:박문옥  3:55"

간밤 비에 꽃 피더니 그 봄비에 다시 꽃 지누나
그대로 인하여 온 것들은 그대로 인하여 돌아가리
그대 곁에 있는 것들은 언제나 잠시 음-
아침 햇빛에 아름답던 것들 저녁 햇살로 그늘지리

 

 


범능(43) 스님은 출가 전 민중가수 신분으로 '광주출정가'를 직접 작곡한 민중가수 정세현으로 더 유명했지만 지금은 불가의 수도승이 돼 사랑했던 마음도, 미워했던 마음도 접고 노래로 부처님 자비를 설법하고 있다.

61년 전남 화순 출생으로 전남대 국악학과에서 피리를 전공한 그는 어둡고 암담하던 80년대 ‘광주출정가’를 비롯, ‘혁명광주’ ‘꽃아 꽃아!’ ‘진군가’ 등의 노래로 광주를 알렸다.

대학에서 노래패 ‘친구’를 창단해 노래 운동에 열정을 쏟았으며 89년부터 2년 동안 전남 진도에서 인간문화재 조공례 선생으로부터 민요를 배워 국악의 대중화에도 노력해왔다. 90년에는 광주 ‘우리소리 연구회’를 창단하고 90, 91년에는 일본 사가현에서 열린 아시안 노래 페스티벌 ‘우리 소리 연구회’에 참가하기도 했다.

그는 93년 출가수행자의 삶을 선택, 전남 강진 백련사에서 ‘범능’이라는 법명을 얻고 수덕사 설정스님을 은사로 입산했다. “산이 좋아서 입산했다”는 그는 “부처님 말씀을 담은 노래를 부르는 것도 법문이요, 음반작업 또한 무형의 법당을 짓는 큰 불사이기에 출가해서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제대로 된 음악을 하고 있는가” 늘 되묻곤 한다고.....
범능스님 홈피에서옮겨옴 /혜안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晩峰堂 원글보기
메모 :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정사 원글보기
메모 :
대불정능엄신주

스타타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아파라지탐
프라튱기람
다라니

나맣 사르바붇다 보디사트베뱧
나모 샆타남 사먁삼붇다 코티남 사스라바카삼가남
나모 로케아르한타남
나모 스로타판나남
나모 스크르타가미남
나모 아나가미남
나모 로케사먘가타남 사먘프라티판나남
나모 라트나트라야야

나모 바가바테 드르다수라세나 프라하라나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아미타바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앜소뱌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바이사이쟈구루 바이투랴 프라바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삼푸스피타사렌드라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사캬무나예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라트나쿠수마 케투라자야
타타가타야아르하테 사먁삼붇다야

나모 바가바테 타타가타 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파드마 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바즈라 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마니 쿠라야
나모 바가바테 가르자 쿠라야

나모 데바르시남
나모 싣다비댜다라남
나모 싣다비댜다라르시남 사파누그라하 사마르타남
나모 브라흐마네
나모 인드라야

나모 바가바테 루드라야 우마파티사헤야야
나모 나라야나야 랔삼미사헤야야 팜차마하무드라
나마 스크르타야
나모 마하카라야 트리푸라나가라 비드라파나카라야 아디뭌토카 스마사나바시니 마트르가나
나맣 스크르타야 에뵤

나맣 스크르트바
이맘 바가바타 스타타가토스니삼 시타타파트람
나마 파라지타 프라튱기람 사르바데바
나마 스크르탐

사르바 데베뱧 푸지탐
사르바 데베스차 파리파리탐
사르바 부타그라하 니그라하카림

파라비댜체다나카림 두남타남 사트바남
다마캄 두스타남 니바라님
아카라므르튜 프라사마나카림

사르바 반다 나뫀사나카림
사르바 두스타 두스바프나니바라님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드밤사나카림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림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림

사르바사트루니바라님 구람
두스바프나남차나사님 비사사스트라
아그니우다카우트라님 아파라지타구라

마하 찬남
마하 디프탐
마하 테잠
마하 스베탐 즈바라
마하 바라 스리야판다라바시님 아랴타라 브르쿠팀체바잠

바즈라 마레티 비스루탐 파드마크맘
바즈라 지흐바차 마라체바파라지타
바즈라 단디 비사라차 산타바이데하푸지타 사이미루파
마하스베타 아랴타라 마하바라아파라

바즈라 상카라체바
바즈라 코마리 쿠란다리
바즈라 하스타차 마하비댜
타타캄차나마리카 쿠숨바라타나체바 바이로차나
쿠다르토스니사 비즈름바마나차

바즈라 카나카 프라바로차나
바즈라 툰디차 스베타차카마랔사 사시프라바
이톄테무드라가나 사르베랔삼 쿠르반투 마마샤
옴리시가나 프라사스타 타타가토스니사

훔브룸 잠바나
훔브룸 스탐바나
훔브룸 보하나
훔브룸 마타나

훔브룸 파라비댜삼밬사나카라
훔브룸 사르바두스타남 스탐바나카라
훔브룸 사르바얔사 랔사사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훔브룸 차투라시티남 그라하사하스라남 비나사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빔사티남 낰사트라남 프라사다나카라
훔브룸 아스타남 마하그라하남 비드밤사나카라
랔사랔사 맘 바가밤 스타타가토스니사
마하프라튱기레 마하사하스라부제
사하스라시르사이 코티사타사하스라네트레
아벰댜 즈바리타나타나카 마하바즈로다라 트르부바나만다라
옴 스바스티르바바투 마마

라자 바야
초라 바야
아그니 바야
우다카 바야
비사 바야
사스트라 바야
파라차크라 바야
두르빜사 바야
아사니 바야
아카라므르튜 바야
다라니부미캄파 바야
우르카파타 바야
라자단다 바야
나가 바야
비듀 바야
수프라니 바야

얔사 그라하
랔사사 그라하
프레타 그라하
피사차 그라하
부타 그라하
쿰반다 그라하
푸타나 그라하
카타푸타나 그라하
스칸다 그라하
아파스마라 그라하
운마다 그라하
차야 그라하
레바티 그라하

우자 하리냐
가르바 하리냐
자타 하리냐
지비타 하리냐
루디라 하리냐
바사 하리냐
맘사 하리냐
메다 하리냐
마자 하리냐
반타 하리냐
아수챠 하리냐
치차 하리냐

테삼사르베삼 사르바그라하남
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파리브라자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다카다키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파수파티 루드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타트바가루다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마하카라 마트르가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카파리카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자야카라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차투르바기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브름기리티카 난디케스바라 가나파티사헤야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나그나스라마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아르한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br>
비타라가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브라흐마크르탐 루드라크르탐 나라야나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바즈라파니 구햐카디파티
크르탐비댬 친다야미 키라야미

랔사랔사 맘 바가밤 시타타파트라
나모 스투테 아시타나라르카 프라바스푸타 비카시타타파트레
즈바라즈바라 다카다카 비다카비다카
다라다라 비다라비다라 친다친다 빈다빈다
훔훔 파트파트 스바하

헤헤 파트
아모가야 파트
아프라티하타야 파트
바라프라다야 파트
아수라비드라파카야 파트

사르바 데베뱧 파트
사르바 나게뱧 파트
사르바 얔세뱧 파트
사르바 랔사세뱧 파트

사르바 가루데뱧 파트
사르바 간다르베뱧 파트
사르바 아수레뱧 파트
사르바 킨다레뱧 파트
사르바 마호라게뱧 파트

사르바 부테뱧 파트
사르바 피사체뱧 파트
사르바 쿰반데뱧 파트
사르바 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카타푸타네뱧 파트

사르바 두르람기테뱧 파트
사르바 두스프렠시테뱧 파트
사르바 즈바레뱧 파트
사르바 아파스마레뱧 파트
사르바 스라마네뱧 파트
사르바 티르티케뱧 파트
사르바 운맘데뱧 파트
사르바 비댜차례뱧 파트

자야카라마두카라 사르바르타 사다케뵤 비댜차례뱧 파트
차투르바기니뱧 파트
바즈라 코마리 쿠란다리 비댜라제뱧 파트
마하프라튱기레뱧 파트
바즈라상카라야 프라튱기라라자야 파트
마하카라야 마트르가나 나마스크르타야 파트

인드라야 파트
브라흐미니예 파트
루드라야 파트
비스나비예 파트
비스네비예 파트
브라흐미예 파트
아그니예 파트
마하카리예 파트
로드리예 파트
카라단디예 파트
아인드리예 파트
마트리예 파트
차문디예 파트
카라라트리예 파트
카파리예 파트
아디뭌토카스마사나 바시니예 파트

예케 칱타
사트바 마마 두스타 칱타
파파 칱타
로드라 칱타
비드바이사 칱타
아마이트라 칱타

우트파다
키라 얀티
만트라 얀티
자판티 조한티

우자 하라
가르바 하라
루디라 하라
맘사 하라
메다 하라
마자 하라
바사 하라
자타 하라
지비타 하라
마랴 하랴
바랴 하라
간다 하라
푸스파 하라
파라 하라
사샤 하라

파파 칱 타
두스타 칱 타

데바 그라하
나가 그라하
얔사 그라하
랔사사 그라하

아수라 그라하
가루나 그라하
킨다라 그라하

마호라가 그라하

프레타 그라하
피사차 그라하
부타 그라하
푸타나 그라하
카타푸타나 그라하
쿰반다 그라하

스칸다 그라하
운마다 그라하
차야 그라하
아파스마라 그라하
다카다키니 그라하
레바티 그라하
자미카 그라하
사쿠니 그라하
난디카 그라하
람비카 그라하
칸타파니 그라하
즈바라 에카히카

드바이티야카

트레티야카
차투르타카
니탸즈바라 비사마즈바라 바티카
파이티카
스레스미카
산디파티카
사르바즈바라 시로르티 아르다바베다카
아로차카

앜시 로감
무카 로감
흐르드 로감
카르나 수람
단다 수람
흐르다야 수람
마르마 수람
파라스바 수람
프르스타 수람
우다라 수람
카티 수람
바스티 수람
우루 수람
잠가 수람
하스타 수람
파다 수람
사르방가프라튱가 수람

부타베타다 다카다키니
즈바라다드루칸듀키티 바로타바이
사르파로하링가 소사트라사가라
비사요가 아그니 우다카 마라베라
칸타라 아카라므르튜
트라이무카 트라이라타카 브르스치카
사르파나쿠라 심햐 뱌그라맄사 타라맄사
차마라지비베 테삼사르베삼 시타타파트라
마하바즈로오스니삼 마하프라튱기람
야바드바 다사요자나 뱐타레나

사마 반담 카로미
디사 반담 카로미
파라비댜 반담 카로미
테조 반담 카로미
하스타 반담 카로미
파다 반담 카로미
사르방가프라튱가 반담 카로미

타댜타

아나레아나레 비사다비사다
반다반다 반다니반다니
바이라바즈라파니 파트 훔브룸 파트 스바하

나모
스타타가타야 수가타야르하테 사먘삼붇다야
시댬투 반트라파다 스바하

정림사 부처님




※ 이 능엄주 독송은 마산 정인사 주지이신 원행스님께서 하신 것으로, 해인사 백련암에서 테잎으로 제작하여 신도님들에게 배포하는 것입니다.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정사 원글보기
메모 :


상대방이 좋아하는 것이 있으면 
아낌없이 주라
가난한 사람에게는 
재물을 주고
고독한 사람에게는 
사랑을 주고
목마른 사람에게는 
감로수를 주고
어리석은 사람에게는 
지혜를 주고
진리를 갈구하는 사람에게는 
깨달음을 일러 주라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계초심학인문/한글/법준스님
고왕경
김성공스님
관무량수경
한글 / 법준
그리움의
노래
금강경
성공 /원문
금 강 경
동영상
금강경
우리말
금강경 01
-성공스님
금강경 02
-성공스님
금강경 03
-성공스님
금강경 04
-성공스님
금강경찬
관무량수경
금강경
법만스님
관세음보살보문품
무일우학
관음 정근
무일우학
관음정근
영인 스님
관음정근
화암스님
관자재보살
여의륜주
광명진언
혜광 스님
광명진언
광명진언
노래송
광명진언
정근
기도발원문
무일우학
나무아미타불 정근송 /정률
나무아미타불정근/중국
나무아미타불정근 /범철스님
나반존자
정근
대불정능엄신주경능허
대불정
능엄신주
대불정
능엄신주
대불정
능엄신주
도량석
나옹/토굴가
몽수경/법만
무상법문
한글
000000
000000
000000
도량석
명고타종
000000
무상게/영인스님
무 상 게
문수보살
정근/지행
반야심경
원정스님
반야심경
반야심경
틱낫한
반야심경
회주스님
우리말
반야심경
능허스님
반야심경
티베트어
반야심경
단 체
반야심경
단 체
발 원 문
법고 소리
법성게
한글법성-만해스님
여래품경
[해광스님]
부모은중경
불설소재
길상다라니
백팔참회
우리말
백팔참회
불정심 관세음보살모다라니
법화약찬-덕인스님
보왕삼매론
부모은중경/원정스님
삼귀의
우학스님
법화경(서품~여래수량품)-성수스님
000000
000000
신심명
십악참회문
새벽에불
해인사
새벽에불
봉정사
새벽에불
사시에불
통도사
석가모니불정근/영인스님
순치황제 출가시
신묘장구대다라니/여강
신묘장구대다라니/영인
신묘장구대다라니정각사
십악참회문
슬기롭게 사는 길
왕생가 / 성수스님
에밀레 종소리
000000
000000
아미타경-영인스님
이산발원문-영인스님
이산혜연선사발원문/동영상
입산가/경허스님
예경제불가
오분향례
옴마니반메훔
약사여래불정근
영인스님
약찬게송
임종결 /성수스님
아미타경/ 영인스님/ 한글
아미타경 지송공덕 / 성수스님
아미타불정근
아침종송
아침종송덕윤스님
예 불 / 새벽
예 불 / 사시
예불/저녁
오분향례 화암스님
오분향례영인스님
원각경보안보살장 동봉스님
이산혜연선사 발원문/월공스님
저녁 예불/ 송광사
저녁예불 봉정사
저녁에불
저녁예불문
종송/아침
지장정근
지장정근
지장정근 / 영인스님
지장정근
지장경
지장보살 츰부다라니
지장경.01
지장경02
지장경03
지장경04
지장경05
지장경06
지장경07
지장경.08
지장경.09
지장경.10
지장경.11
지장경.12
지장경.13
지장경1-13 연속듣기
참선곡/ 경허스님/ 도량석형
참회곡동현스님
천수경 / 동영상
천수경/단체
천수경 /도신스님
천수경 /영인
천수경
천수경 성수스님
천수경 / 성안스님
천수경 /우리말/덕인스님
천지팔양신주경능허스님/1
천지팔양신주경능허스님/2
천지팔양신주경
천지팔양신주경/ 혜자스님
청춘가1/ 월봉스님
청춘가2/ 월봉스님
초발심자경문/계초심학인문/ 법준 스님
초발심자경문/ 발심수행장/ 법준 스님
초발심자경문/자경문/ 법준 스님
츰부다라니
토 굴 가/영인스님
토굴가 /승오스님
행선축원/우리말/성수스님
화엄경약찬게/ 법타스님
화엄경 약찬게/영인스님
화엄경약찬게/법타스님
화엄경 보현행원품/ 혜광스님
화엄성중정근/능허스님
찬불가
동영상
코너
지심
귀명례
가야지 / 어화너 / 탑돌이/김영임
무상
도신스님
바람부는 날에는 너에게로 가고 싶다 / 심진스님
향심
정율스님
푸른
학으로
범능스님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인묵스님의 도량석/ 참선곡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몽수경(夢授經) - 법만스님 독송
南無觀世音菩薩  南無佛  南無法  南無僧
나무관세음보살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與佛有因  與佛有緣  佛法相因  常樂我淨
여불유인  여불유연  불법상인  상락아정
朝念觀世音  暮念觀世音  念念從心起  念佛(念)不離心
조념관세음  모념관세음  염념종심기  염불(염)불리심
天羅神  地羅神  人離難  難離身  一切災殃化爲塵
천라신  지라신  인리난  난리신  일체재앙화위진
南無摩하般若波羅蜜나무마하반야바라밀
이 짧은 경문은 관세음보살께서 재난을
당한 사람의 꿈에 나타나 설한 夢授經으로,
모든 재앙을 흩어 버리는 큰 힘을 지니고 있다고
하여 예로부터 많은 사람들에 의해 독송되어 왔습니다.
일제 때 장군을 지낸 김석원(金錫源,1893~1978)도
그러한 사람 중 한 분으로,
매일 아침저녁으로<몽수경>을 열심히 염송했습니다.
그런데 1937년의 중일전쟁 때,
산서성(山西城)전투에 참여한 장군은가슴에
총탄을 맞고 그 자리에 쓰러졌습니다.
한참이 지난 후 정신을 차리고 일어나 보니,
다친 데 한 곳 없이 멀쩡했습니다.
너무나 이상하여 자세히 살펴보았더니,
가슴에 넣고 다닌 관세음보살 호신불(護身佛)에만
구멍이 뚤려 있었습니다.
이러한 기적이 모두 관세음보살의 보살핌
때문이라는 것을 깨달은 장군은,
그 뒤부터 하루에 <몽수경>1백편과
관세음보살을 만번씩 불렀습니다.
일을 하면서도 관세음보살, 전쟁터에서도
관세음보살을 불러,잠시도 입에서
관세음보살을 뗀 적이 없었다고합니다.
이 김석원장군처럼 깊은 믿음이 생기면
두려울 것이 없게 됩니다.관세음보살이
언제나 나와 함께 한다고 믿어면 총알이
빗발처럼 날리는 전쟁터에 나가도
걱정할 것이 하나도 없는 것입니다.
두려움 없는 평화가 언제나 함께 하도록 하는 것,
이것이 바로 재시(財施),법시(法施),
무외시(無畏施)의 세 가지 보시 가운데
최상으로 치는 것은 무외시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주위의 사람들이 두려움을 느낄 때,
기도를 통하여 무외를 이룰 수 있도록
권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고,
이 일을 어떻게 하나?" 어려운 일에
부딪혀 크게 걱정하는 사람에게,"기도를 하면서
마음을 가라 앉히고 가피를 구해 보라."는
한마디를 일러줄 수 있는 불자
,"이러다 죽는 것이 아닐까?"
불안해 하는 사람에게 "불보살께 기도를
해보게,불안은 물론 죽음과도
함께 해 주실테니까." 라고 하면서
기도를 권할 수 있는 불자가 되어야 합니다.
진정 기도를 통하여 사람들을
두려움 없는 세계로 인도하면,
그것보다 더 큰 복을 짓는 일이 없다는 것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자료출처 : 일타스님의 기도(祈禱)중에서...





 

출처 : 晩峰精舍[만봉정사]
글쓴이 : 만봉스님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