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 2020년대 잠수함 20여척 전력화

3兆 투입… 3000t급 9척 포함

 

 

 

해군이 2020년대에 원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3000t급 잠수함 9척을 포함, 총 20여척의 잠수함을 전력화 전력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4일 "해군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3000t급 차기잠수함(KSS-Ⅲ) 9척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선제 타격하는 ‘킬 체인’(Kill Chain) 구축과 연동되는 해상 전력 강화로 풀이된다.

 

군 당국자는 4일 “해군이 3조원 이상을 투입해 2020년부터 2030년까지 3000t급 잠수함 9척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며 “북한 등 한반도 주변의 해양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올 1월부터 1호기 설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3000t급 잠수함은 현재 운용 중인 1800t급(214급)이나 1200t급(209급) 잠수함과 달리 잠수함에 탑재하지 못하는 전략무기를 탑재할 수 있다. 수직발사대를 갖춰 잠대지 미사일을 통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하고, 수중작전도 기존 잠수함에 비해 훨씬 장기간에 걸쳐 전개할 수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800t급만 해도 잠항시간이 1200t급에 비해 10배 정도 길다"며 "3000t급의 잠항시간은 1800t급과 비교해 10배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만큼 더 오래 있을 수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젤 엔진이 장착되는 3000t급 잠수함은 향후 창설될 3~4개의 해군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 해양 위협에 대응한다.

 

총 70여척의 잠수함(정)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의 경우 1990년 이후 전체 도발의 78%가 해상을 통한 것이었다. 해군은 또 북한 잠수함에 대한 대응 전력으로 2018년까지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현재 우리 해군은 1200t급 잠수함 9척이 실전 배치하고 있고, 3척을 보유 중인 1800t급 잠수함도 2018년까지 6척을 추가로 전력화할 계획이다. 특히 북한은 로미오급(1800t급) 잠수함 20여척, 상어급(325t급) 잠수함 40여척, 연어급(130t) 잠수정 10여척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주변국 잠수함 전력의 60~70%는 유지해야 주변국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며 "그 정도를 목표로 대략 20척 미만 정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해군이 창설하게 될 3∼4개의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의 해양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군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해군은 해상초계기로 P-3C 16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와 함께 해군은 5000t급 한국형차기구축함(KDDX)을 2023년 이후 6∼9척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는 등 해상 전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2300t급 차기호위함(FFX)도 20여척 규모로 전력화하고, 기뢰탐색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소해함과 차기기뢰부설함고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여기에 1만4500t급 대형수송함(LPH)과 차기잠수함구조함, 차기군수지원함, 훈련함 등도 2022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울산급 호위함 중기형인 5번함  - 경북함 ( FFK-956 )

울산급 호위함 중기형인 5번함인 경북함은 86년 1월 15일에 진수해서 86년 5월 30일에 취역하였다. 건조는 대우. 함넘버는 FFK-956. 소속은 1함대로 추정된다.

  

제원

길이 102 m (334.6 ft)

높이 11.5 m (37.7 ft)

흘수 3.5 m (11.48 ft)

속력 34 knots, 최대속력

항속거리 4000 해리 (15 knots시)

배수량 1496 tons 기준배수량 2180 tons 만재 - 전기형

승무원 150 (장교 16)

제작 : 거제옥포조선소

* 무장 *

함포(주포) 76 mm 컴팩트포(3인치 포) (OTO Melara사) - 2문 (함수1, 함미1)

함포(부포) * Emerson 30mm 2연장 기관포 - 4문(함수 1, 함미, 함중앙 2) 

                * Breda 40mm/70 2연장 기관포 - 3문(함수 1문, 함미 2문)

대함 Missle McDonnell Douglas RGM-84D Harpoon

- 8기 (미사일 4기가 한조인 2개의 발사대(총8기))

- 4연장 캐니스터 발사관

어뢰 Honeywell MK.  46 경어뢰 - 6기 (Mk.32 mode 5 발사관 - 좌우 1문씩)

발사관 - Mk.32 mod 5 3연장 324mm(12.75 inch) 발사관 - 2기

폭뢰 MK.9 Racks - 12기

* Radar System *

대공탐색 Radar Signaal DA 05 대공/대수상 탐색 radar - 후부 마스트.

대수상탐색 Radar 레이다 전남함을 기준으로 다른 시스템이 장착됨.

       -  Signaal ZW 06 대수상탐색 radar  - 주마스트

       -  Samsung/Marconi ST 1810 대수상탐색 radar   - 주마스트 최상부(원형돔 내부)

항법 Radar Raytheon SPS-10C  - 주마스트

사격통제 Radar 레이다 전남함을 기준으로 다른 시스템이 장착됨에 따라 전남함을 기준으로 전기형과 후기형의 원형돔의 크기와 모양이 서로 다르다.

       -  WM 28(Signaal사) - 마스트 최상부(원형돔 내부)

       -  Samsung/Marconi ST 1802 -  (함미 1)

       -  LIOD 광학조준시스템 (Signaal사).

       -  WSA 423 사격통제장비(삼성/페란티사), 래더맥 2400 광전자 조준시스템(삼성/레더맥사)

 

* 전자전시스템 및 대응장비 *

피아식별기 1기 탑재

ECM 없음

ECM ULQ-11K

채프 Loral Hycor MK.36 SRBOC 6연장 채프발사기 - 4기

어뢰 기만기 Aerojet ElectroSystem SLQ-25 Nixie 견인 어뢰 기만기

전투 system Signaal WM 28 전투시스템 - 전기형

Samsung/Ferranti WSA 423 전투시스템 - 후기형

통신 System Litton KNTDS(Korea Naval Tactical Data System) LINK 11

광전자 조준기 Signaal LIOD(LIghtweight Optronic Director) 광전자 조준기 - 전기형

Samsung/Radamec 2400 광전자 조준기 system - 후기형

TACAN SRN 15 TACAN (Tactical Air Navigation)

소나시스템 PHS 32 (Signaal사) 함체장착 소나

엔진  ODOG(Combined Diesel or Gas turbines) 방식을 이용한다.

        디젤엔진 : MTU 538 TB82 (MTU사) - 2기 탑재 - 5,940마력

        개스터빈 : GE LM2500 개스터빈 (General Electronic사) , - 2기 탑재, - 53,640 마력

추진축 가변피치 Propellers - 2기

 

샌디에고항에 입항하는 FF 호위함 경북함의 모습입니다

위와 같은 장비외에도 울산급 호위함에는 대잠공격무기(폭뢰)와 대어뢰 기만장치(닉시), 대함 미사일 기만장치(채프발사기)등을

장비하고 있다.폭 뢰 잠수함 공격용 무기로 울산급 호위함에는 12개가 구비되어 있다.소나에서 잠수함의 위치와 심도에 대한

보를 전달 받아 폭뢰의 폭발 심도를 조정해 함미에서 투하한다.

닉시(Nixie) 대어뢰 기만장치로서 함정의 소음과 똑같은 소리를 만들어내어 어뢰 추적시 이를 긴 와이어로 예인하면서 어뢰를 속이는 장치이다. 제식명은 SLQ-25 Nixie 이다.채프(Chaff) 대함 미사일 기만장치로서 대함 미사일을 기만하기 위한 것으로 최대 4km까지 발사하여 금속과 섬유로 이루어진 구름을 형성, 대함 미사일의 레이더를 교란하는 장치이다.한 발사기에 6개의 발사통이 장비되어 있고, 울산급 호위함에는 총 4개의 채프발사기를 보유하고 있어 총 24발을 발사할 수 있다. 제식명은 MK. 36 Super RBOC Mod 1으로 MK. 33 RBOC의 개량형이다. Mod 2는 4개의 발사통이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장보고급 잠수함

 

장보고급 잠수함은 잠수함급으로 분류되는 대한민국 최초의 잠수함이며, 독일의 209급 잠수함을 도입한 것이다. 1987년 최초 3척이 주문되었는데, 1척은 독일 HDW 에서 건조되고 2척은 옥포대우조선소에서 건조되었다. 건조용 소요 부품은 독일에서 수송되었다. 1989년 10월에 추가적으로 2차 3척이 주문되었고 1994년에 3차로 3척이 추가 주문되어 모두 9척이 건조되었다.

Type 1200 형은 독일이 터키해군에 공급한 유형과 매우 유사하다. 대부분 Atlas Electronik 탐지기와 STN 어뢰를 탑재한 것이다. 최대 잠수깊이는 250미터이며 수동형 견인 어레이가 부착된다.

3,800 마력의 MTU 12V 396 SE 디젤 기관 4기가 탑재되어 있고, 각 기관 마다 발전기가 장착되 4기의 발전기로 축전지를 충전시키며, 축전지로 움직이는 모터 1대가 저소음 침투시 이용된다. SSM이 탑재되어있고, SUT 어뢰와 K-731를 발사할 수 있는 21인치(533미리) 함수 발사관 8개를 가지고 있다. 어뢰 대신 28개의 K-721 기뢰를 장착할 수 있고, Atlas Electronik CSU 83 음파탐지기를 장착하고 있다.

 

림팩 2004 훈련에 참가중인 SS-61 장보고함

함종 : 잠수함

함급명 : 장보고

제작 : 독일 HDW(1번함), 대우조선해양

운용 : 대한민국 해군

이전 함급 : 돌고래급 잠수정

다음 함급 : 손원일급 잠수함

진수 : 1번함 1991년

취역 : 1번함 1993년

함급 번호 : KSS-1

제작수량 : 9 척

 

▶일반사항

 * 독일 해군의 209급을 국내에서 면허 생산한 것이다.
* 총 12척을 보유할 예정이었으나 9척으로 축소되었다.
* 현재 7번함까지 건조되었다.
* 7번함 부터는 하푼 발사가 가능하다.(어뢰발사관을 이용)

▶특징

 * 1200톤급 디젤 잠수함으로 정숙성이 매우 뛰어나다.
* 어뢰와 기뢰는 물론 하푼발사도 가능하다.
* 3000톤급 잠수함을 자체 설계, 건조하기 위한 기술축적
* 차후에 측면배열소나와 공기독립기관(AIP)를 탑재 212급 수준으로 향상시킬 예정이다.

▶기본제원 및 성능

- 배수량 : 1,224톤(수상주행시)/1,530톤(잠항시)

- 전장 : 55.9 m

- 선폭 : 6.2 m

- 홀수 : 5.5m
- 최고속도 : 11 노트 (20 km/h) (수상주행시)/21.5 노트 (40 km/h)(잠항시) 

- 잠수 깊이 : 500 m

- 항속거리 : 8,000nm(8kt로 수상주행시)/420nm(8kts로 잠항시) 

                 수상 10 노트, 10,000 nm (19,000 km)

                수중 스노클 10 노트, 8000 nm (15,000 km)
                 수중 배터리 20 노트, 20 nm (37 km)
                 수중 배터리 4 노트, 400 nm (740 km)
- 승조원(수용능력) : 33명(장교 6명)

- 장갑 : HY80 고장력강

스노클을 이용하면 8노트 항해시 7500 마일 항해가 가능하다. 완전잠항으로는 약 5%인 370마일이 한계다.

▶ 탑재무장

- 어뢰 발사관 6문 × 533mm(21') 3연장 2배열
- STN Atlas Elektronik社의 DM2A4 중어뢰 시스템은 현재 206, 206A형 잠수함에서 사용되고 있는 와이어유도 능동식 추적방식의 DM2A3 어뢰의 차기형으로 개발중에 있다. 212형은 어뢰발사를 위해 워터 램 추진장치를 갖춘다.
- 장보고급 잠수함은 총 8문의 어뢰 발사관이 함수에 있고, 총 14기의 어뢰나 24기의 기뢰를 탑재할 수 있다.
- 기뢰는 대부분 기뢰팩을 이용 함 외부에 장착하고 내부엔 어뢰만을 탑재 효율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다.
- 최근 국내에서 잠룡(K721)이라는 복합기뢰(음향, 자기)가 개발되었는데 아직 실전배치 여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 7번함인 이순신함부터는 어뢰 발사관을 이용한 서브하푼(Sub Harpoon)의 발사가 가능하다.
어뢰 SUT(AEG사), 백상어(LG정밀)
- 대함미사일 하푼 대함미사일 (잠수함 발사형 서브하푼은 7번함부터 탑재될 예정임.)

▶ 화력통제장치
ISUS TFCS (Atlas Elektronik사)

 

▶ 레이더
- Kelvin Hughes Type 1007 I-밴드항법레이더

 

▶ 잠망경
- 탐색용 : Zeiss-Eltro Optronic Sero 14
- 14 공격용 : Zeiss-Eltro Optronic Sero 15

 

▶ 추진 체계

- 주추진기관 : 디젤-일렉트릭 1×MTU 16V 396 디젤엔진, 3.12 MW
- 보조추진기관 : HDW/Siemens AIP시스템, 300 kW (최고 18kts)
- 추진축 1개 , 7엽 스큐드 프로펠러 (9엽 스큐드 프로펠러 연구중)
- 추진 전동기는 독일에서 독자 개발한 영구 자성 모터 (PM-Motor)

▶ Sonar
- STN Atlas Elektronik DBQS-40 (중간 주파수의 수동 검색용)
- STN Atlas Elektronic MOA 3070 (능동형의 고주파수 기뢰 탐침용)
- 저주파수 신호특성을 가진 TASS-3 견인형 소나
- 중/저주파 검색용의 측면배열식 FAS-3 소나
- 목표물의 거리 및 진로를 검출하기위한 수동식 Ranging 소나
- CSU-83 (Atlas Elektronik사)

▶ 엔진 디젤 엔진 1760 kW
디젤엔진과 축전지를 이용한 디젤/전기 추진방식을 병용한다.
디젤엔진 MTU 12V 396 (Siemens사) - 4기 장착(5000 마력)
추진기 1축 추진기 (7엽 블레이드)
추진축이 1개이고 함의 정숙성을 위해 7엽 블레이드 장착.
추진기는 캐비네이션을 줄이기 위해 항상 홀수로 설계된다.

 

▶ 선체 구조
- 자성치 최소화를 위해 선체 재질은 비자성 스테인리스강(?오스테나이트 스틸) 사용
- 별도의 가압벽이 없는 단일형 공간으로 구성 (모듈식으로 직경이 다른 두부분의 선체가 연결)
- 전장과 직경비가 7로서 기동성 향상
- 함교에 잠항타 및 함미에 X자형 종횡타 형태
- 외부 선체에 능동소나와 피탐 방지를 위한 특수 표면 처리

 

▶ 대응수단
- ESM : 다임러에어로스페이스 FL 1800U(브란덴부르크級 프리기트함에서 사용중인 FL1800S-Ⅱ의 잠수함용 버젼)
- 디코이 : TAU 2000 어뢰형 대응수단

 

▶ 전투데이터시스템 Basic Command and Weapons Control System (BCWCS)
- 각종 센서류·무기류·항법시스템과 연결되는 고집적의 지령/관제 시스템
- 고성능 데이터버스와 중앙집중식 컴퓨터

 


 

1.림팩 훈련

1번함 이름이 장보고함이기에, 장보고급 잠수함이라고 불린다. 한국군이 보유한 HDW사의 209-1200형인 장보고급은 동급 209급과 달리 장보고급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은데 초기 도입비용이 1억불에서 2억불 이상으로 올라가면서 각종 소음대책과 장비의 추가가 이루어지면서 소음 레벨에서는 209 시리즈중 최고급으로 설정되었기 때문이다. 일본의 최신 잠수함인 오야시오급 잠수함도 1 km 이내로 접근한 장보고급을 겨우 발견할 정도였으며 이때 역시 한국 잠수함이 급기동으로 존재를 알리는 바람에 오야시오에서 탐색이 가능했다고 한다.

손원일급 잠수함도 8문의 533mm 어뢰발사관을 사용하는데, 한국은 손원일함에는 천룡 순항 미사일을 탑재할 것이라는 보도가 있었다. 그러나 장보고함에 천룡을 탑재한다는 보도는 없었다.

  • SS-061 장보고 - 1993년 취역 독일 HDW
    • 림팩 2004에서 미국 존 스테니스 항공모함을 포함한 가상적 수상함 전원을 어뢰공격하고 한 번도 탐지되지 않음
    • 림팩 2004에서 가상적 함정 중 오직 LA급 잠수함 2척만 공격 못함
  • 이천함 (SS-062) - 1994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최무선함(SS-063) - 1996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박위함 (SS-065) - 1995년 6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 림팩 2000에서 11척 9만 6천톤을 가상 격침.
    • 림팩 2000에서 유일하게 최후까지 생존.
    • 림팩 2000에서 한국 해군 잠수함 최장 항해 기록. 진해에서 하와이까지 왕복 30,000 km를 항해.
  • 이종무함(SS-066)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 림팩 98에 한국 잠수함 최초로 참가하여 총 13척 15만 톤의 함정을 가상 격침
    • 한국 잠수함 유일한 피탐지 기록. 가상적 P-3C 오라이온에 5분간 탐지되었다 도주하여 공격받지는 않음.
  • 정운함 (SS-067) - 1998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림팩 2006 훈련에 참가한 SS-67 정운함

  • 이순신함(SS-068) - 1999년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나대용함(SS-069) - 2000년 12월 취역 대우조선해양.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 림팩 2002에 참가하여 총 10척 10만 톤의 함정을 가상 격침.
    • 림팩 2002에서 해군 최초로 하푼 잠대함 미사일을 발사하여 60km 떨어진 곳에 있는 목표물을 명중.

림팩 2002 훈련에 참가하여, 하푼미사일을 발사한 후 부상한 SS-69 나대용함

  • 이억기함(SS-071) - 2000년 취역 대우조선소. 하푼 미사일 발사가능

어뢰는 AEG사의 SUT Mod2 어뢰와 LG정밀의 K-731 백상어 어뢰를 사용한다. SUT 어뢰는 유선유도 방식이며, 백상어는 파이어 앤 포겟 방식이다.

어뢰 8발은 어뢰관에 장착되며, 6발은 탄약고에 보관된다. 탄약고에 16발을 저장할 수 있는 손원일함 보다 작다.

장보고급 잠수함에는 30명이 탑승하며, 장교 6~7명과 부사관으로 구성된다. 함장의 계급은 중령이다.

 

2. 림팩 2004

장보고함은 림팩 2004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황군 잠수함으로 참석, 청군 함대를 전멸시켰다. 미국 태평양 함대의 잠수함 사령관 설리반 소장은 “장보고함이 청군세력을 전멸(decimation)시킨 능력과 기술은 매우 인상적이었다”는 내용의 전문을 보내왔다. 청군 기함인 10만톤급 핵항모 존 C. 스테니스와 이를 호위하는 이지스 구축함 2척과 순양함 2척 등 30여 척을 격침하였다.

황군에는  대한민국의 장보고함, 일본의 나루시오함.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오스트레일리아의 램킨함,  칠레의 심슨함의 4척의 재래식 잠수함과  미국의 LA급 핵추진 잠수함 1척, 그리고 미국의 수상함 4척이 편성되었다. 청군에는 스테니스 항모를 포함한 나머지 모든 수상함(총 15척)과 미국의 LA급 핵추진 잠수함 2척이 편성되었다. 청군에 속한 수상함은 모두 15척인데, 장보고함이 40번 이상 가상어뢰를 명중시켰다. 청군 소속의 4척의 더블클릭을 하시면 이미지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일본 구축함도 모두 격침했다. 그러나, 청군 소속의 LA급 핵추진 잠수함2척에는 가상어뢰를 명중시키지 못했다.

적함을 침몰시킬 수 있는 10킬로미터 이내로 접근하는 데 33차례나 성공했다.

2004년 8월 6일 노무현 대통령은 훈련분대 사령관인 이건두 대령에게 전화를 걸어 “우리 해군의 우수성을 세계만방에 알려 자랑스럽다. 대통령과 국민 모두는 훈련단이 보여준 혁혁한 성과에 마음 든든하다”고 격려했다.

 

2-1. 미국 해군의 고틀란드급 잠수함 리스

2004년, 스웨덴 정부는 미국에 고틀란드급 잠수함의 1번함인 고틀란드함을 리스하였다. 스웨덴기를 달았으며, 스웨덴군이 지휘하고 조작했다. 1년간 대잠전 훈련에 리스되었다. 2004년 10월 이러한 요청을 받았으며, 2005년 3월 21일 양국 해군은 양해각서에 서명하였다. 리스는 2006년에 12개월간 연장되었다.2007년 7월 고틀란드함은 샌디애고를 떠났다.

 

3. 하와이 단독 잠항

장보고함은 1997년 50여일간 지속된 하와이 파견훈련때, 한국 해군 최초로 진해 기지에서 하와이까지 1만 마일, 1만8천㎞를 단독 잠항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장거리를 단독 잠항은 잠수함 운용 40년 역사를 갖고 있는 일본에서조차 시도된 적이 없는 기록이다.

 

4. 1만시간 잠항 성공

1991년 독일 HDW 조선소에서 건조된 장보고함은 1992년 10월 우리 해군에 인도돼 1993년 취역한 이후 지금까지 무사고로 1만시간(417일)을 잠항하는 데 성공했다. 물속에서 1만시간동안 이동한 거리는 지구를 2바퀴나 도는 거리에해당하는 8만219㎞에 달한다.

 

5. 인도네시아 수출

대우조선해양은 배수량 1400톤인 장보고급 잠수함 3척의 인도네시아 입찰에서 단독 우선협상자로 확정되었다. 1조2000억원(11억달러) 규모로, 계약이 체결되면 한국 방산수출 단일계약 사상 가장 많은 금액이다.

 

5-1. AIP

수출모델이 한국과 인도네시아가 현재 사용중인 209급 잠수함과 같은 것인지, AIP 연료전지를 장착한 것인지는 알려진 바 없다.

그러나 AIP 연료전지 디젤 잠수함이 최근 국제시장에서의 최첨단이며, 한국도 209급 잠수함을 개량하여 연료전지를 장착하는가가 논의된 적이 있으며, 대우조선해양은 AIP 잠수함인 손원일급 잠수함 4번함을 현재 건조중이다. 대우조선해양은 지식경제부가 추진중인 한국산 1메가와트급 선박용 연료전지 개발에도 참여중이다.

장보고급은 독일의 비AIP 디젤 잠수함 중 최신형 모델이다. 반면에 프랑스의 비AIP 디젤 잠수함 최신형은 스콜피언급 잠수함이다. 프랑스는 스콜피언급을 개량하여 프랑스제 AIP 시스템인 MESMA를 추가했다. 각 시스템의 가격은 6000만달러(600억원)이다. MESMA를 추가하기 위해서 길이 8.3 m, 배수량 305 톤의 새로운 공간을 필요로 했으며, 그 결과 21일 이상의 잠수능력을 갖추었다.

독일도 AIP 209급 잠수함을 수출중이다. 기존 209급 잠수함을 AIP로 업그레이드하는 사업도 하고 있다. 최초의 AIP 업그레이드는 그리스의 포세이돈급 잠수함(Type 209/1200) 3척에 대한 넵튠2 업그레이드 프로그램이다. 이 업그레이드는 조종실 뒷부분을 절반 잘라내어 6 m를 추가하여, 120 kW 지멘스 AIP 시스템을 장착하는 것이다.그리스가 214급 잠수함을 구매하기로 하여, 업그레이드가 중도에 취소되었으나, 최초의 Okeanos (S118) 잠수함은 업그레이드가 완료되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1. 54구경 5인치 함포(127mm)

 

1) MK42

   

 

 미 해군에서 1953년부터 사용되고 있다. 대공. 대함용등 모두 사용가능하고 , 급탄은 수동이지만 양탄으로부터 발사까지는 자동이다. 탄약은 탄환과 장약으로부터 저장되며, 상부에 탄환, 하부에 장약으로 구성되며, 사격통제장치(FCS)와 연동해 사격이 되지만, 비상시 수동사격도 가능하다.

 

 

2) MK45

 

 

미 해군의 대표적 함포로 외국에도 많이 수출되었으며, 주목적은 대함공격이지만 지상지원 포격에서도 충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최대 사정거리가 약 24Km 이며 분당 16-20발을 사격할 수 있으며, MK42의 개량형이다.

KDX-2(충무공 이순신급)에 탑제되는 미국 유나이티스 디펜스 사에서 개발한 mk45 mod4 함포는 우리기업이 라이센스생산하고 있습니다.

 

 

3) 127/54C 오토멜라라(오토브레다) 127mm 컴팩트건

 

 

이탈리아 OTOBreda사(최근에 오토멜라라사가 오토브레다사로 통합되었습니다.)에서 개발한 함포로 주로 구축함, 호위함등에 장착되며 대공, 대함용에 모두 사용가능하고 , 급탄에서 이송,발사까지 모두 자동이다. 사격통제장치(FCS)와 연동해 사격이 되지만, 비상시 수동사격도 가능하다.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이탈리아의 오토브레다사제로 최대 분당 45발을 발사할 수 있으며 사거리는 16km로 미해군의 5인치 MK-45보다 떨어진다. 

KD-1(광개토대왕급)에 선정하여 주포로 장착되어 있다.  

 

 

2. 3인치 오토멜라라(오토브레다) 76mm 함포

 

 

76밀리 자동포는 이탈리아의 OTO Melala(오토브레다)의 대표적인 함포이다. 우수한 성능으로 세계40개국에서 채용되고 있다. 분당 최대 85발 이상 발사할 수 있지만 실제적으로는 30발 정도 발사할 수 있다.

대함사격에는 16km를 발사할 수 있고 대공사격에는 12km를 를 발사할 수 있다. 특히 대형함정부터 유도탄정등 소형 함정에도 탑재도 가능하도록 경량화가 진행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포실등은 강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있다. 한국형 호위함(FFK), 초계함(PCC)에는 함수와 함미에 장착되어 있으며, 주포로 사용중이다.

 

 

3. 40mm 기관포

 

1) 40mm 보포스 기관포

 

  출처: http://cafe.naver.com/navy309.cafe    40mm 보포스 기관포

 

현재 참수리급 고속정과 미국제 구형전차상륙함(기어링급)에 장비되어있습니다.

 

 

2) 40mm 오토브레다 쌍열 기관포

 

출처: http://cafe.naver.com/navy309.cafe    40mm 브레다 쌍열 기관포

 

현재 대부분의 호위함(FF)과 초계함(PCC)에 이탈리아 브레다사(현재의 오토브레다사)의 40mm 쌍열 기관포를 사용합니다.

 

 

3) 40mm 노봉 쌍열 기관포

 

 

 

40미리 쌍열함포는 대우가 국내에서 독자 개발한 장비(이탈리아의 브레다社에서 개발된 40mm 쌍열 기관포 시스템을 역설계)로서 함정의 대항공기방어, 대미사일방어 및 함대함 교전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며, 세계 동급의 유사장비보다 훨씬 안정적인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 함포의 최대 사거리는 12㎞, 대함 유효사거리는 6㎞, 대공유효사거리는 4 ㎞이며, 또한 사격분산도는 1.5미리래디안으로 고도의 정확성을 갖추고 있으며, 함포의 포구속도 는 초속 1,005미터, 최대 반동거리 2,300밀리이며, 각각의 포는 초당 300발의 각종 탄환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방호물은 EMI, 차폐를 위해 특수소재로 설계되어 있으며 구조물은 알루미늄으로 되 어 있어 가볍고 해수의 부식에 대한 저항력이 높습니다. 탄통은 8층으로서 768발을 저장할 수 있으며, 선택사양으로 탄종 선별 급탄 장치를 부착하여 대공, 대함영 탄약을 선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 되어 있습니다. 기뢰부설함인 원산함,고준봉급 상륙함, 천지급 보급함(2,3번) 정도에 장비되어 있습니다.

 

 

4. 30mm Emerson Electric 자동포

 

 

30밀리 Emerlec 자동포는 미국 Systems & Electronics Inc. 에서 제작되어 미국을 비롯한 여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함포이다.  EMERLEC-30 함포는 주포, 또는 부포로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두개의 30mm KCB cannons, 경량성과 갑판하부에 장착된 탄약고등 편리한 구조가 장점이다.

현재 EMERLEC-30의 후속모델로 VALKYRIE 함포시스템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대공. 대함용으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대형함정부터 유도탄정등 소형 함정에도 탑재도 가능하도록 경량화가 진행되어 있다. 

한국형 호위함(FFK), 초계함(PCC)에는 부포로 사용중이며, 참수리급(PKM) 초기형에서는 주포로 사용되고 있다.

 

 

5. 20mm 발칸포

 


   참수리급(후기형 365호) 후방에 장착된 20mm 시 발칸포

 

참수리 고속정의 주력 무기중 하나인 구경 20mm 시(sea) 발칸포입니다. 분당 발사속도가 3000발에 달하고 사정거리는 4km가 넘습니다. 고속정에는 총 2문이 장착돼 있습니다.

 

.....................................................................................................................................

 

출처: khs670207님의 우리나라 함포에 대한 답글

 

1. 고속정 (PKM)
중기형: 주포-30mm Emerlec 자동포. 부포-20mm발칸포 2문.
후기형: 주포-40mm 보포스 (덮개형). 부포-20mm발칸포 2문.

 

2. 초계함 (동해급 1000톤, 포항급 1200톤)
동해급: 주포- 오토멜라라76mm 컴팩트 포 2문. (선수,선미 각가 1문)
           부포- 30 mm 기관포(Emerson) 4문.

포항급: 주포- 오토멜라라76mm 컴팩트 포 2문. (선수,선미 각가 1문)
           부포- 30 mm 기관포(Emerson) 4문 (초기형)
                 - 40 mm 기관포(Breda) 4문 (후기형)

 

3. 호위함 (울산급 만재-2180톤(초기형) 2300톤(후기형))
주포- 오토멜라라76mm 컴팩트 포 2문. (선수,선미 각가 1문)
부포- 30mm 에머슨 기관포- 4문 (초기형), 40mm 브레다 기관포- 3문 (후기형)

 

4. 구축함
KD-1 광개토대왕급 (만재 3900톤)
주포- 오토멜라라 5"(127mm)/54 포- 1문.
CIWS (근접 방어부기체계)- 골기퍼 시스템(30mm 기관포) 2문

KDX-2 충무공 이순신급 (만재 5000톤)
주포- MK-45 5인치(127mm)포- 1문.
CIWS (근접 방어부기체계)- 골기퍼 시스템(30mm 기관포) 2문.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윤영하함 76km 함포 분석

 

 

우선 76km 함포 제원부터 보면 구경은 76mm에 62구경장입니다.

윤영하함은 분당 80발 정도의 발사속도를 내는데, 최근에 진수된 한상국함과 조천형함은 신형76mm 스텔스 함포를 탑재했기 때문에 분당 100발의 발사속도를 보여줍니다.

 

일단 포신의 길이를 알아봅시다.

포신 길이를 구하는 공식은 구경(76mm) X 구경장(62) = 포신 길이니, 계산해보면 4712mm 로 나옵니다.

여기에 포탑 크기까지 생각하면 포 전체의 길이는 아마 6500mm 정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76km 함포의 위력을 계산해봅시다.

분당 100발이면 대충 한발당 0.6초 입니다. 탄 장전 속도를 생각하고, 속도 0 에서 약 5000km 에 달하는 달하는 거리를 0.6초 만에 통과를 한다면 최소 초속8500 km 넘는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76mm 포탄 무게가 12kg 정도 나오고, 76mm 함포용 포탄의 무게는 1.2 톤입니다. 1.2 톤의 포탄이 초속 8500km 이상으로 날라가면 그 위력은? 그것도 분당 100발로 날아간다면?

 

초속 8500km 이상은 광속의 2.8% 정도이며, 현용 포가 보통 초속 1km 인 것을 생각하면 동일질량기준으로 최소 8,500 배의 에너지를 가집니다. 단지 물리적 충돌에너지만 계산해도 핵융합 임게온도를 월등히 넘어버리기 때문에, 맞는 순간 핵폭발을 넘어 작은 태양이 하나 생긴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윤영하급 고속함에는 승무원 전원이 AK-47 프로토타입 버전으로 무장하고 있으며, 우주전투기 라팔까지 탑재하기 때문에 현재 이시간에도 대명왕성이랑 결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퇴역 한국해군함정에 대해서

 

(9)구축함(DD)

 

미국에서 플렛쳐급 구축함은 1942년 ~ 44년 175척이 알렌 M. 섬녀급은 1943년부터 ~ 44년까지 58척이 기어링급은 1944년부터 ~ 46년까지 101척이 건조 되었습니다. 이 구축함들은 1960년대말 부터 순차적으로 퇴역하기시작하였습니다.

 

플렛쳐, 알렌 M. 섬녀, 기어링급들은 퇴역후 한국, 터키, 그리스, 이란, 베네수엘라, 브라질, 멕시코, 파키스탄, 대만등에 수출되었으며 우리나라에는 플렛처급 3척, 알렌 M. 섬너급 2척과 기어링급 7척(FRAM1- 5척 /FRAM2 -2척)척이 도입되었습니다.

이중 기어링급인 경기함과 전주함은 애스록을 탑재한 FRAM2급 으로 대잠함 입니다.

 

기어링은 FRAM1(A형 B형 두가지) 과 개수된 FRAM2, FLETCHER, SUMNRR 버전으로 나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1990년대까지  우리 해군의 주력함들이었습니다.

 

DD-911 (플렛처급)    충무함(DD-631 ERBEN)

DD-912 (     "      )    서울함(DD-686 HALSEY POWELL)

DD-913 (     "      )    부산함(DD-673 HICKOX)

DD-915 (기어링급)    충북함(DD-805 CHEVALIER)

DD-916 (     "     )     전북함(DD-830 EVERETT F. LARSON)

DD-917 (알렘섬너급) 대구함(DD-703 WALLACE L. LIND)

DD-918 (   "     "    )  인천함(DD-727 DE HAVEN)

DD-919 (기어링급)    대전함(DD-818 NEW)

DD-921 (     "     )     광주함(DD-849 RICHARD E. KRAUS)

DD-922 (     "     )     강원함(DD-714 WILLIAM R. RUSH)

DD-923 (     "     )     경기함(DD-883 NEWMAN K. PERRY)

DD-925 (     "     )     전주함(DD-876 ROGERS) 

 

 

ㅁ 각 구축함의 처음도입과 퇴역

 

1) Fletcher급(충무급)
1963년 5월 16일 처음도입되어 1980년대 말쯤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됩니다.
이중 부산함(DD-913)은 해체되어 함교부분이 해군사관학교內의 박물관에 전시되어있습니다.

 

2) Allen M. Sumner급(대구급)

1973년 12월 4일 처음도입되어 1990년대 초쯤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됩니다.

 

3) 기어링급

1972년 7월 5일 처음도입되어 2000년대에 마지막으로 퇴역하여 해체됩니다.
이중 전북함(DD-916)은 강원도 정동진 통일공원에 강원함(DD-922)은 진해 해양 공원에 전주함(DD-925)은 당진군 삽교천 삽교호 해상공원등에 전시해 두었습니다. 

 

1) Fletcher급(충무급) 구축함 : 총 3척 (DD-911~913)

 

Fletcher 급 구축함의 도표

CMC: PH: 안내실
S: CIC: 전투정보실
5: 127mm/38 guns, (#1 - 5) IC&P: Interior Communications & Plot
HR: 탄약실 DC: Depth Charges (not pictured)
EQ: 승무원 내무반 BR: 보일러실
M: Magazine 40: 40 밀리미터 AA포
OQ: 장교 내무반 G: Galley
W: 사관실 L: 세탁실
CM: T: 어뢰발사관
FO: 연료실 MSP:
ER: 기관실

 

ㅁ 제원 및 성능

표준 배수량: 2,050 톤 (만재 2,500톤)

전장: 376.5 ft (114.5m)

전폭: 39.5 ft  (12,0m)

흘수: 12.5 ft (3.8m)

추진력: 4 Babcock & Wilcox 석유 연소 보일러, 2개 제네랄 일랙트릭 증기 터빈, 2개의 나사

속도: shp 36.5 노트 @ 60,000

항속거리:  6500 nmi. (12,000 km) @ 15 노트

무장:  5 인치(127 밀리미터)127mm/38 단연장함포 5문(함수에 2문 함교뒤에 1문 함미에 2문)

   보포스 40MM/56 4연장 대공포 2~4문(함마다 틀림) (4연장 40MM포는 뒤에 2연장 40MM/56포로 교체됨)

    533MM어뢰 5연장 어뢰 발사관 (함교 뒤에 있슴), 324mm대잠어뢰 6기, 2개 대잠폭뢰 (폭뢰26발)

인원: 329명 

함정:

DD-91/911 충무(DD-631 USS Erben)

DD-92/912 서울(DD-686 USS Halsey Powell)

DD-93/913 부산(DD-673 USS Hickox)

 

 

충무급 구축함은 5문의 함포, 2~4문(함마다 틀림)의 40mm대공포, 10발의 533MM어뢰등으로 당시 간첩선을 많이 잡았는데 그 당시는 정말 좋은함이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최초의 구축함으로써 그 역활을 독톡히 했습니다.

 

 

2) 알렌 M. Sumner급(대구급) 구축함 : 총 2척 (DD-917, 918) 

 

 

ㅁ 제원 및 성능

배수량: (표준) 2,200 톤 (만재 3,315 톤)

전장: 376.6 ft (114.8 m)   

전폭: 40 ft (12.2 m)

흘수: 15 ft 8 in (4.8 m)

추진력: 힘: 60,000 shp (45 MW), 보일러: 4 Babcock & Wilcox, 드라이브: 2개의 나사; 설치된 터빈, 연료: 740 톤 (최대)

속도: 최대 34 노트 (63 킬로미터)

항속거리(최대범위):  4,600 NMs  (12,000 km) @ 15 노트

무장:

MK-38 127MM/38 2연장 함포 3문 (함수에 2문 함미에 1문), 보포스 40MM/56 2연장포 1문, RGM-84 하푼 8발탑재

        Mk-6 대잠폭뢰발사기 2문 (MK-9폭뢰 함미에 12발), 324mm MK-32 어뢰발사대 2문(MK-44/46어뢰 6발 장착 함교뒤에 위치)

        10 × 21 in. (533 밀리미터) 5연장 발사대 2문 

임시무장:70년대쯤에 대공공격에 취약해서 헬기갑판에 육군에서 쓰던 M167대공발칸을 담.

탑재기: LYNX 1기

인원: 336명 기준 

함정:

DD-97/917 대구(DD-703 USS Wallace L. Lind)

DD-98/918 인천(DD-727 USS De Haven)

 

 

기어링 FRAM2급과 같이 함포의 수가 같은데 기어링과 구분하는 방법은 함교의 모습으로 구분하거나 무장을 자세히 살펴보면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어링함에 비해 유명하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구축함으로써 유명한 함인데 다른함보다 일찍 퇴역했습니다.

 

 

3) 기어링 FRAM1급(광주급)/ FRAM2급(충북급) 구축함 : 총 7척

 

 

ㅁ 제원 및 성능 

전장: 306 ft (93 m)

전폭: 37 ft (11.3 m)

흘수: 9.5 ft (4.1 m) 기준

기준 배수량: 2.637톤 / 만재배수량: 3.440~3.460 톤

추진력: 추진기관: GE증기터빈 6만마력

속도: 34~36.8노트 (65km/h)

항속거리: 4,500 nmi. at 20 knots (8,300 km at 37 km/h)

무장: 5인치 2연장 127미리포 FRAM1는 3문으로 함수에 2문, 함미에1문 배치/FRAM2는 2문으로  함수,함미에 1문씩 배치

        40미리/56 2연장포 2문, 대우 20미리 씨벌컨 2문, SSM: 4연장 발사기 2문 (DD-919 /DD-921 제외)

        RGM-84 하푼 8발탑재   (DD-923/ DD-925 제외)

        DD-923/DD-925는 하푼대신 ASWK: 112발사기, ASROC(애스록) 8발 탑재

        324미리 MK32 3연장 어뢰발사관 2문, MK-44/MK46어뢰 6발, 헷지호크폭뢰발사기 2문(12발X2문 헬기갑판)FRAM1급은 제외

        Mk-6 폭뢰발사관 2문(MK-9폭뢰 함수에 12발)

        MK-118애스룩 8연장발사대(하픈 대함미사일을 대신해서 경기,전주함에 설치)

인원: 승무원 280명 장교포함 (11명)

탑재기: LYNX 1기  (DD-925함은 씨-발칸 때문에 제외)

레이더 : 대공레이더 SPS-40  / DD-921 SPS-37

대수상 레이더 SPS-10

소나: SQS-29

함정:

DD-95/915 충북(DD-805 USS Cheval!ier)
DD-96/916 전북(DD-830 USS Everett F. Larson)
DD-99/919 대전(DD-818 USS New)
DD-921 광주(DD-849 USS Richard E. Kraus)
DD-922 강원(DD-714 USS William R. Rush)
DD-923 경기(DD-883 USS Newman K. Perry)
DD-925 전주(DD-876 USS Rogers)

 

 

기어링함은 2차 세계대전때 미국에서 대량생산된 구축함으로 기어링함은 크게 FRAM2급과 FRAM1급으로 구분됩니다.기어링 FRAM1급은 다른 구축함에 비해 함포가 1문이 적습니다. 기어링중 일부는 6.25때도 참전했습니다.90년 후분부터 퇴역해 2000년 광주, 강원의 퇴역으로 구형구축함의 시대는 끝나고 국산 신형구축함 시대가 오게 되었습니다.

 

기어링 FRAM2급의 주된 구분방법은 함교 앞의 함포수로 구분합니다. 원래 미국에서 도입시 하픈과 시발칸포는 없었으나 기어링을 개조할때 장착되었습니다. 비록 현재는 퇴역했지만 북한 간첩선들로 부터 우리나라를 지켜왔다는데 자랑스럽습니다. 정동진에 북한 상어급 잠수함과 함께 전시되어 있습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해군사관학교 (경남-진해)

 

 

벚꽃이 다 사라지고 뒤늦은 여행기일 수 있으나 2009년이 지나기 전에 진해 여행의 두번째 장으로 오늘을 시작한다.

해군사관학교와 작전사령부는 군항제가 아니면 쉽사리 방문하기가 쉬운 곳이 아니다.

인터넷에 접속하여 신청서를 작성하여 승인이 떨어지고, 또다시 신분확인과 단체방문 등등 번거로운 일 때문에 방문 자체가 꺼려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오늘같은 군항제 기간에는 아무런 제약없이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필자의 가슴을 뛰게 만든다.

 

 

 

이른 시간에 도착했음에도 불구하고 차량들의 행렬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사관학교에서 관람이 허용된 지역은 박물관과 거북선 그리고 해사반도라는 장소 뿐이라 입구에서 10여분 동안 안으로 들어가야 한다. 조금만 늦어지면 주차장이 만차가 되고 셔틀버스를 이용해야 하기 때문에 서둘러 들어가야 하는 곳 중의 하나이다.

 

아직까지는 차량통행에 제약이 없다. 조금 붐비기는 하지만 거북선이 있는 사관학교의 안쪽으로 겨우 세우게 된다.

그리고 주변을 둘러본다.

 

       

▲ 거북선의 모습

 

이곳저곳을 둘러보고 사진을 찍고 있노라면 어느덧 인파속에서 가족들의 모습을 쉽게 잃어버리기 쉽다.

캠코더로 여기저기를 촬영하시는 아버님과 포인트가 맞지 않는 날에는 휴대폰으로 위치확인을 다시 해야할 정도로 사람들이 벌써부터 붐비기 시작한다.

 

어느덧 시야에서 사라진 아버님은 거북선 관람을 위해 줄을 서고 계신다.

뒤쪽 바다를 보니 군함들의 모습과 고요한 바다만이 평화로움을 알려주고 있다.

 

       

▲ 거북선 뒤로 보이는 웅장한 군함

 

평시에는 촬영이 금지되어 있는 해군항과 군함들을 오늘만큼은 개방되어 사람들에게 허락을 하고 있다.

먼 거리이나 뚜렷하게 보이는 것으로 봐서 실제가 가까이서 보면 크기가 어마어마 할 것 같다.

나중에 나가는 길에 둘러봐야 할 곳으로 점을 콕 찍어놓는다.

 

       

▲ 거북선 내부의 화포

 

10여분을 기다린 후에 거북선의 내부에 들어오게 된다.

당항포 관광지에서 보아온 거북선의 모습과도 별반 다르지 않다. 도리어 그 규모는 조금 적은 느낌이 든다.

비록 사람들의 번잡함에 밀려 딸려나가는 수준으로 한바퀴 돈 후에 다시 물 흐르듯 바깥으로 나가게 되었지만 거북선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이순신 장군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곳이었다.

 

거북선에 대해서 잘 알고 있지만 조금 언급해보면, 거북선은 전라좌수사 충무공이순신께서 일본의 침입을 예견하여 서기 1591년에 건조한 돌격용 전선이다.

해군사관학교의 거북선은 한국해군이 충무공 이순신의 나라 사랑하는 얼을 길이 계승하기 위하여 이충무공전서와 옛선박 관련 기록들을 참고하고, 노산 이은상 등 학계전문가 16명의 고증을 받아 1980년1월31일에 처음으로 복원하였으며, 1999년10월28일에 재건조 한 것이라고 한다.

  

 

 

 

거북선에서 나와 해사반도로 향하는 길 중간에 박물관이 위치하고  있다.

해군사관학교의 박물관을 한번 들어가보자.

 

사모관대 모습으로 우뚝선 해사박물관은 1976년1월17일 개교30주년을 기념하여 당시 도서관의 부속기구였던 이 충무공 문헌 전시실을 확장하여 창설되었다. 그후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꾸준히 발전하여 1981년2월23일에는 연면적 1,297 m2 의 콘크리트 2층 건물을 지금의 위치에 신축하였다. 또한 수집자료의 증가와 군 정신교육의 실질적인 도장이 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1990년4월28일에는 다시 증축하여 현재는 2,950 m2의 규모로 확장되었다. 건물 기초의 절반이 수중에 채워져 있는 3층 건물로서 1층은 유물창고와 사무실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2층, 3층은 3개의 전시실로 되어 있다. 2층의 이 충무공실은 충무공 이순신의 각종 유물과 기념물 그리고 임진왜란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가 총망라 되어있고, 해군해양실은 창군 이래 해군의 발전상을 알아볼 수 있는 기념자료들과 한국 해양사와 관련되는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3층의 해사실은 개교 이래 해군사관학교의 발전과정과 각종 기념물 및 문헌, 사진등이 연대순으로 전시되어 있다.

 

       

▲ 해사박물관의 내부

 

      

▲ 총통. 이 충무공의 각종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 각종 군함 모형들이 전시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2개층을 둘러가며 이 충무공의 전시물과 해군사관학교의 기념물들을 구경하고 나오면 입구에 작은 기념품점이 차려져 있다. 해군사관학교를 상징하는 T셔츠와 모자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해군 모형 조립품과 아이들을 위한 배장난감도 마련되어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10년만 젊었다면 해군배 모양을 구입하여 진열장 한켠에 마련하고 싶지만...

가격도 비싸고 장소도 마땅찮고.. 오만가지 잡걱정이 머리속을 맴돌고 있다.

 

        

▲ 필자가 유난히도 눈길이 가던 군함 모형

 

      

▲ 해사반도의 전경


 

  

▶ 드라이브 메모

 

위치 : 경남 진해시 앵곡동   (055-549-1128)

 

경부고속도로(1)와 대전-진주간 고속도로(35)를 이용해서 다시 남해고속도로(10) 부산방면으로 이동하다 서마산IC에서 진출하여 진해 표지판을 따라 진해시내로 들어오면 된다. 진해시내에서는 해군사관학교의 이정표를 쉽게 발견할 수 있으며, 중원로타리를 지나 남원로타리로 오면 된다.

대중교통 이용시 마산고속버스터미널에 도착하여 진해행버스 좌석760번을 이용(소요시간 30분)하는 것이 가장 빠르며, 마산역에서 하차하여 760번을 이용해도 된다. 창원을 경유하는 경우 창원병원 앞에서 좌석 309번을 이용(소요시간 30분)해도 된다. 비행기 이용시 김해공항에서 진해직행 리무진이 4회 운행하고 있다.

 

     입장료 : 없음. (10:00 ~ 16:30 / 매주 월요일 휴관, 신정,구정,추석 휴관 )

     주차료 : 없음.

 

 

 

 

▶ 여행 TIP

 

1. 벚꽃 축제기간 중 가장 먼저 도착해야 할 곳이다.

 

만약 자가차량을 이용한다면 군항제 기간동안 가장 먼저 보아야 할 곳으로 스케쥴 관리를 하라.

오전 10시부터 개방이 원칙이지만 9시 정도면 차량 통행이 가능하다. 일정 차량이 모이고 난 이후에는 입구의 지정된 주차장으로만 차량 유도를 하며 학교에서 제공하는 셔틀버스만 이용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번거로운 시간을 빼앗기지 않으려면 가장 빠른 시간에 도착하여 자가차량을 이용한 관람이 편할 것이다.

 

2. 견학할 수 있는 장소가 정해져 있다.

 

군항제 기간 중 해군사관학교를 개방한다고 해서 모든 구역을 관람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박물관거북선, 군함 그리고 해사반도만 개방한다.

군항제 기간이 아니라면 군함은 구경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방문 3일전에 홈페이지에서 신청서를 작성하여 승인을 득한 후 방문해야 한다.

입구에서 신분확인 후 셔틀버스로만 이동 가능하며, 도보 및 자가차량은 불가함을 원칙으로 한다.

    - 방문시간 3회 지정 : 10:00 / 13:00 / 15:00

    - 견학신청 홈페이지 : http://www.navy.mil.kr/Visit/Index.do

 

3. 군함 및 바다쪽 사진 촬영은 금지되어 있다.

 

군항제 기간에는 특별한 단속이나 제재가 없는 것이 일반적이나, 평시에는 사진 촬영이 엄격히 제안되는 구역이다.

그도 그럴 것이 지도에도 나타낼 수 없는 군사보안지역이니 이해를 해야 할 것이다.

거북선 뒤쪽 바다의 모습이나 군함 등의 사진도 모두 포함된다.

 

 

▶ 참고사이트

 

1. 진해시청  :  http://www.jinhae.go.kr/

2. 해군사관학교  :  http://www.navy.ac.kr/

 

 

▶ 주변관광지 (진해시 관광)

 

로망스다리(여좌천)[193호] 경화역[193호] 해군사관학교 해군기지사령부 → 안민도로

 

→ 내수면연구소 → 장복산조각공원 → 제황산공원 → 천자봉산길공원 → 성흥사 → 안골포굴강

 

→ 이승만대통령별장 → 소쿠리섬 → 행암-안골 해안도로 → 해양공원

 

 

출처 : 우리땅 모두밝기 (ttp://www.cyworld.com/koreatravel/2578976)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강릉영동대학교 군사학과

 

 

신설배경

육군의 전문인력 소요 증가에 따른 육군 중견간부인 부사관 충원을 위해 "육군부사관학교"와 학술교류협정(2005년9월6일)을 통해 2006학년도에 "부사관양성과"를 신설함.

 

2002.12.07

학군학술교류협정(해군 제1함대 사령부) 부사관 야간 위탁생 운영(양양캠퍼스)

2004.01.13

학군학술교류협정(공군 제18전투비행단) 부사관 야간 위탁생 운영

2005.05.26

부사관양성과 신설 설명회 개최(육군부사관학교 교정)

2005.06.10

교육인적자원부에 부사관양성과 신설 요청

2005.09.06

학군학술교류협정(육군부사관학교)

 

군사학과

군사학과는 현대화된 선진 국군을 이끌어 나갈 군의 중심 간부로서 갖추어야 할 군사, 정보에 관련된 전문지식 교육과 체력단련, 그리고 직업군인으로서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실질교육 등을 통하여 전문화되고 국제화되는 미래 자주 국방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직무에 능통하고 솔선수범하는 군사학과를 개설하고 있다.학과특징

  • 강원도 유일의 군사학과
  • 전문학사 학위 취득
  • 부사관 임관시 가산점 부여
  • 해군전자통신전공과 신설로 해군 가산점 부여
  • 병역의무와 국가 공무원으로서 안정된 직장
  • 임관후 지역 연고 우선 배치 근무(협의중)
  • 전국1위의 군 장학생 배출(선정시 1년전액 학비지급)
  • 교내 장학금 다수
  • 군 경력과 목돈 마련 가능
  • 학업 기간 중 각종 자격증 취득 기회 부여(한글, 워드, 한자,정보처리, 운전면허 등)

졸업후군교육

  • 5주간 육군훈련소 신병교육 [면제 협의중]
  • 병과별 병과 보수교육(4~7주)후 자대배치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군장대학교 국방기술 부사관학과

 

해군함정기관과         전화 : 063-450-8220  위치 : 제1학구관

                                                        홈페이지 : http://cafe.naver.com/kunjangnavy

해군함정기관과

 

 

 

육군, 해군, 공군과의 학군제휴 협약에 의한 주문식 교육과정을 이수함으로써 기술부사관 임명 및 임무수행에 필요한 각종 전문지식과 실무를 익힘으로써 “기계(추진기관), 전기, 전자통신 직별 분야”의 우수한 기술부사관 양성하며 졸업 후 선박용 엔진 및 조선 관련 산업, 전기 및 전자통신 분야에도 취업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인력을 양성한다.

 

 

 

국방기술부사관과는 2009년 대한민국 해군과 학군제휴 협약을 토대로 2010학년도 부터 신설된 학과로서 예비역 교수진을 활용한 각 군과 협의된 교육과정의 주문식교육, 각 군의 기술행정학교와 정비창을 활용한 현장실습 교육 등으로 “기계(추진기관), 전기, 전자통신 직별 분야”의 우수한 기술부사관을 양성하며, 졸업 후 선박용 엔진 및 조선 관련 산업, 전기 및 전자통신 분야에도 취업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또한 협약에 의해 해군부사관을 지원하게 되면 가산점이 부여되고, 각 군의 전문대 장학생으로 선발되면 국방부 장학금이 지급된다.

기술부사관
- 부사관 임관시 병역의무와 취업이 동시 해결
- 국가 공무원에 준하는 급여 및 수당 지급
- 공무원에 준 하는 각종 복지 혜택(의료시설 및 주택공급)
- 장기복무로 전환할 경우 안정된 평생직장이 보장
- 중·소도시 근무로 문화생활 및 자기계발 가능
- 중·장기 복무 후 전역 시 취업 알선

 

 

 

 

졸업 후 진로

  • 육군, 해군, 공군의 기술계열 부사관
  • 군무원,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등 기술직 공무원
  • 함정기관, 박용엔진 제조 및 선박건조·수리 (방위)산업체
  • 선급협회, 해운회사, 해운·항만 관련업체, 해운조합, 해운·수산관련 연구소
  • 전기, 전자, 통신 관련 (방위)산업체 및 연구소

취득 가능한 자격증(선박기관 관련)
  • 동력기계정비기능사
  • 기관사
  • 조선산업기사

취득 가능한 자격증(선박보조기계관련)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및 산업기사
  • 보일러시공기능사
  • 보일러취급기능사 및 산업기사
  • 배관기능사
  • 배관설비산업기사
  • 자동차정비·검사기능사 및 산업기사
  • 특수용접기능사 및 산업기사

취득 가능한 자격증(전기/전자/통신관련)
  • 전기산업기사
  • 전자산업기사
  •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 전산응용기계제도산업기능사
  •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 정밀측정기능사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