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12.19

 

“해군 CIWS, 이제 골키퍼 말고 팰랭크스 합시다!”

 

[근접방어무기(CIWS, Closed In Weapon System)]  는 해군에게는 최후의 방어수단이다.

대표적인 CIWS로는 <골키퍼>나 <팰랭크스>와 같이 1분에 수천 발의 탄환을 쏟아내는 발칸포,
발사 직후 초음속으로 날아가 적 미사일 또는 적기를 격추하는 <RAM> 등이 있다.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가격 문제] 때문에 주로 네델란드 <탈레스>社의 <골피퍼>를 사용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팰랭크스>가 주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방위사업청은 19일 제151회 사업관리분과위원회 (원장 오태식 사업관리본부장) 결과를 밝혔다.

이날 위원회 안건은 <울산급 Batch-II>와 <차기 군수지원함>에 사용할 [근접방어무기체계 기종결정(안)],
그리고 [차기 상륙함 후속함 건조업체 선정]이었다.

<울산급 Batch-II>는 우리 해군의 차기 호위함으로 현재 기본 설계를 하고 있다.
방사청은 여기에 장착할 CIWS로 <팰랭크스(Phalanx)>를 선택했다.

<팰랭크스>는 과거 로마군의 [방진대형]을 말한다. 방패로 전신을 가린 뒤 고슴도치처럼 뻗은 창으로 공격하는
[방진대형]은 수많은 적군의 공격을 막아냈다.

<팰랭크스>는 20mm 기관포 6개를 묶어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여기에 탐색․추적레이더와 적외선 광학장비(FLIR)을 장착했다. 1분당 발사속도는 6,000발. 제조사는 美<레이시온>이다.

지난 7월 30일 입찰공고 이후 네덜란드 <탈레스(Thales)>社의 <골키퍼(Goalkeeper)>와
美<레이시온(Raytheon)>社의 <팰랭크스(Phalanx)>가 경합을 벌였다고 한다.

2009년 <울산급 Batch-I>의 근접방어무기체계로 도입했던 <팰랭크스>에 대한 평가가 좋은 것도
이번 선정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한편 [차기상륙함] 2번함은 <현대중공업>이 만들기로 했다. [차기 상륙함]은 배수량 4,500톤 급으로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조 505억 원을 투자해 개발하는 함정이다.

일반적인 상륙작전은 물론 평화유지 작전도 수행할 수 있도록 개발할 예정이다.
<현대중공업(주)>은 2016년 말까지 [차기상륙함] 2번함을 건조해 해군에 인도할 계획이다.

 

press@newdaily.co.kr
[자유민주·시장경제의 파수꾼 - 뉴데일리/newdaily.co.kr]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해군 2020년대 잠수함 20여척 전력화

3兆 투입… 3000t급 9척 포함

 

 

 

해군이 2020년대에 원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한 3000t급 잠수함 9척을 포함, 총 20여척의 잠수함을 전력화 전력화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4일 "해군은 2020년부터 2030년까지 순차적으로 3000t급 차기잠수함(KSS-Ⅲ) 9척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워놓았다"고 밝혔다. 이는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선제 타격하는 ‘킬 체인’(Kill Chain) 구축과 연동되는 해상 전력 강화로 풀이된다.

 

군 당국자는 4일 “해군이 3조원 이상을 투입해 2020년부터 2030년까지 3000t급 잠수함 9척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다”며 “북한 등 한반도 주변의 해양 위협에 대한 억지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군은 올 1월부터 1호기 설계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3000t급 잠수함은 현재 운용 중인 1800t급(214급)이나 1200t급(209급) 잠수함과 달리 잠수함에 탑재하지 못하는 전략무기를 탑재할 수 있다. 수직발사대를 갖춰 잠대지 미사일을 통한 장거리 정밀 타격이 가능하고, 수중작전도 기존 잠수함에 비해 훨씬 장기간에 걸쳐 전개할 수 있다.

 

군의 한 관계자는 "1800t급만 해도 잠항시간이 1200t급에 비해 10배 정도 길다"며 "3000t급의 잠항시간은 1800t급과 비교해 10배까지는 아니더라도 그만큼 더 오래 있을 수 있다고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젤 엔진이 장착되는 3000t급 잠수함은 향후 창설될 3~4개의 해군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 해양 위협에 대응한다.

 

총 70여척의 잠수함(정)을 보유하고 있는 북한의 경우 1990년 이후 전체 도발의 78%가 해상을 통한 것이었다. 해군은 또 북한 잠수함에 대한 대응 전력으로 2018년까지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로 확보하기로 했다.

 

현재 우리 해군은 1200t급 잠수함 9척이 실전 배치하고 있고, 3척을 보유 중인 1800t급 잠수함도 2018년까지 6척을 추가로 전력화할 계획이다. 특히 북한은 로미오급(1800t급) 잠수함 20여척, 상어급(325t급) 잠수함 40여척, 연어급(130t) 잠수정 10여척을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군 관계자는 "주변국 잠수함 전력의 60~70%는 유지해야 주변국과 균형을 이룰 수 있다"며 "그 정도를 목표로 대략 20척 미만 정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해군이 창설하게 될 3∼4개의 전략기동전단에 소속돼 북한 및 주변국의 해양위협에 대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해군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기 위해 2018년부터 해상초계기 20여대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현재 해군은 해상초계기로 P-3C 16대를 보유하고 있지만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와 함께 해군은 5000t급 한국형차기구축함(KDDX)을 2023년 이후 6∼9척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도 세워놓고 있는 등 해상 전력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2300t급 차기호위함(FFX)도 20여척 규모로 전력화하고, 기뢰탐색 등의 임무를 수행하는 소해함과 차기기뢰부설함고 추가로 확보할 예정이다. 여기에 1만4500t급 대형수송함(LPH)과 차기잠수함구조함, 차기군수지원함, 훈련함 등도 2022년까지 확보할 계획이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해군 물개급 상륙정(LCU)

대한민국해군 물개급은 미국의 LCU-1610급 상륙정의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총 12척 이상이 건조되어 (현재도 추가건조중)운영중입니다.주요임무는 서해5도 지역에 식량 및 물자공급, 대빈지원 및 적조방지 작업 등 입니다.물개급 상륙정은 각 함대에 고루 배치되어있으며 현재 초기형 일부 몇척이 퇴역 한 것으로 보여지기도합니다.

 

 

일반적 제원
건조사 :  코리아 타코마(현 한진 중공업)
배수량 :  -기준 143 tons

            -만재 320 tons
크기 :  41.1m/8.8m/1.8m
승조원 :  14명
추진 :  - 디젤 엔진?
         - 2축 추진
속도 :  - 최대 10 knots

         - 순항 7 knots
항속거리 :  560nm
무장 :  - Mk-4 20mm/70 단장 기관포 x2(72~78)
         - 대우정밀 20mm Sea Valcan x2 or 1(79~86)

        - M2 12.7mm/50 중기관총 x4
레이더 :  항법 레이더
수송능력 : 150 short tons


보유함

LCU 1정은 미국의 LCT Mk. 6급 상륙정을 단 1척만을 인수하여 LCU 1정으로 명명되어 운용하게됩니다. LCU 1정은 낙도홍보활동및 여러임무에 투입되어왔으며 1978년도에 함번이 1에서 71로 변경되었습니다. 본 상륙정은 19??년 퇴역 후 폐선처리되었습니다.

 함번  함명   진수   취역   제작
 LCU-72  물개 72      
 LCU-73  물개 73      
 LCU-75  물개 75      
 LCU-76  물개 76      
 LCU-77  물개 77      
 LCU-78  물개 78      
 LCU-79  물개 79      
 LCU-81  물개 81      
 LCU-82  물개 82      
 LCU-83  물개 83      
 LCU-84  물개 84      
 LCU-85  물개 85      
 LCU-86  물개 86      

p.s 현재도 추가적으로 건조중인 걸로 보여집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경향신문  2013-12-26

 

해군 차기상륙함 LST-II, 2번함 건조계약 체결

 

 

방위사업청은 26일 차기상륙함(LST-II)계약을 각각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현대중공업과 1364억원에 계약한 차기상륙함 2번함은 고속 기동과 장거리 수송지원능력 등을 갖추게 된다. 차기상륙함은 2010년11월 기본설계가 끝난 뒤, 이듬해 10월 한진중공업과 상세 설계와 1번함 계약 후 건조되고 있다. 선도함은 2014년에 해군에 인도될 예정이다.

이번 후속함 2번함은 지난 12월 3일 4개 조선업체를 상대로 지명경쟁 입찰 및 적격심사를 통해 현대중공업이 계약업체로 결정됐다. 해군은 향후 차기상륙함이 2016년에 전력화되면 기존 상륙함을 대체하고 전력 보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차기상륙함 사업은 1조 505억원을 투자해 상륙작전시 병력, 장비·물자 수송 및 필요시 국제평화유지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성능이 향상된 상륙함을 확보하는 사업이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유도탄 고속함 ‘윤영하함’

해군 2함대사령부에 압항한 '윤영하함'

 부산 작전기지에서 출항하는 ‘윤영하함’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가운데)과 같이 훈련하는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정(앞).
윤영하급 함미 쪽에 미사일 발사관이 보인다. 국산대함미사일 ‘해성’을 탑재하고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윤영하급 미사일 고속함.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적 잠수함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소나는 어떻게 작동할까요?

 

  수상에서는 레이더를 사용하여 함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닷속에서는 물이 전파를 반사시키기 때문에 레이더를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또한 깊은 바닷속은 빛이 들어오지 않아 보기도 어렵습니다. 이처럼 볼 수도 전파를 사용할 수도 없는 바닷속에서 음파를 사용하여 적 잠수함의 위치를 알려주는 것이 소나(SONAR SOund Navigation and Ranging)란 장비입니다.

 

 

  소나에는 액티브소나(Active Sonar)와 패시브소나(Passive Sonar)가 있습니다. 액티브소나음파를 발생시켜 방사하고 적 잠수함의 실내 공기층을 맞고 되돌아오는 음파로 적 잠수함의 방위와 거리를 파악합니다. 액티브 소나는 전도체와 탄성체로 되어 있습니다. 액티브소나의 작동원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도체에 전기를 가하면 전도체는 운동을 하여 양옆에 있는 탄성체를 진동하게 합니다. 이것이 음파로 되어 방사됩니다. 참고로 액티브소나에서 발사된 음파는 해수온도, 염분 그리고 압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해수온도차이가 다른 수온층은 음파를 반사시키거나 왜곡시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패시브소나는 액티브소나의 반대개념으로 주로 외부에서 방사된 음파를 받아들여서 적의 방향과 거리를 파악합니다. 패시브소나 또한 액티브 소나와 같이 전도체와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패시브소나의 작동 원리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음파가 발생되어 탄성체에 닿으면 탄성체는 진동을 하게 되고 이 진동으로 전도체에 전기가 발생합니다. 이때 이 전기의 전류를 검출하고 증폭시켜 음파의 강도와 파형을 알아내어 적의 위치를 파악합니다. 패시브소나는 액티브소나와 달리 음파를 받아드리기만 하기 때문에 저전력으로 운용이 가능하고 도달거리와 탐지거리가 액티브소나의 수백 배까지 되어 자신의 위치를 숨기는 잠수함에서 주로 패시브소나를 사용합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SS- 073 정지함

 

 

함종 : 손원일

함번 : SS- 073

함명 : 정지함

제작 : 현대중공업

운용 : 대한민국 대한민국 해군

기공 : 2007년 6월 13일 

취역 : 2008년 11월

 

제원 및 성능

  • 배수량: 수중배수량 1700톤 / 1980톤(그리스) / 1860t(대한민국)
  • 디젤엔진: 2 MTU 16V 396 (6.24 MW)
  • AIP 시스템: 2 HDW PEM fuel cells (240 kW)[1]
  • 전기모터: Siemens Permasyn 1기 (2.85 MW)
  • 수상 배수량 1,700 t
  • 수중 배수량 1,860 t
  • 길이 65m
  • beam 6.3 m
  • draft 6 m
  • 수상속도 12 노트
  • 수중속도 20 노트
  • 연료전지속도 2~6 노트
  • 수상 최대거리 12,000 해리
  • 수중 최대거리 420 해리 (8노트 속력)
  • 연료전지 최대 잠항거리 1,248 해리 (4노트 속력)
  • 연료전지 최대 잠항시간
    • 2-3시간 (16 - 20 노트)
    • 2일(8 노트)
    • 13일 (4 노트)
  • 비교: 209급 최대 잠항시간
    • 1시간 (16 - 20 노트)
    • 2-3일 (4 노트)
  • 작전일수 50 일
  • 작전심도 400m
  • 승무원 27명 (장교 5명, 승무원 22명)
  • 무장: 533mm 어뢰발사관 X 8
    • 4개는 하푼 미사일의 발사가 가능한 압축공기 발사관.
    • 탄약고에 중어뢰 16문 이상 적재 가능

 

 

 정지함은 길이 65.3m, 폭 6.3m의 크기로 승조원 40명이 탑승할 수 있으며 최대 20노트의 속력을 낼 수 있다. 또한 잠대함 하푼 미사일과 어뢰 및 기뢰 등의 첨단 무기를 탑재하고 있어 대함ㆍ대잠전, 공격기뢰 부설, 적기지 봉쇄 및 차단능력을 구비한 우리 해군의 핵심 수중전력이자 현존하는 디젤잠수함 중 가장 뛰어난 잠수함으로 평가받는다.

정지함은 공기불요장치(AIP)를 탑재하여 해상에 부상하지 않고도 장기간 수중 작전수행이 가능하다

 

 

 

 

 

 

 

 

 

 

 

 

 

 

 

 

 

 

 

 

 

※ 정지(鄭地) 장군(1347~1391) :

정지(1347년~1391년) 장군은 고려 공민왕 23년(1374년)에 우리나라 최초로 수군 창설 계획을 입안, 전라도 안무사로 발탁된 고려 후기의 무신.

우왕 3년(1377년)에는 순천도병마사가 되어 순천ㆍ낙안 등지에 침입한 왜군을 격퇴했다. 그 외에도 1378년 영광, 광주, 담양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토벌하고 1383년 남해안에 침입한 왜구를 대파한 공적을 거둔 바 있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유도탄 고속함 ‘윤영하함’

해군 2함대사령부에 압항한 '윤영하함'

 부산 작전기지에서 출항하는 ‘윤영하함’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