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함 (FFG-811)
함종 : 인천급 호위함 초도함.
기본 배수량 : 2,300톤
길이 : 114m(374ft)
너비 : 14m(46ft)
추진체계 : CODAG 혹은 전기추진
속도 : 최대 30노트/순항속도 18노트
항속거리 : 5,000해리(=8,000Km)
승무원 : 140명
센서 및 처리 체계 : SMART-S Mk2탐색 레이더/삼성 탈레스 통합 전투체계
전자전 장비 및 기만체계 : LIG넥스원 SLQ-200(V)K소나타 전자전 시스템 / KDAGAIE Mk2 디코이
무장 : Mk-45 Mod.4 62구경장 5인치(127mm)함포 1문
팰렁스 CIWS 1기
RIM-116 RAM 블록1 1기
SSM-700K 해성 함대함 미사일 4기
현무3 순항 미사일 4기
K745 청상어 경어뢰 발사관 1기X3기
함재기 : SH-60시호크/슈퍼 링스. 격납고에 중형 헬기 2기 격납 가능.
진수 : 2011년 4월 29일
취역 : 2013년 예정
FFX, 차기 호위함, 울산-1 등으로 명명된 우리 해군의 차기 호위함입니다.
울산급 및 포항급을 대체할 목적이기에 18척에서 24척 정도가 건조될 예정인, 한국 해군의 양적 주력함입니다.
배치-1과 배치-2 등의 차선이 있습니다. 사실 천안함 침몰사건 이후 초도함의 함명이 천안이 되는 게 맞지 않느냐는 비난이 있었는데, 해군 당국은 '서해 5도 수호 의지'를 천명하기 위해서 인천이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하죠. .
인천급 호위함은 2005년 경부터 상당히 저렴한 설계로 건조될 예정이었습니다. 그래서 전통과 역사의 골키퍼 대신 부품 수급이 용이하고 사후지원도 빵빵한 레이시온의 팰렁스를 CIWS로 채택하기도 했죠 최소한의 무장만 갖추고 헬기 운용 능력을 추가해서 광개토대왕급, 혹은 충무공이순신급과 함께 작전한다.....는게 그 이유였다는데 문제는...
인천급의 무장 배치. 이걸 보세요. 이거 어디 개수될 여지가 안보이네요. 흡사 대기업 완제품 PC를 보는 기분이 드는군요.
그래도 주먹은 큰 놈을 달았군요. 2,500급 배에 127mm를 다는 나라는 우리밖에 없을걸요. 사실 인천급은 울산급과 포항급을 빨리 대체하기 위해서 빠르게, 많이 띄울 필요성때문에 제 개인적으로는 그리 나쁘지만은 않다고 봅니다. 하지만 말이죠... 같은 개념으로 진수된 미 해군의 올리버 해자드 페리급을 보면 아쉽기만 한데, OHP급은 '일단 싸게 만들고 나서 나중에 필요하면 업그레이드도 할 수 있게' 건조된 배라서 미국을 포함해서 잘 업글해서 잘 써먹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천급은 성능이 딱 고정되어 있는지라 -보시면 알겠지만 VLS를 어디다 달아요?- 울산급 못지 않게 장단점이 뚜렷한 배가 되고 말았네요.
그만큼 울산급과 포항급의 대체전력을 필요로 하는 해군의 사정을 모르는 바 아닙니다만, 그래도 하다못해 VLS달 공간은 좀 남겨두지 그랬어요.
사실 울산급을 보면 전형적인 2차대전 형의 군함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타임슬립 시켜서 2차대전 바다에 갖다놔도 꽤 잘 싸울 것 같네요. 인천급은 현대 해전의 추세를 잘 반영했기는 한데, 딱 거기까지. 울산급이 너무 비싸서 그 염가판으로 건조한 포항급처럼, 인천급도 그런 위치 같네요. 아무튼 림팩에 참가해야 성능을 검증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업그레이드의 여지가 없어보이는 배치도 그렇고, 연안함과 대양함의 중간에 끼인 이 어정쩡한 카탈로그 스펙은 대체 뭐란 말인가요;;
'$cont.escTitle > 대한민국nav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DDH-973 양만춘 (0) | 2014.04.04 |
---|---|
[스크랩] `09 중국국제관함식에 참가하는 독도함과 강감찬함 (0) | 2014.04.04 |
[스크랩] 해군 최초 여군 중사가 ‘군기반장’ (0) | 2014.01.20 |
[스크랩] 해군이 자랑하는 최신예 한국형 구축함 충무공 이순신함 (0) | 2014.01.20 |
[스크랩] 적 어뢰 무력화하는 자항식기만기 개발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