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인의 역사속의 일식




신화(神話)

고대 인도의 신화에 의하면, 일식과 월식은 행성의 하나이며 유성의 왕으로 여겨진 악마의 별 라후(Rhu)에 의해 발생된다고 한다. 이에 따르면, 태고적에 신들이 바닷물을 휘저어 애써서 만들어낸 불사(不死)의 음료 암리타를 악마들의 손에서 되찾아 그것을 마시려고 모였을 때 라후는 교묘하게 변장하여 신들의 일원인 것처럼 그 자리에 섞여 들어가 있었다.

그러나 눈치를 챈 태양과 달이 그의 정체를 간파하여 대신(大神) 비슈누에게 알렸다. 이 때문에 라후는 암리타를 막 한 모금 마시는 순간에 비슈누의 무기인 원반에 의해 목이 잘려져 머리는 신음소리를 내며 공중으로 날아 올랐고, 몸통은 지면에 쓰러져 대지를 진동시켰다. 그러나 이미 암리타를 마셨으므로 불사신이 된 라후의 머리는 그대로 별이 되어 태양과 달을 쫓아가서 삼켜버려 일식과 월식을 일으켜 옛날의 원한을 계속 풀게 되었다고 한다. 중국의 먀오족[苗族]의 신화에 의하면, 태양은 원래 10개가 있었고 순서에 따라 출현하게 되어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동시에 하늘에 나와 세계를 혹독한 열로 괴롭히고 가뭄을 가져왔다.

그래서 국왕이 활의 명수에게 명해 9개의 태양을 쏘아 떨어뜨리게 했더니 마지막 남은 태양이 이를 두려워하여 산 뒤로 숨어버려, 암흑이 오래 계속되었다. 국왕이 이번에는 목소리가 큰 동물에게 태양을 불러내도록 명했다. 사자와 소가 실패한 다음 수탉이 부르자 그 아름다운 목소리에 끌린 태양이 동쪽 산정에 얼굴을 보여 세계가 즉시 밝아졌다. 사람들이 갈채를 보내며 환영하자, 태양은 앞으로는 밤의 휴식 뒤에 수탉이 부르면 돌아오겠다고 약속하고 그 증거로 붉은 포(布)로 볏을 만들어 수탉에게 주었다.

북유럽의 신화에 의하면, 태양은 스콜이라는 이름의 늑대에 쫓기고 달은 하티라는 늑대에 쫓기고 있었는데, 이 늑대들이 가끔 태양과 달을 삼키면 일식이나 월식이 생긴다고 믿었다. 이때 사람들은 모든 물건 소리와 외침소리를 내어 늑대를 놀라게 하여 삼키고 있는 태양이나 달을 토해내도록 했다.

이와 같이 태양과 달이 괴물에 삼켜지면 일식이나 월식이 일어나기 때문에, 그때에는 지상에서 요란한 소리를 내어 괴물에게 태양이나 달을 토해내도록 해야 된다고 하는 신앙과 풍속이 전세계에 퍼져 있다. 남아메리카 투피족의 신앙에 의하면, 태양과 달을 위협하고 있는 괴물은 재규어(jagar)인데, 인도 아삼지방의 나가족 신앙에서는 그것을 호랑이라 믿었으며, 아삼의 쿠키족이나 아프리카 북서안 마데이라제도의 원주민은 그것을 개라 믿었고,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방에서는 뱀으로 여겼다.

괴물을 위협할 목적으로 에스키모 사람들은 개의 귀를 잡아당겨 짖게 했으며, 모리타니에서는 하늘을 향해 발포했고, 다른 많은 지역에서는 북이나 징을 크게 울렸다.


중국 고대의 일식 의례

중국에서 일식은 모든 생명력의 원천인 태양의 변이현상으로서 고대사람들이 가장 두려워했던 대상이었고, 이를 구하기 위한 갖가지 의례를 낳았다. 이미 은(殷)나라의 복사(卜辭)에 일식에 관한 기록이 많이 나타나 있고,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시월지교(十月之交)>에는 당시의 정치적 혼란에 대한 천견(天譴)으로서 읊어져 있다.

《좌씨전(左氏傳)》 소공(昭公) 16년에 구일(救日)의 의례로서 <고;악관)가 고(鼓)를 울리고, 색부(嗇夫:재물을 관장하는 사람)는 뛰며, 서인(庶人;색부의 부하)은 달린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것은 태양의 힘을 회복하기 위한 의례로 여겨진다.

한(漢)의 《백호통(白虎通)》에는 북을 치고 공물을 바치고 빨강실을 둘러치며 떠들었다고 하는데, 《구오대사(舊五代史)》에는 무장한 병마를 내보내 떠들썩하게 했다고 한다. 이와같은 주술적 의례의 방법은 세계적인 공통이지만 다만 중국에서 이것이 신화적 방법으로 전해지지 않은 것은 음양사상 등에 의한 자연해석이 일찍부터 행해졌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한국에서의 일식

전통적으로 재이(災異) 중 가장 의미있는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고대사회 이래로 관측·기록되었다. 한국에서 태양은 제왕을 상징한다고 믿었으므로 일식은 곧 제왕이 본래의 빛을 잃는 것으로 여겨져서 흉조라고 생각하였다. 기록상으로 보면, 일식은 《삼국사기》에 67건, 《고려사》에 132건이 기록되어 있다.

또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삼국시대에 66건(고구려 11회, 백제 26회, 신라 29회), 고려시대에 131건, 조선시대에 190건이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BC 54년(신라 박혁거세 4) 4월 1일 첫 일식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일식은 중요한 재이로 여겨져 재앙을 예방하기 위하여 고려·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구식의(救蝕儀)를 행하였다.

《고려사》 <예지(禮志)>에 따르면, 일식이 일어나는 동안에는 백관이 소복을 하고 북을 울렸다고 하는데, 이는 다른 여러 나라와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다. 또 신하들이 검은 관에 소복을 차려 입고 시립하면 왕이 소복하고 들어와 의식을 진행했다는 기록도 있다. 한편 일식을 일종의 정치적 사건으로 여기는 경향도 있었는데, 이는 유교적 재이사상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출처:네이버 질문

 

출처 : 미스테리 그날이 오면?
글쓴이 : 종이봉지공주 원글보기
메모 :

 

 







지구에서 약 2만5000광년 떨어진 우리 은하 한복판에서 140년밖에 안 된 최연소 초신성이 발견돼 별이 소멸하는 과정을 처음으로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됐다. 초신성은 수명이 다한 별이 폭발하면서 순간적으로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해 그 밝기가 평소의 수억 배에 이르렀다가 서서히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천체망원경으로 이를 확인한 과학자들은 초신성이 1985년 처음 발견된 이후 그동안 커진 비율을 토대로 1868년에 폭발한 것으로 추정했다. 1985년 전파망원경에 포착된 모습에 비해 지난해 챈드라 X선 망원경에 잡힌 초신성의 크기가 16%가량 커졌다. 위 사진 속에 G1.9로 표시된 점은 초신성의 잔해이며 주변 타원형 무늬는 엄청난 속도로 팽창하는 파편 잔해들이다. 동그라미 부분은 이 초신성이 속한 항성계의 다른 별들이며, SUN으로 표시된 이 항성계의 중심별 역시 초신성 단계를 거친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제공:미국항공우주국)

출처 : 미스테리 그날이 오면?
글쓴이 : 진리의 시인 원글보기
메모 :

 

 



25일 해외 언론들의 화제에 오른, NASA 스피처 망원경이 포착한 은하 NGC 1097의 모습이다.

지구로부터 5천만 광년 떨어진 이 나선형 은하의 중앙에는 우리 은하처럼 블랙홀이 존재한다. 그러나 NGC 1097의 블랙홀 크기는 거대해 태양 질량의 1억 배에 달한다.

당연히 사진에는 블랙홀이 나타나 있지 않다. 하지만 그 주위를 별들이 고리 모양으로 휘몰아치고 있으며 파란색을 띄고, 이로써 하나의 ‘눈’과 같은 형상이 만들어졌다. 적외선 이미지여서 별빛이 파랗게 나타났다.

김경훈 기자

출처 : 미스테리 그날이 오면?
글쓴이 : 진리의 시인 원글보기
메모 :

JOINS 정치   2009.07.10

 

“북한, 당과 인민의 후계자 추대 곧 있을 것”
박한식 조지아대 교수가 본 '북한은 지금'
미 여기자 실형 선고하고도 형 집행하지 않는 건 미국과의 대화 노린 것
최근 연달아 쏜 미사일 군함 격침 능력 과시 목적 … 후계자 문제와 상관 없어

북한이 심상치 않다. 핵실험과 잇따른 미사일 발사로 긴장을 고조시키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 문제도 주변국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김영희 중앙일보 국제문제 대기자가 지난 4일부터 4박5일 동안 평양을 방문한 박한식 조지아대 석좌교수를 9일 오후 만나 최근 북한의 분위기를 들어봤다.


-북한의 후계자 문제에 관심이 많습니다. 평양의 분위기는 어떻습니까.

“가까운 장래에 후계자 문제가 공식화할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전에 후계자 문제에 대한 언급조차 꺼리던 사람들이 ‘당과 인민이 추대하는 일이 가까운 장래에 있을 것’이라고 말하는 걸 들었습니다. 여러 사람이 유사한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보아 지도층 사이에선 공감대가 있는 듯했습니다.”

-현재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3남인 김정운이 유력하게 얘기되고 있지 않습니까.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러나 이번에 누가 후계자로 결정됐는지는 듣지 못했습니다. 현재 북한은 김일성 주석의 유훈 통치가 고착화돼 있습니다. 김일성 주석 없는 김정일 시대는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북한에는 이미 모든 분야에서 정책 노선이 정해져 있다고 봐야 합니다. 그래서 차기 계승자는 정책 결정에 큰 고심을 하지 않아도, 큰 지혜나 지식이 없어도 별 문제가 없으리라 봅니다.”

-최근 미사일 발사를 후계자 문제와 연관 짓는 견해들도 있습니다.

“북한이 미사일을 쏜 것은 대량살상무기확산방지구상(PSI)과 관계가 있다고 말하는 걸 들었습니다. 북한의 상선을 다른 나라의 해군 군함이 와서 조사를 하는 것은 해적 행위가 아니냐고 반발합니다. 군함을 미사일로 격침시킬 수 있다는 능력을 과시한 걸로 해석됩니다.”

-미국은 매우 강경합니다. 이번에는 손을 보겠다는 입장 아닌가요.

“냉정히 볼 필요가 있습니다. 미국의 정책 결정에 큰 영향을 주는 군수산업자들 입장에선 북한이 절대 필요한 존재입니다. 이들이 작성하는 보고서에 가장 첫 번째 위협국으로 북한을 꼽는 게 증거입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정치 신인이다 보니 군수산업의 이익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오바마 행정부는 개혁·개방, 민주주의, 인권을 강조합니다. 유연성을 가지고 다양성을 포용하자는 원칙도 있지요.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은 중간 수준의 입장입니다. 반면 네오콘들은 북한을 공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대화와 충돌을 놓고 혼돈스러운 것입니다.”

-미국 여기자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나요.

“여기자들은 초대소에서 잘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다만 북한을 흠집 내려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려 한 것에 대해 화가 많이 나 있었습니다. 미국의 입장 표명이 없다는 서운함도 묻어났습니다. 정치적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때 조문단을 보내지 않고 핵실험을 강행한 것을 두고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습니다.

“핵실험은 오래전부터 계획된 것 같아요. 실험 직전에 노 대통령이 돌아가셨으니 당황한 것 같아요. 조문단 파견에 대해선 고민이 있었던 것 같아요. 남북관계가 단절된 상황에서 한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일을 할 수 없었다고 하더군요. 정주영·정몽헌 회장 장례식 때는 관계가 좋아 말하기 쉬웠는데 현재는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지요.”

-남북관계 전망은 어떻게 하시나요.

“북한 입장에선 MB정부와는 아무것도 하지 않겠다는 극한적인 입장인 것 같아요. 차기 정권에 기대를 걸고 있는 듯합니다. 다음 선거에서도 현 정부와 대북정책 기조를 같이하는 정권이 들어선다면 남북관계 단절은 장기화할 것입니다.” 

정리=정용수 기자

◆박한식 교수는=2004년 11월 북한과 미국의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한 ‘트랙2 대화’를 개최하는 등 북·미 민간 교류의 전면에 섰던 대북 전문가. 그동안 북한을 40여 차례 다녀왔다. 2008년 미국 대선 당시 오바마 후보의 한반도 정책팀장 등과 친분이 두텁다.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故 박정희 대통령의 삶의 사진 공개 ** 

 




 




 




 




 




 




 




 




 




 




 




 




 




 




 




 




 




 




 




 


 

 

 

 

출처 : 행복 에너지
글쓴이 : null 원글보기
메모 :
잊지말자 625

 

6.25 전쟁은 400만 여명의 인명피해와 1.000만여명의 이산가족, 수많은 상이군인, 전쟁미망인 전쟁고아들이 

생겨나고 국토의 80%이상이 파괴되는등 우리 민족사에 가장 참혹했던 전쟁이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6.25전쟁 56주년을 맞이하여 북한 공산세력의 무력 적화통일 야욕을 저지하고 자유를 수호하기위해

헌신한 국내,외 참전용사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아울러 6.25전쟁의 역사적 의미와 값진교훈을

우리의 후세들에게 올바로 인식시켜 주어야 하겠읍니다. 

 



‘6.25 그 역사의 순간’ 미공개 사진 완전공개

▲ M-26 tank를 배경으로 자신의 남동생을 업고 사진을 찍은 소녀
 

 최근 한국전쟁 당시의 생생한 전쟁터 모습을 담은 사진과 동영상을 주한미군에서 공개해 화제가 되고있다.

 

 플리커 닷컴(http://www.flickr.com/photos/imcomkorea/sets/72157607808414225)과 유튜브(http://www.youtube.com)를 통해 일반에 공개한 이번 사진, 영상들은 6.25 전쟁 당시 미군 사진사들과 카메라맨들이 찍은 사진과 동영상으로 한국전쟁당시 참혹했던 모습을 그대로 볼 수 있다.

 

 사진에는 탱크를 배경으로 아이를 업고있는 소녀의 모습과 전쟁으로 가족을 잃은 슬퍼하는 사람들의 장면, 부상자를 헬기로 후송하는 장면, 북으로 진군하던 유엔군이 38선을 거쳐 퇴각하는 장면, 그리고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이 전선을 시찰하는 장면 등 전장에서 벌어지고 있는 생생한 모습이 담겨져있다.

 

 사진 중에는 특히 전장에서 동료를 잃은 슬픔에 다른 동료의 품에 안겨 위로를 받고 있는 한 미군병사의 모습 뒤로 다른 병사가 태연하게 사망자를 기록하는 모습과 한국전쟁 직후인 1954년 남한에 주둔 중이던 1만 3천여명의 미 해병 1사단 장병들을 앞에 두고 당대 최고의 인기를 끌었던 미국 여배우 마릴린 먼로가 위문공연 차원에서 노래하는 모습이 눈길을 끌었다.

 

 

 

 

 

 

 

 

▲ 죽은 아버지를 잡고 슬퍼하는 가족들

 

 

▲ 미해병이 잡은 북한군들

 

 

▲ 길에서 혼자 울고있는 아이

 

▲ 자는 아이 옆에서 걱정하는 부모

 

▲ 미군에 입양된 고아

 

 

 

 

 

 

 

 

 

 

 

 

 

 

 

 

 

 

 

 

 

 

 

▲ 야간 로켓발사

 

▲ UN 공수부대 강하

 

▲ 피난 행렬

 

▲ 전장에서 동료를 잃은 슬픔에 다른 동료의 품에 안겨 위로를 받고 있는 한 미군병사의 모습 뒤로 다른 병사가 '태연하게' 사망자를 기록하는 모습

 

▲ 31연대 예배모습

 

▲ 마를린 먼로 위문공연
 

 

 

 

▲ 유엔총사령관 맥아더 장군
 


▲ 아내와 8개월된 아들을 안아주는 군인

 

 자료를 공개한 시설관리사령부의 에드워드 존슨 대변인은 "이 자료들은 한국전쟁 당시와 그 이후의 한국 역사를 잘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라며 공개된 자료들의 중요성에 대해서 언급했다.

 


출처 : 산수원 대추마을
글쓴이 : 대추꼴 원글보기
메모 :




각 언어 번역기

 
 
한영한 번역
프로그램   
Toandto번역 
단문번역
 
문장번역
 
 
웹.문장번역
WorldLingo
 
 
영한 웹번역 1 
영한 웹번역 2 
영한 웹번역 3
영한 번역 4
i IMTranslator
한영일번역
ENK코리아
 
번역기 
 
번역사이트
(클릭큐)
 
Free-translator
영어프랑스어
프랑스어영어역
한중영일번역
 
번역사이트
Translation
영어.일어 번역
실시간웹번역
 
웹.문장번역
I can read
 
 
 
AltaVista
Babel Fish 번역
   
Babel Fish 번역   도움말

텍스트 블럭 번역 - 최고 150 단어까지 입력 

World Keyboard를 사용하여 강세 표시된 문자나 키릴 문자를 입력하십시오.
   
웹 페이지 번역           

   
SYSTRAN - 인터넷 번역 기술 Babel Fish 번역을 귀하의 사이트에 추가하십시오.
팁: 프레임 페이지를 번역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나무아미타불
글쓴이 : 인 화 원글보기
메모 :

인트라넷 |  | 만불회보 |

 

| 만 불 사 |  | 만불신문 |

방 송 사

신 문

시사잡지

불 교 방 송 사

불교신문

불교잡지

KBS

MBC

SBS

YTN

EBS 교육

iTV경인방송

TBC대구방송

PSB부산방송

TJB대전방송


라 디 오


KBS 라디오

MBC 라디오

SBS 라디오

Dream FM

KFM 라디오

연합뉴스

중앙일보

조선일보

동아일보

한겨레신문

경향 신문

한국 일보

대한매일

문화일보

국민일보

매일경제신문

한국경제신문

서울경제신문

전자 신문

영남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국제신문


인터넷 신문


국정신문

컴퓨터타임즈

정보통신신문

디지털타임스

에이블뉴스

일간건설신문

디지털국악신문

여성신문

한국에너지신문

etimesnet

주간조선

한겨레21

신동아

뉴스메이커

월간중앙WIN

이미지프레스

이코노미스트

한경비지니스

주간한국

뉴스타임즈

시사뉴스

월간조선

시사저널

뉴스위크

미디어오늘

BTN 불교TV

대구불교방송


라 디 오


BBS 불교방송

원음 방송


인터넷 방송


불교인터넷텔레비전

연합불교방송국

한마음불교방송국

해동인터넷방송국

대불련인터넷방송국

경남인터넷불교방송

한국불교TV

불교신문

현대불교

법보신문

주간불교

한국불교신문

불교일보

불교타임스

붓다뉴스

총지종보

화광신문

능인신문

밀교뉴스

서울불교일보

부산인터넷신문

원불교신문

월간 해인

불교 세계

주간 법보

불교 평론

월간 불광

불교이야기

좋은 인연

월간 정토

오대법보

월간붓다

불교사이트

포 탈

은 행

스 포 츠

사 전

인터넷카드

여 행

야후코리아

다음

파란

네이버

드림위즈

엠파스

네이트

알타포탈

심마니

네띠앙

코리아닷컴

국민 은행

외환 은행

하나 은행

조흥 은행

우리 은행

한국 은행

기업 은행

신한 은행

제일 은행

농협

씨티 은행

한미 은행

서울 은행

대구 은행

부산 은행

경남 은행

광주 은행

전북 은행

새마을 금고

금융결재원

금융결재원VAN

스포츠 서울

스포츠 조선

스포츠 투데이

스포츠 투아이

스포츠컴

야구 코리아

야후 스포츠

일간 스포츠

SBS 스포탈

FIFA KOREA

굿데이

불교 사전

전자 한자 사전

연세 한국어 사전

야후 사전

네이트 사전

블루딕 영한 사전

네이버 영어 사전

법률 용어사전

딕모아 컴퓨터용어

건설 용어 사전

과학기술 용어 사전

한경경제 용어 사전

포스트넛

카드카페

카드천사

그리팅스

디어유닷컴

MRK

꿈이카드

메일클릭

인터넷카드

엔엔터

닉스키스

 

아시아나 항공

대한 항공

한국 철도

한화리조트

바로타

여행통신

3w투어

넥스투어

웹투어

투어Express

투어가이드

 

정부

출처 : 나무아미타불
글쓴이 : 향욱 원글보기
메모 :




각 언어 번역기

 
 
한영한 번역
프로그램   
Toandto번역 
단문번역
 
문장번역
 
 
웹.문장번역
WorldLingo
 
 
영한 웹번역 1 
영한 웹번역 2 
영한 웹번역 3
영한 번역 4
i IMTranslator
한영일번역
ENK코리아
 
번역기 
 
번역사이트
(클릭큐)
 
Free-translator
영어프랑스어
프랑스어영어역
한중영일번역
 
번역사이트
Translation
영어.일어 번역
실시간웹번역
 
웹.문장번역
I can read
 
 
 
AltaVista
Babel Fish 번역
   
Babel Fish 번역   도움말

텍스트 블럭 번역 - 최고 150 단어까지 입력 

World Keyboard를 사용하여 강세 표시된 문자나 키릴 문자를 입력하십시오.
   
웹 페이지 번역           

   
SYSTRAN - 인터넷 번역 기술 Babel Fish 번역을 귀하의 사이트에 추가하십시오.
팁: 프레임 페이지를 번역할 수 있습니다.

  

출처 : 나무아미타불
글쓴이 : 인 화 원글보기
메모 :

Ctrl + a: 전체선택 (혹시라도 무슨 말인지 모르시다면 지금 시도해보세요)
Ctrl + b:
인터넷에서는 '자주가는 곳' 목록 편집이고,

            마이크로소프트 워드에서는 굵은 글씨를 나오게 합니다.
Ctrl + c: 복사입니다. 나중에 Ctrl + v로 쓰게 되죠.
Ctrl + d: 워드에서는 폰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쓰면 속도가 갑자기 빨라지더군요. 신기신기...
Ctrl + e: 인터넷에서는 '검색'기능을 보여주고,

            워드에서는 가운데 정렬을 해줍니다.
Ctrl + f: 찾기. (모두들 아실 듯...)
Ctrl + g: 워드에서는 찾아서 고치기가 나온답니다. (인터넷에서는 안되는군요)
Ctrl + h: 워드에서는 찾아고치기 또다른 버젼.

            인터넷에서는 '기록'기능인데... 직접 눌러보세요.
Ctrl + i: 인터넷에서는 '즐겨찾기'기능이고, 

          워드에서는 글씨를 이탈릭으로 쓰기입니다 (기울어진...)
Ctrl + j: 별 기능 없다네요. 후후... 일명 왕따라죠.
Ctrl + k: 워드에서는 하이퍼링크 삽입이랍니다.
Ctrl + l: 인터넷에서는 사이트 열기, 

           워드에서는 정렬없음 모드더군요.
Ctrl + m: 인터넷에서는 엔터처럼,

            워드에서는 한 문단에서 첫줄 제외하여 모두 조금씩 띄어써집니다.

            (설명이 부적절한듯 하네요; 편리한 기능이니 한번 해보세요)
Ctrl + n: 인터넷에서는 같은페이지 새창에서 열기,

            워드에서는 '새문서'입니다.

Ctrl + o: 인터넷에서는 사이트 열기 (=Ctrl + l),

            워드도 문서 열기입니다.
Ctrl + p: 말이 필요없는 프린트 기능.
Ctrl + q: 워드에서는 몰아쓰기라 불러야 할 것 같은 기능...

(제 설명능력이 부족한 것 같네요. 어쨌거나 많은 글 쓸때 종이절약을 해줄 수 있는 기능이랍니다)
Ctrl + r: 워드에서는 오른쪽 정렬,

           인터넷에서는 '새로고침'이랍니다.
Ctrl + s: 보통 워드뿐만 아니라 문서에서는 저장기능이죠.
Ctrl + t: 워드에서는 Ctrl + m과 같은 기능입니다.
Ctrl + u: 워드에서는 밑줄모드!
Ctrl + v: 누구나 아시겠지만 붙여넣기 기능이랍니다.
Ctrl + x: 역시 누구나 아시겠지만 '자르기' 기능이지요.
Ctrl + w: '현재 창 닫기'. 잘못해서 누르면 낭패지요.
Ctrl + y: 워드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저장'인듯...
Ctrl + z: '되돌리기'기능입니다. 굉장히 유용하죠.
            인터넷에서는 '뒤로'더군요.

출처 : 해군 병기사 모임
글쓴이 : 송상교(하128기) 원글보기
메모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