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777 155 mm 견인포 (Howitzer)

 

155밀리 견인곡사포의 전차 파괴 사격의 위력, 미군의 주력 견인포 M777의 직접 사격 영상

외부제공영상 작성자: 운영자

조회: 1213 추천: 0

작성일: 2021-02-14 08:40:00

동영상 링크 : https://tv.naver.com/v/18472224

 

지난 4일(현지시간) 독일 그리펜하우어 훈련장에서 진행된 미 육군 주력 견인곡사포 M777의 직접(영거리) 사격 훈련 영상입니다. 곡사포 직접사격은 포탄 종류와 상관없이 전차를 완파할 수 있는 위력을 발휘한다고 하는데요 M777 견인포는 경량화를 위해 티타늄과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되어 회전익기와 고정익 수송기를 통해 신속한 이동이 가능한 견인 곡사포입니다.

제원(M777A2 기준)
구분: 견인 곡사포
제작사: VSEL(현 BAE 시스템즈)
운용 인원: 5명(최소)
포: 155mm / 39 구경장(5.08m)
중량: 4,200kg
길이: (전투 시) 10.7m / (견인 시) 9.5m
폭: (전투 시) 3.72m / (견인 시) 2.77m
높이: (견인 시) 2.26m
고각: 0 ~ +71.7°
편각: 좌우 각 400 mil(23°)
방렬/철수 시간: 3분 이내 / 2~3분
사격통제장치: 셀렉스 갈릴레오 디지털 사격통제장치 DFCS
최대 발사 속도: 4발/분 (2분간)
평균 발사 속도: 2발/분
사거리: M107 24km / ERFB(Extended Range Full Bore) 30km / M795 28.7~37km / M982 엑스칼리버 40km

[네이버 지식백과] M777 155mm 경량 견인 곡사포 - 전 세계 신속 배치를 위해 개발된 경량 155mm 견인 곡사포 (무기백과사전,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유용원의 군사세계, 디지틀조선일보)

 

 

 

 

 

 

 

 

 

 

 

 

 

 

 

영화 ‘캡틴 아메리카’ 속 공중 항모

 

영화에서나 보던 공중항모가 2차대전에 등장했었다고?

무기탐구M 작성자: 운영자

조회: 7588 추천: 0

작성일: 2021-02-10 13:42:51

할리우드 영화 '어벤저스' 시리즈에

요원들과 함께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작전을 지휘하고 전투 자원을 투입하는

하늘을 떠다니는 항공모함이 등장한다.

 


헐리우드 영화 '캡틴 아메리카'에 나오는 공중 항공모함.<출처: 연합뉴스>

 

미래에나 가능한 일로 생각되지만

2차대전 시기 미국과 소련 등에서는

이미 공중항모를 만들어 운용했었다.

 

 

비행선을 항모로 채택한 미국

 

1차대전에 독일은 체펠린이라는

비행선을 만들어 역사상 초유의

영국 본토 폭탄 투하를 감행했다.

 

1차대전에서 독일 비행선 체펠린의 폭격<출처: 퍼블릭 도메인(저작권 만료)>

 

독일의 비행선에 영감을 받은 미국은

비행선에 비행기를 수납할 수 있는

Akron급 공중항모 2대를 개발한다.

 

USS Akron 설계도<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1931년 완성된 자매함 Akron과 Macon은

세계에서 가장 큰 비행 물체 중 하나로

길이가 239m, 동체 지름이 40m나 된다.

 

1933년 여름 뉴욕 항구 상공의 USS Macon(ZRS-5)<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폭발하기 쉬운 수소 대신 안정적인 헬륨을

채워 띄웠고 실제 비행기를 실어 운용했다.

 

USS Akron(ZRS-4) 격납고에 있는 커티스 F9C-2 스패로우호크<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아크론급 공중항모에 수납한 비행기는

F9C 스패로우호크 복엽식 전투기였다.

 

USS Macon의 후크에 매달려 있는 F9C 스패로우호크<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공중항모로써 아크론급은 비행 중 수납한

비행기를 후크에 걸어서 내려 이함시켰고

비행선에 복귀할 때는 비행기가 속도를 맞춰

날다가 후크를 걸어 올려 회수하는 방식이다.

 

1932년 5월 4일 뉴저지주 레이크 허스트 해군 비행장 부근 USS Akron(ZRS-4)에서 시험 비행 중인 N2Y-1 훈련기<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강도도 떨어지고 기술적인 한계로

운용 중 발생한 사고가 많았는데 결국

악천후에 기계적 결함과 통제력 상실로

Akron은 1933년에 대서양 바다에

Macon은 1935년에 태평양 바다에

추락하며 공중항모는 파국을 맞는다.

 

1932년 2월 22일 USS Akron(ZRS-4)의 하부가 손상된 사고<출처: 미 연방정부(퍼블릭 도메인)>

 

기동성도 좋지 않고 방호력도 없는

거대한 비행체는 공중에 떠있는

손쉬운 표적일 수 밖에 없는 한계로

미국은 공중항모 계획을 접고 만다.

 

 

 

 

곡예 비행단 같았던 소련의 공중항모

 

비슷한 시기 공중항모에 관심이 있었던

소련은 TB-1 폭격기에 I-4 전투기 2대를

업어 운용하는 Zveno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Zveno-1<출처: 러시아 정부(퍼블릭 도메인)>

 

크기가 작아 연료를 많이 실을 수 없어

항속 거리가 짧았던 소형 전투기를

작전 구역으로 운반해 운용함으로써

작전 범위를 늘리는 장점이 있었지만

난기류가 발생하는 모선에 착함하기

어려워서 기지로 귀환하는 방식으로

작전은 마무리 되어야 했다.

 

Zveno-2<출처: 러시아 정부(퍼블릭 도메인)>

 

공중항모의 가능성을 보았던 소련은

더 큰 TB-3 폭격기의 날개 위, 아래로

매다는 전투기 수를 늘려보기도 하고

동체 하단에 후크를 달아 전투기를

회수할 수도 있게 업그레이드 했다.

 

Zveno-5<출처: 러시아 정부(퍼블릭 도메인)>

 

1941년에 독일의 동맹 루마니아의

주요 목표물을 파괴하는 전과를

여러 차례 올리기도 한 Zveno는

실전 투입된 유일 공중항모였지만

신형 무기들에게 공중에서의 우위를

뺏기면서 1942년에 결국 퇴역한다.

 

 

 

공중항모는 과연 재등판할 것인가?

 

이후로도 공중항모 체계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있었으며

1970년대에 보잉 747을 이용해

10대의 소형 전투기를 공수하는

개념을 선보였고 기술적으로도

실현 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보잉 747 '공수 항공모함' 개념도<출처: 위키미디어>

 

다만 무기체계와 기술의 발전으로

항공기의 항속 거리가 증가하고

공중급유기를 활용할 수 있게 되고

미사일체계 기술도 크게 발전하면서

전투기의 임무를 많이 대신하게 된다.

 

F-35 라이트닝 II에 급유를 실시 중인 KC-46A 페가수스 공중급유기<출처: 무기백과@유용원의군사세계>

 

또한 공중항모를 구현할 기술은

충분히 가능한 수준이 되었지만

바다로 접근하는 항공모함이

전세계 어떤 내륙 지역까지도

전력을 도달시킬 수가 있으며

탑재 자원 규모도 항공모함이

월등한 탓에 효용성만으로는

실현할 요인이 별로 없었다.

 

미 해군의 니미츠급 항공모함<출처: 뉴스캐스트@유용원의군사세계>

 

하지만 최근 무인기를 활용한

무기체계가 활발히 연구되면서

무인기를 실어 전장에 투입하고

회수하는 무인기 모선 역할을 할

공중항모의 등장이 예고되고 있다.

 

 

호스트 항공기에서 다중무인항공시스템(UAS)을 발진하고 회수하는 DARPA 시험 비행 개념도<출처: DARPA(미 국방고등연구계획국)>

 

2차대전 독일의 비행항모,,,

Su-57 펠론

 

F-22 '랩터'를 꺾기 위해 탄생한 러시아 5세대 스텔스 전투기 Su-57 PAK FA! 측면 내부 무장창 공대공 미사일 발사 첫 공개 등 러 국방성 Su-57 영상

youtu.be/cUZQJ7Ww0HI

 

 

러시아 항공기술의 집약체 Su-57 '펠론' 스텔스 전투기 제작 과정 영상 공개

외부제공영상 작성자: 운영자

조회: 5223 추천: 0

작성일: 2021-02-12 13:27:31

동영상 링크 : https://tv.naver.com/v/18452076

 

 

 

 


나토가 펠론(Felon)으로 코드네임을 붙인 러시아 공군의 5세대 전투기 Su-57 PAK FA 제작 과정 영상입니다. Su-57은 러시아 항공기술의 집약체로 러시아 공군 최초의 스텔스 전투기이자 제공권 장악과 적지 종심 공중 지원이 가능한 전투기 인데요 러시아 스텔스 무인 전투기 헌터를 유무인 복합운영체계(MUM-T·Manned-Unmanned Teaming) 운영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제원]
- 종류: 다목적/제공권 장악용 전투기
- 승무원: 1명
- 전장: 22m
- 전폭: 14.2m
- 전고: 6.05m
- 날개면적: 78.8㎡
- 자체중량: 18,500kg
- 최대이륙중량: 37,000kg
- 추진체계: 2 x 새턴(Saturn) AL-41F1(시제기) / 이즈델리예 30 터보팬 엔진(양산기)
- 드라이 추력: 11,022kg
- 애프터 버너 추력: 18,150kg
- 정속 최고속도: 마하 2
- 초음속 순항 최고속도: 마하 1.6
- 항속거리: 5,000km
- 실용상승한도: 20,000m
- 상승률: 361m/분
- 최대중력한계: +9G
- 무장: 30mm 그리아체프-쉬푸노프(Gryazev-Shipunov) GSh-301 기관총(우측 설치) x 1
- 레이더반사면적(RCS): 약 1~0.1㎡
- 하드 포인트: 12개(내부 무장창 6개, 외부 파일런 6개)
- 장착 가능 무장: RVV-MD, R-73(이상 공대공), Kh-38ME (공대지),
Kh-356E(공대함), Kh-58UShKE(대방사능유도탄)
- 항전체계: Sh121 다목적 통합 무선 전자 체계(MIRES) / 능동형 무선광 위상 레이더(2020년 목표)
- 대당 가격: 약 5,000만 달러 이상(추산)

[네이버 지식백과] Su-57 PAK FA 전투기 - ‘랩터’를 꺾기 위한 러시아 항공기술의 집약체 (무기백과사전,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유용원의 군사세계, 디지틀조선일보)

영국 퀸엘리자베스

 

 

중국, 랴오닝 항모전단 실전 훈련

 

중국과 영국의 현 해군 규모

작성자: 아름포

조회: 3313 추천: 1

작성일: 2021-02-12 17:28:15

 

 

 

수상함대만이지만 중국이 무서운 속도로 찍었네요

 

 

 

 

 

 

 

 

 

 

 

 

 

 

1시간당 운영비가 2억?

 

대당 가격 2조에 육박하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군용기 B-2 폭격기를 운영하는 화이트맨 공군기지

외부제공영상 작성자: 운영자

조회: 3096 추천: 0

작성일: 2021-02-09 08:02:44

 

  대당 가격이 2조에 육박하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군용기를 운영하는 화이트맨 공군기지의 제 505 폭격비행단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

youtu.be/tebESZT3-Hk

 

미 화이트맨 공군기지에 주둔하는 제 505 폭격비행단의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 영상입니다. B-2 폭격기는 재래식과 핵 공격 능력을 가지고 있는 멀티롤폭격기인데요 작은 유리 구슬 크기의 레이더 반사면적의 스텔스 성능을 가진 폭격기로 최대 23톤의 무장 능력과 전술핵, 2011년부터는 14톤짜리 슈퍼벙커버스터인 GBU-57 MOP를 운용하고 있습니다.

 

 

 

 

 

 




[제원]

- 기종: B-2A 블록(Block) 30
- 형식: 스텔스 전략폭격기
- 전폭: 52.12m
- 전장: 20.9m
- 전고: 5.18m
- 주익면적: 460㎡
- 자체중량: 71,000kg
- 최대이륙중량: 171,000kg
- 엔진: GE F118-GE-100 터보팬(17,300파운드)×4
- 최고속도: 764km/h
- 실용상승한도: 50,000피트
- 최대항속거리: 10,400km
- 무장: 18,144kg 탑재 가능
AGM-154 JSOW 16발
250파운드급 GBU-39 SDB 216발
500파운드급 GBU-30 JDAM 80발
750파운드급 CBU-87 36발
2,000파운드급 GBU-32 JDAM 16발
AGM-158 JASSM 16발
B61/B83 핵폭탄 16발
- 항전장비: APQ-181 레이더, DSM-M 장비
- 승무원: 2명
- 초도비행: 1989년 7월 17일
- 가격: 순수 기체 가격 7억 3,700만 달러(1997년 산정가)

[네이버 지식백과] B-2 스피릿 스텔스 폭격기 - 김정은을 공포에 떨게 하는 미 폭격기 전력의 에이스 (무기백과사전,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유용원의 군사세계, 디지틀조선일보)

 

 

 

남자의 로망 전세계 가장비싼 공군기

한국형 조인트스타즈 아이스타(ISTAR)-K

 

 

최종수정 2021.01.06 10:13 기사입력 2020.12.22 15:28

 

레이시온의 멀티 인텔리전스 합동이동표적감시통제기

youtu.be/BXTDvgN6_gk

 

 

[아시아경제 양낙규 군사전문기자]미국 방산기업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가 일명 '조인트 스타즈'로 알려진 합동이동표적감시통제기 사업에 참여한다는 계획이다.

22일 군이 발표한 국방중기계획 2021 -2025에 따르면 합동이동표적감시통제기는 지상 감시와 지휘 통제 항공기다. 1 ~2조 원 사이의 예산으로 4대를 확보할 계획이며 1호기는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시기인 2023년에 들여올 예정이다.

 

레이시온 테크놀로지가 제시한 기체는 미국이 지난 2018년 수출승인한 '아이스타-케이(ISTAR-K)'다. 아이스타 케이는 캐나다 봄바디어사의 글로벌 6500 비즈니스 제트기를 플랫폼으로 제작된다. 여기에 능동형 전자주사식(AESA) 레이더와 다중 스펙트럼 장거리 광학 장비 등이 장착되는 형태다. 단순히 정찰기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휘통제의 중추로도 활용될 수 있다. 아이스타-케이는 고해상도 SAR(합성개구레이더) 영상을 지상군과 대지공격 임무를 맡은 공군 항공기들에 제공할 수도 있다.

 

레이시온 테크놀로지 딕 샌디퍼(Dick Sandifer)총괄은 "각국이 보유한 지상감시 정찰시스템보다 많은 센서를 탑재해 전례없는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다"며 "특히 한국 방산기업인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부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항공기와 장비를 국내에 들여와 개조하는 팀을 구성해 가장 빠른 대응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그는 "다중분광 표적 획득 시스템 (MTS)은 보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게 해준다"며 "한국 공군이 장거리 정보감시정찰, 탄도미사일 대응 등 국가를 수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레이시온 테크놀로지는 지난해 6월 항공기 부품ㆍ자재 생산기업인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스(UTC) 그룹과 대형 방산업체인 레이시온이 합병한 법인이다. UTC는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엔진 등을 납품했고 레이시온은 토마호크 순항미사일 등을 생산해왔다. 두 기업의 시가총액은 합쳐서 약 1660억 달러(약 197조원)규모이며 연간 매출액만 약 740억 달러(88조 원)에 달한다. 글로벌 '항공ㆍ방산 공룡' 기업으로 손꼽힌다.

 

레이시온 테크놀로지는 산하에 항공전자 장비 등을 생산하는 콜린스 에어로스페이스, 각종 엔진을 생산하는 프랫 앤드 휘트니, 첨단 센서 등을 생산하는 레이시온 인텔리전스 앤드 스페이스(Intelligence & Space), 레이더와 요격 미사일 등을 생산하는 레이시언 미사일 앤드 디펜스(Missile & Defense) 등 4개 대기업을 거느리고 있다.



#아이스타-케이(ISTAR-K) #조인트스타즈 #레이시온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

 

 

 

 

 

작성자: 김종열 외 2명

조회: 1186 추천: 0

작성일: 2021-02-09 10:32:41

최신의 국산 훈련기(TA-50 Block 2) 개발 효과와 국내 항공산업 발전방향

‘TA-50 Block2’ 스토리_전술입문용훈련기로 더 높이 날아오르다!

youtu.be/EBQLiGR5wPk

youtu.be/KToIiGx7QXI

 

 

김종열 방위사업청 공중기동기사업팀 공군 중령

강중희 방위사업청 공중기동기사업팀장 공군 대령

박준규 방위사업청 공중기동기사업팀 공군 중령

 

 

 


 

공군의 전투기입문용훈련기(TA-50 Block 1)는 전투조종사가 전투비행대대에 배치되기 전 무장 및 레이다 운용 등 전술임무를 숙달하는 항공기로 고등훈련기인 T-50과 동시에 개발되어 2013년에 1차 전력화가 완료되었다.

TA-50 Block 2 사업은 약 1조 원을 투자하여 공군 전투조종사 양성을 위해 부족한 전투기입문용훈련기를 추가로 확보하는 사업으로서, 2020년 6월에 ㈜한국항공우주산업과 계약체결을 하였다. 따라서 공군 조종사 양성에 필요한 입문, 기본, 고등, 전술입문 등 모든 비행훈련에 필요한 항공기를 국내 개발함으로써 항공기 개발 국가로서의 위상을 재확인하였다.

 

 

 

• 국산 항공기로 운영되는 공군 조종사 훈련체계

 

우리나라 공군의 전투조종사 훈련체계는 [그림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입문-기본-고등-전술입문 과정의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 1] 공군 조종사 훈련체계

 

 

1단계인 입문과정은 조종사 기본자질 및 비행적성 파악을 통해 공군 조종사 인원을 선별하는 단계이다. 입문과정에는 기존 러시아산 T-103 훈련기를 대체하여 2016년에 국산훈련기인 KT-100이 도입되어 운영중이다.

2단계인 기본과정은 주간 시계비행상황 시 공중임무 수행능력 구비, 야간비행환경 경험 습득 및 숙달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과정을 통해 훈련조종사들은 비행기량 숙달, 기본지식 습득, 올바른 비행습관 관숙 등 전투기 조종사의 기초를 완성하게 된다. 기본과정에는 기존 미국산 T-37 훈련기를 대체하여 국산 훈련기인 KT-1이 2000년 도입되어 운영중이다.

3단계인 고등과정은 훈련조종사들에게 비행관리 능력을 부여하고, 일반 비행임무수행 능력을 구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고등과정에서부터는 본격적으로 프로펠러 항공기가 아닌 제트항공기를 통한 훈련을 하게 된다. 고등과정에는 기존 영국산 T-59 훈련기를 대체하여 2013년에 국산훈련기인 T-50이 도입 되어 운영중이다.

마지막 단계인 전투기임무전환과정은 고등과정을 수료한 조종사에게 안전하고 통제된 상황에서 실전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과정이 도입되었다. 한국 공군에서는 전술입문과정 또는 전투기입문과정이라고도 부르는 이 과정에는 국산훈련기인 TA-50이 2013년에 처음 도입되어 운영중이다.

조종사 양성 전 과정에서 자국산 항공기를 투입하는 나라는 미국과 러시아, 중국, 이탈리아에 이어 우리나라가 5번째다. 특히, 최종 단계에서 초음속 제트기를 운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미국, 러시아, 중국 등 4개국 뿐이다. 조종사 훈련체계가 국산 항공기로 일원화됨에 따라 학생 조종사들은 국내 제작업체에서 생산한 국산항공기로 훈련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훈련 기간 단축 등 훈련 효율이 증대되었다.

또한 국내 제작업체의 신속한 후속 군수지원이 가능해져 이전 외국산훈련기를 운용할 때 대비 항공기 가동률 향상 및 운용유지 비용이 절감되었다.

 

 

• 전투기 임무전환과정 발전 추세

 

전투기 조종사 훈련과정은 국가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표 1]과 같이 4단계로 구성되며, 다양한 항공기가 각 과정별로 운영되고 있다. 최근에는 조종사 훈련체계에 비용절감 노력과 5세대 전투기의 출현으로 각국이 유사하게 운영하고 있던 훈련과정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4단계인 전투기임무전환과정에서 일어나고 있다. 고등과정을 수료한 조종사에게 무장운용능력 등 전술임무에 대한 실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입문과정이 도입되고 있는 추세이다. 전술입문과정의 특징은 기존에 전투기로 실시하던 공대공 및 공대지 무장운영 등의 전술임무 훈련을 고등훈련기로 실시하기 위해 항공기를 개조하였다는 점이다.

 

 

 

[표 1] 각 국가별 조종사 훈련체계

 

 

이러한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비용 대 효과 측면 때문이다. 전투기는 훈련기에 비해 운용유지비용이 높아 가성비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실례로 이탈리아 공군은 자국산 항공기인 M345 고등훈련기를 전술 입문용 항공기로 개조하여 기존 전투기 대비 20∼30% 수준으로 운영유지비를 절감하였고, 미 공군 역시 전술 입문과정에서 고등훈련기인 T-38을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T-50 고등훈련기 개발 시 무장능력 등을 추가한 TA-50 Block 1 항공기를 동시에 개발하여 전투기입문용 훈련기로 운용하고 있다.

 

 

 

• 국산 TA-50 Block 2 개발현황 및 파급효과

 

’20년 6월에 계약이 체결된 ㈜한국항공우주산업의 TA-50 Block 2 항공기는 경공격기인 FA-50 항공기 형상을 기반으로 한 최신의 항공기로 기존 TA-50 Block 1 항공기에 비해 정밀유도폭탄 운용능력 및 야간비행능력 등이 개선되었다.

특히, TA-50 Block 2 항공기 형상은 [표 2]와 같이 이미 개발된 T-50계열 최신 항공기인 FA-50(전력화된 최종호기) 형상을 기반으로 최근 전장 환경을 반영 하여 최신의 임무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피아식별장비(Mode-5) 적용, 항재밍 GPS체계 장착, 이중모드 전륜 조향장치NWSNose Wheel Steering 기능개선 등 최신의 형상을 적용하여 개발 착수 진행중에 있다.

 

 

 

[그림 2] TA-50 Block 2 사업일정

 

 

[그림 2]와 같이 2020년 6월 계약 이후 항공기 설계 및 제작 착수중에 있으며, 2022년 2분기에 #1호기가 출고될 계획이다. #1호기는 2023년 2분기까지 엔진장착 시험, 비행안전성 검증 등에 대한 지상 및 비행시험 과정(감항인증 포함)을 거쳐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향후 우리나라 공군은 TA-50 Block 2 개발 및 전력화를 통해 이러한 전술입문과정을 확대하여 추진할 계획이다. 공군은 고등과정 수료 후 해당 전투기(F-5, KF-16 등)로 전술임무를 숙달하는 훈련을 거쳐 전투 비행대대에 배치하는 작전가능과정Combat Readiness Training을 현재까지 일부 운영중에 있다.

하지만, 공군은 2024년까지 TA-50 Block 2 항공기를 추가로 도입하여 작전가능과정을 전술입문과정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계획이다. 공군에 따르면 KF-16으로 운용하던 작전운용과정을 TA-50 Block 2로 변경 시 연간 90억 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국산 훈련기-전투기 개발 변천사

 

우리나라가 처음부터 국산훈련기로 조종사 훈련체계를 운영한 것은 아니다. 사실 우리나라는 세계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항공기 개발의 출발은 늦은 편이다. 비록 출발은 늦었지만 최근 스텔스 기능을 보유한 차세대 전투기인 KF-X를 개발중이며, FA-50 항공기 등을 세계에 수출하는 등 항공산업 선진국 반열에 들어서게 되었다.

우리나라 훈련기 개발의 태동은 1980년대 후반에 공군의 노후화된 고등훈련기를 대체하고 경공격용 전투기를 확보하기 위해 국방과학연구소가 국방부에 개발을 건의하면서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훈련기인 KT-1 기본훈련기는 국방과학연구소(ADD)와 ㈜한국항공우주산업이 함께 개발하였다. 1991년 최초 시험비행을 성공한 이후 1995년에 시제기를 생산하여 2000년에 공군에 인도하였다.

세계 12번째 초음속기인 T-50 고등훈련기는 1997년부터 2006년까지 약 10년간의 체계개발 과정을 거쳐 2008년까지 초도 물량을, 2012년까지 후속 물량을 전력화하였다. TA-50 전투기입문용훈련기 역시 T-50 고등훈련기와 동시에 개발되어 2012년까지 전력화되었다. 경공격기인 FA-50 항공기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개발하여 2011년 1호기 납품을 시작으로 2017년까지 최종 전력화를 완료하였다. 입문과정 훈련기인 KT-100은 국토교통부 연구개발 과제로 개발된 소형 항공기인 KC-100을 비행 실습용으로 개량한 것으로 2016년에 전력화되었다. 입문과정의 KT-100 항공기가 마지막으로 국산화됨에 따라 공군은 ‘입문-기본-고등-전투기입문과정’으로 이루어진 4단계 조종사 양성 전 과정을 국산 훈련기로 대체하게 되었다.

 

 

• 국산 항공기 해외수출 현황

 

그 동안 수입에 의존하던 훈련기를 국내에서 개발함에 따라 일자리 창출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뿐만 아니라 해외수출의 길까지 개척하는 성과를 달성하였다. 국방기술품질원 연구결과에 따르면 T-50항공기 개발을 통한 국내 생산유발 효과는 총 9조 3,592억 원에 이르며, 고용창출 효과는 총 6만 2,428명으로 추산될 정도로 국가경제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제 활성화뿐만 아니라 우리 국산 훈련기는 세계에서도 성능을 인정받아 여러 국가의 러브콜을 받고 있다.

 

 

[표 3] 국산항공기 수출현황(방사청 제공)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1년에 최초로 인도네시아에 KT-1훈련기를 수출한 이후 2007년에는 터키에, 2012년에는 페루에 KT-1을 수출하였다. T-50계열 항공기는 2011년 인도네시아에 T-50I 16대 4억 달러 수출 계약을 시작으로 2013년 이라크에 T-50IQ 24대 10억 달러 수출, 2014년 필리핀 FA-50 13대 4억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세계에서도 인정받는 항공기 생산국이 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미 공군이 ㈜한국항공우주산업의 T-50A 훈련기 8대를 임차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향후 미국 차기 고등훈련기(APT) 사업에서 재기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게 되었다. 방위사업청은 국내 방산업체의 해외 수출 확대를 위해 다양한 방위산업육성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방위사업청장이 매주 기업을 직접 찾아가서 상담하는 ‘다파고’ 제도를 통해 기업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여 제품 개발에서 해외 판로개척까지 정책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 국내 항공산업의 발전방향

 

우리나라 항공산업의 발전과 항공전력 발전을 위해서는 현 국내 항공산업 기반을 유지하고, 나아가 국산 항공기를 지속 발전시켜야 한다. 국내 항공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국외에서 도입하는 부품 중 단종이 예상 되는 품목은 지속적인 국산화를 추진하여 운영 유지 비를 절감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국내 중소기업을 방산협력업체로 육성하여 내수시장의 기틀을 견고히 하여야 한다. 방위사업청은 부품 국산화를 위해 무기체계 핵심 부품 중 국외에서 수입하는 부품을 국내 제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핵심부품 국산화 개발지원 사업’을 매년 추진하고 있다.

또한 내수만으로는 국내 항공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은 어려우므로 수출 확대를 통해 생산단가를 절감 하고 항공기 품질 및 성능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현재 운용중인 항공기에 대한 지속적인 성능개량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지속적인 가격 절감 노력을 통해 수출경쟁력을 키워 나가는 동시에 해외시장 개척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야 한다.

해외 시장에서는 훈련기 형상보다는 경공격기 형상을 요구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에 따르면 FA-50 항공기 성능개량을 통해 시장 진입이 가능한 국가는 보츠와나, 스페인, 필리핀, 인니, 칠레 등이 있다. 신규 해외 시장 개척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에서 요구하는 공대지·공대공 무장능력 확장, 공중급유 확보 및 연료탱크 용량 증대 등 지속적인 성능개량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서는 방산업체와 정부기관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며, 항공기 소요제기 단계에서부터 무기체계 전력화까지 전 획득 과정에서 수출을 고려한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 해외 국가에서 요구하는 공중급유능력, 무장능력 추가 등의 성능을 국내 항공기에 먼저 개발하여 공군에서 실제 운용한다면, 국산 항공기에 대한 신뢰성 상승에 따른 해외 수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중국의 미래 방산장비 수출

 

다물어의_밀리터리_뉴스

중국 훈련기 이야기

다물어의_밀리터리_뉴스 작성자: 다물어

조회: 7821 추천: 1

 

 

 

수출에 성공한 중국산 고등훈련기

 

 

 

 

미드웨이 해전 태평양전쟁의 전환점(1,2부 합본)

youtu.be/V_wkqMdh_z8

 

입력 : 2021.02.08 08:52

[무기백과] TBD 뇌격기

대승의 발판을 놓고 사라져간 숨은 주인공

 

TBD 뇌격기는 좋지 않은 성능으로 말미암아 중요했던 해전에서 엄청난 희생을 당했지만 승리를 이끄는 결정적인 기회를 만들어 낸 숨은 주인공이었다. < 출처 : Public Domain >


개발의 역사

TBD 데버스테이터(Torpedo Bomber Douglas Devastator, 이하 TBD)는 태평양전쟁 초기에 활약한 미 해군의 뇌격기다. 생존성에 의문이 들면서 배치된 지 3년 만에 퇴출이 고려되었고 실제로 전쟁 중에는 피격당한 전과밖에 없을 정도로 미흡한 점이 많았다. 하지만 그 어떤 작전기보다 역사에 너무나 강렬한 흔적을 남겼다. 전쟁의 균형추를 바꾼 미드웨이 해전에서 그들의 희생이 대승의 기회를 만드는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기 때문이었다.

제1차 대전 당시에 탄생한 최초의 항공모함 탑재용 뇌격기인 솝위드 쿠쿠(Sopwith Cuckoo) < 출처 : Public Domain >

작은 전투함이 교전을 포기하고 도주해도 크게 흠을 잡지 않았을 만큼 전통적으로 해전은 함정의 체급 차이가 크면 싸움 자체가 성립되지 않았다. 19세기 말에 등장한 어뢰는 그러한 오래된 패러다임을 깨뜨린 해군의 대표적인 비대칭무기다. 싸워보지도 못하고 도망가야만 했던 이전과 달리 체급이 다르더라도 일단 사용해 볼 수 있는 무기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해군 시대가 열린 것이었다.

당연히 보다 멀리 그리고 빠르게 목표까지 다가갈 수 있는 항공기에서도 이런 필살기를 운용하고자 했다. 이에 따라 제1차 대전 직전에 탄생한 작전기가 바로 뇌격기다. 처음에는 기존 기체를 개량해서 사용했으나 종전 무렵에는 항공모함에 탑재할 수 있는 함상용 뇌격기가 등장했다. 그리고 제2차 대전 당시에는 전투기, 폭격기와 더불어 항공모함이 필수적으로 갖춰야 하는 3대 작전기가 되었다.

미 해군의 뇌격기 사업에 참여했던 보우트의 XSB3U-1. 구시대 스타일의 복엽기여서 서류 검토 단계에서 탈락했다. < 출처 : Public Domain >

순양전함을 개조한 2척의 렉싱턴급을 운용해 본 미 해군은 생각보다 항공모함의 가치가 높다고 평가하고 1930년대 중반까지 3척의 신예 항공모함(요크타운급)을 추가로 획득할 계획을 수립했다. 이에 따라 기존 구닥다리 복엽기를 대체하고 새로 도입되는 항공모함에도 탑재할 신예 함재기들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한 일환으로 실시된 뇌격기 도입 사업에 총 8개 업체가 9개 모델을 제시하며 참여했다.

치열한 경쟁 끝에 1934년 6월 30일, 더글라스(Douglas)가 제출한 XTBD-1가 선택되었다. 단순히 기존 복엽기를 개량한 방식이 아니라 미국 최초로 전금속제 단엽기로 설계되었을 만큼 기술적으로 앞선 데다 완전 밀폐 조종석과 유압식으로 작동되는 접이식 날개를 채택한 점도 높게 평가되었다. 이듬해 4월 15일에 초도 비행에 성공했을 만큼 개발은 일사천리로 이루어졌고 TBD라는 이름으로 1937년부터 배치가 시작되었다.

1938년 TBD로 편성된 제6뇌격기비행대의 비행 모습. 운용하면서 생존성에 의문이 들자 배치된 지 3년 만에 후속기 사업이 시작되었다. < 출처 : Public Domain >

적어도 이때만 해도 미 해군은 TBD를 당대 최고의 뇌격기라고 자부했다.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생존성에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어뢰를 투사하려면 해발 고도 15m까지 내려와 속도를 시속 200km 이하로 줄인 상태로 목표를 향해 직선으로 날아가야 했다. 아무리 유도 무기 등장 전이라도 이는 적기나 대공포에 요격 당하기 쉬운 상황이었다. 고고도로 비행해도 최고 속도가 시속 332km에 불과해서 위험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더불어 가상 적국인 일본이 같은 시기에 배치를 시작한 B5N2 뇌격기보다 비행 성능, 폭장량 등에서 전부 열세라는 사실이 드러났다. 뇌격기로 뇌격기를 상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런 현실은 미 해군의 자존심을 건드렸다. 결국 1940년 4월부터 이를 후속할 TBF 어벤저의 개발이 시작되면서 TBD는 프로토타입 1기를 포함해 총 130기로 생산을 종료하고 대략 1945년까지 순차적으로 교체될 예정이었다.

TBD가 일본에 뒤지자 미국은 TBF 어벤저(사진)를 개발했으나, 갑작스러운 태평양전쟁의 발발로 TBD가 전면에 나섰다. < 출처 : Public Domain >

그러나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급습으로 태평양전쟁이 발발하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TBF의 개발 및 양산을 서둘렀지만 일단 TBD가 전면에 나설 수밖에 없게 된 것이었다. 더구나 미국은 초전에 주력 전함들이 궤멸되다시피 해서 항공모함의 역할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기에 TBD는 최선을 다해야 했다. 그런 우려대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그들은 역사의 한 장을 크게 장식했다.


특징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설계 당시만 해도 TBD는 상당히 앞서 많은 기술을 적용했다. 그럼에도 곧바로 물러날 대상으로 결정된 이유는 속도가 느렸기 때문이었다. 거기에다 TBD가 존재해야 할 가장 중요한 존재 이유인 Mk.13 공중투하어뢰 초기형의 신뢰성에 문제가 많았다. 예상대로 적에게 요격을 쉽게 당해 생존성이 떨어졌고 설령 어뢰를 성공적으로 발사했어도 불발되면서 적에게 타격을 입히지 못했다.

문제가 많았던 Mk.13 공중투하어뢰 발사 훈련 중인 제6뇌격기비행대 소속 TBD. < 출처 : Public Domain >

사실 제한된 조건에서 어뢰를 투하하는 뇌격기가 여타 작전기에 비해 비행 성능이 떨어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이후 보다 높은 고도에서 빠른 속도로 비행하며 어뢰를 투사할 수 있게 되지만 제공권이 장악되지 않은 곳에서의 작전은 위험하다. 다시 말해 뇌격기가 작전을 펼칠 때는 전투기가 엄호를 해주는 것이 원칙이다. 다만 전쟁 초기 미국의 함상 전투기인 F4F도 성능이 일본의 A6M에 뒤졌기에 TBD가 그다지 도움을 받을 수 없었다.

전후방에 기관총을 1정씩 장착했으나 방어용으로는 터무니없이 부족했다. < 출처 : Public Domain >

Mk.13 공중투하어뢰의 신뢰성 문제는 상당히 심각한 수준이었다. 1942년에 연이어 벌어진 산호해 해전과 미드웨이 해전에서 구사일생으로 적의 방공망을 돌파해 어뢰를 투하했어도 대부분 작동되지 않았다. 이런 결과에 분노한 뇌격기 조종사들이 어뢰 대신 폭탄을 달고 출격했을 정도였다. 방어를 위해 전방과 후방에 기관총 1정씩을 장착했으나 그다지 효과적이지는 못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운용 현황

TBD는 1939년까지 총 130기가 제작되어 태평양전쟁 발발 직전에 훈련함인 CV-1 랭글리를 제외한 7척의 항공모함에 각 1개 비행대씩 배치되었다. 최초 실전은 1942년 2월 1일에 당시 일본의 통치 지역인 마셜과 길버트 제도에 설치된 군 시설 폭격이었다. 지상 목표여서 이때 CV-5 요크타운에서 출격한 TBD들은 폭탄을 장착하고 임무를 수행했다. 하지만 4기를 상실하고 일본도 피해를 심각하게 여길 정도가 아니어서 크게 의미를 둘 만한 작전은 아니었다.

양산 1호기의 비행 모습. 시제기 포함 2년 동안 130기만 제작되고 생산이 종료되었다. < 출처 : Public Domain >

그해 5월 6일부터 산호해 일대에서 벌어진 사상 최초의 항공모함 함대 간 대결에서 급강하폭격기인 SBD와 함께 일본의 경항모 쇼호를 잡기도 했으나 앞서 언급한 어뢰 문제가 부각되었다. 조종사들은 상당히 심각하다며 이의를 제기했으나 원인 규명이 이루어지기 전인 6월 4일부터 미드웨이 해전이 벌어졌다. 이때 출동한 3척의 항공모함에 탑재한 총 41기의 TBD가 전투에 동원되었다.

 

https://youtu.be/NtxxYpizv84

 

이들은 전투기의 호위도 받지 못한 상태로 차례차례 일본 함대를 향해 돌진했다. 그 결과 무려 37기를 상실하고 대다수의 승무원이 전사했다. 그 와중에 어뢰 투하에 성공한 기체도 있었으나 불량으로 작동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들을 잡기 위해 일본 전투기들이 수면 가까이 내려와 있고 대공포들도 조준을 아래를 향하고 있던 바로 그 순간 고공에서 전투 공역으로 진입한 SBD들이 일본 함대를 향해 급강하 폭격을 시도했다.

미드웨이 해전 당시 CV-6 엔터프라이즈에서 출격 준비 중인 VT-6 소속 TBD. 대부분이 격파 당하고 승조원들이 전사했으나 결정적인 승리의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 출처 : Public Domain >

TBD의 희생으로 얻은 기회를 이용해 3척의 일본 항공모함들을 순식간 잡아버린 엄청난 반전이 벌어졌다. 그리고 반나절 후에 남은 1척마저 잡아내면서 태평양전쟁의 균형추가 미국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 이처럼 TBD는 역사적인 대승의 발판을 놓고 사라져간 숨은 주인공들이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엄청난 희생에 놀라 미드웨이 해전 후 곧바로 잔여 물량의 조기 퇴역이 진행되었고 그 자리를 막 양산에 들어간 TBF들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변형 및 파생형

XTBD-1: 프로토타입. 1기.

XTBD-1 시제기 < 출처 : Public Domain >

TBD-1: 양산형. 129기.

TBD-1 양산기 < 출처 : Public Domain >

TBD-1A: 수상기 개조형. 1기 개조.

TBD-1A 수상기 < 출처 : Public Domain >

 


제원

전폭: 15.24m
전장: 10.67m
전고: 4.60m
주익 면적: 39.2㎡
최대 이륙 중량: 4,213kg
엔진: 플랫 휘트니 R-1830-64 트윈 와스프 14기통 공랭식, 900마력(670kW)
최고 속도: 332km/h
실용 상승 한도: 5,900m
최대 항속 거리: 700km
무장: 1× 12.7mm MG2 기관총
1 × 7.62mm 기관총
1 × Mk. 13 공중 투하 어뢰 또는 450kg 폭장


저자 소개

남도현 | 군사저술가

『히틀러의 장군들』, 『전쟁, 그리고』, 『2차대전의 흐름을 바꾼 결정적 순간들』, 『끝나지 않은 전쟁 6·25』 등의 군사 관련 서적을 저술한 군사 저술가. 국방부 정책 블로그, 군사월간지 《국방과 기술》 등에 칼럼을 연재하고 있다. 현재 무역대행 회사인 DHT AGENCY를 경영하고 있다.

 

뇌격기

youtu.be/6k7npMJTBRM

 

 

붉은 10월 도입부 '붉은10월예찬가' [The Hunt For Red October (1990) intro 'Hymn to Red October']

youtu.be/Ac2L6-RpN0c

작성자: 무르만스크

조회: 3209 추천: 7

작성일: 2021-02-09 15:13:59


2008년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는 영국의 트라팔가 원잠의 함교탑 부분에 기존 잠수함들에서

보지 못했던 장비들이 장착되어 있는것이 목격 되었습니다.

 

 

 

 

 

 

 



함교탑의 앞부분과 우측 두군데에 탐침봉 비슷한 형태로 장착되어진

장비는 기존의 서방측 잠수함들에서 보지 못했던 장비였죠.

 

알려진 바로는 비음향 탐지센서라고 합니다. 이 센서는 해수의 성분과 염도, 탁도, 밀도

염록소 수준, 산소 수준, 화학성분 방사능 등을 탐지할수 있다고 하네요.

 

잠수함의 안정적인 운용에 있어 해역의 염도나 산소 수준 화학 성분 등은

매우 중요합니다.

극단적인 예로 특정 해역에선 염도와 산소 수준에 따라 평소대로 잠망경 심도를 잡았는데

물위로 부상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하네요.

 

 

 



최근들어 인도네시아 근해에서 중국의 좌초된 무인잠수 드론이 많이 발견되는데 이 드론들의 임무는

인니 영해와 근해의 해수 성분들의 데이터를 모선에 보내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미리 해당 해역의 해수상태를 데이터화 해서 유사시나 은밀히 중국이 인니 근해에서 잠수함 운용을 할때

이용하겠다는 것이죠.

 

 

 

10년이 지나 2019년 트라팔가급 2번함 탈렌트함이 지브롤터를 지나가는 모습중에

트라팔가급과는 다른 형태의 센서가 목격됩니다.

 



트라팔가급처럼 함교탑에 설치된 센서가 아닌 함수부에 설치되어 있었습니다

 

 

 

 


마찬가지 비음향 탐지센서로 추측되었죠.

 

그리고 2021년에 지브롤터에서 다시 찍힌 탈렌트 함이 목격되었는데 함수쪽

센서 외에도

 

 





함교탑 양측에 센서가 추가 설치 되어 있는것이 목격되었습니다.

불과 1년 사이에 추가 설치가 이루어 졌죠.

 

2009년의 간략한 센서에서 2021년 센서의 설치 개소가 늘어난 이유는

2009년의 비음향 탐지센서는 단순히 해수의 염도 밀도 화학성분등을

탐지하는 센서였는데.. 탐지기술과 분석, 분해기술의 비약적 발전으로

이젠 단순 해수성분 탐지센서가 아닌 잠수함을 탐지하는 장치로 쓰이게 됐기 때문이라

합니다.

 

 

 

 



그간의 기술적 발달로 이전의 해수의 밀도와 화학성분을 탐지하는 수준에서 현재는 잠수함이나 인공물체가

지나간 항적에서 부식이나 코팅제 이탈로 인한 미량의 부산물을 탐지하고 이를 데이터로 만들어 판독해 예전

잠수함의 특정 프로펠러 음문을 기록해 어떤 잠수함인지 알아낸것 처럼 특정 잠수함을 특정해 낼수 있는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적 잠수함이 지나갔을때 수중에 남기는 미세한 화학물질이나 원잠같은 경우는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고유의 방사능 수치 증가를 남기는데 이런 세밀한 부분까지 탐지 기록해 적 잠수함을 특정하고

추적할수 있다고 합니다.

 

기존의 소나는 음파를 방사하거나 탐지하여 적 잠수함을 식별 추적했기 때문에

음파를 방사할 경우 방사한 자함의 위치를 드러내기 때문에 위험하고

음파를 탐지하는 경우는 현대의 잠수함들의 소음 수준이 매우 낮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점점 어려워 지고 있고 해양환경에 의한 음파굴절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비음향 탐지센서를 통해 적 잠수함을 특정하고 추적하게 되면 음파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자신의 위치를 드러내지도 않고 아무리 조용한 잠수함도 부식물이나 고유의 화학적 부산물을 항적에 남기기 때문에 소위 저소음의 스텔스 잠수함도 특정 탐지할수 있다고 합니다.

 

지브롤터를 지나가는 트라팔가나 탈렌트 함에서 비음향 탐지센서가 목격되는 이유는

지브롤터 근해와 북해쪽에서 러시아 잠수함들의 활동이 매우 활발하기 때문에

영국의 원잠들이 비음향 센서의 성능을 매우 쉽게 테스트 할수 있기 때문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항적을 추적하는 방법은 완전 새로운 방법은 아니죠.

 



이미 항공모함 같이 거대한 항적을 남기는 수상함의

기포를 추적해 격침시키는 웨이크 호밍 어뢰는 오래전부터 나와 있었습니다.

하지만 아직 잠수함을 추적하는 웨이크 호밍어뢰는 개발 시도는 있었지만

실전배치된적은 없죠. 그리고 기포를 추적하는것과 미세 부산물이나 화학성분을

탐지 식별한다는 것도 다릅니다.

 

 

 

 



비음향 탐지기의 선도개발 국가는 구소련 이라고 합니다.

함교탑 부분에 둥근 센서들이 구소련의 초기 비음향 탐지센서입니다.

소련에선 이를 SOK라고 불렀습니다.

미국의 기밀해제된 문서들에서 1969년부터 구소련의 SOK 탐지센서

개발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왔다고 하네요.

 

하지만 1970년대 미국 정보기관은 소련의 비음향 탐지센서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고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판단했습니다. 1990년대 까지 소련의 SOK에 대한 언급이 많이

나오고 있으나 유체역학상 잠수함 후류에 의해 특정될수 있을만큼의 부산물들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하네요.

 

그리고 미국의 경우 소나 성능에 만족하고 있었던지라 비음향 탐지기에 대한연구도

있긴 했지만 잠수함에 적용될 만큼 본격적으로 이루어 지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소련의 경우 계속 SOK 비음향 탐지기에 대한 연구를 계속했고 1990년대 아쿨라급 초기형에도

장착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최근까지 러시아의 원잠들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최근 발전된 컴퓨터 시스템을 활용한 분석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러시아의 비음향 탐지기 SOK도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으리라 예상되고

미국 DARPA와 중국해군도 비음향 센서를 소나의 대안으로써

미래의 잠수함 탐지체계로 평가하고 있다 하네요.

 

 

 

 



영화 붉은 10월에선 소련의 무음항해 스텔스 잠수함이 등장합니다.

영화에서 기존의 잠수함 방사소음에 비해 너무 미약하기 때문에

지진파 측정기로 그 존재를 알아채는 장면이 나오죠

 

미국 DARPA의 관계자는 농담식으로 비음향 탐지센서의 발전으로

이젠 붉은 10월의 이론상 완전 무음항해 잠수함도 탐지 추적이 가능할수 있게

되는 날이 곧 오게 될거라 하네요.

 

 

한국이 아직 잠수함 기술을 선도하는 국가는 아니지만 비음향 탐지센서도

어느정도 연구를 시작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런 민감한 기술은

현재 돈주면 살수있는 잠수함 소나처럼 살수있지 않을 테니까요.

먼훗날 많은 국가들이 장비하게 되면 수출시장에도 나오겠지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