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사히급 호위함

균형과 합리적인 성능을 추구하는 실속파 대잠 호위함

0 2
우현으로 선회하는 아사히급 호위함 <출처 : 해상자위대>


개발 과정

해상자위대 창설 이후 가장 중요한 임무는 소련 해군의 잠수함 전력에 대응하는 것이었다. 2차 대전을 거치면서 소련 해군의 잠수함 전력은 규모가 증가하였다. 소련 해군은 지상군의 작전을 지원하는 역할이 중요하였기 때문에 방어적인 임무에 치중하였다. 이러한 사정으로 소련 해군은 비대칭 전력인 잠수함 전력을 증강하였고 전쟁이 끝나자 서방국가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 실제로 2차 대전 역사에서 독일 해군의 잠수함(U 보트)에 비해서 소련 해군 잠수함의 존재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해상자위대는 1954년 창설 이후 강력한 대잠 전력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소련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 전력에 대응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2차 대전 당시 일본 해군이 겪은 교훈도 적지 않게 작용하였다. 1944년 6월에 벌어진 필리핀 해전에서 대패하면서 사실상 해군 전력이 무너진 일본은 이후 미 해군의 작전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었다. 특히 대잠 전력이 부족해지면서 미 해군의 잠수함이 일본 근해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없었다. 이러한 대잠 전력의 공백으로 인해 기지에서 출항하는 군함의 행동이 그대로 노출되면서 항해 중에 격침되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야마토(大和) 전함이나 시나노(信濃) 항공모함의 침몰이 이러한 사례에 속한다.

8․8함대의 대잠 전력의 중심을 담당한 하츠유키급 범용 호위함 <출처 : 해상자위대>

1950년대 후반에 소련 해군이 보유한 잠수함은 대부분 재래식 잠수함이었다. 재래식 잠수함은 축전지가 방전되면 수면으로 부상해야 한다. 이러한 잠항시간의 제약을 이용하여 잠수함을 탐지하기 위해 해상자위대는 미 해군의 자문을 얻어 함정과 항공기를 결합한 입체적인 전력을 단계적으로 건설하였다. 해상자위대 창설 이래 미 해군은 대잠작전에 필요한 함정, 항공기, 장비 등을 적극 지원하였다.

해상자위대는 창설 초기부터 선단을 호위하고 항로를 보호할 수 있는 기동함대를 건설하는데 힘썼다. 호위함(護衛艦)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호위함대(護衛艦隊)는 적의 위협에 대응하여 신속하게 탐지․추적할 수 있는 함대를 의미한다. 해상자위대의 8․8함대는 이러한 개념을 그대로 반영한 핵심전력이다. 8․8함대는 8척의 호위함과 8대의 헬기를 의미하며, 해상자위대는 현재 4개의 호위대군(護衛隊群)으로 편성된 32척 규모의 호위함대를 보유하고 있다. 호위대군은 헬기탑재 호위함(DDH) 1척, 대공 호위함(DDG) 2척, 범용 호위함(DD) 5척 등 모두 8척의 호위함으로 구성된다. 8․8함대에서 가장 중요한 전력은 본래의 주 임무인 대잠 작전을 담당하는 범용 호위함이다.

하츠유키급을 대체하는 무라사메급은 예산문제로 충분한 수량이 건조되지 못하였다. <출처 : 해상자위대>
함포와 폭뢰에 의존하였던 구형 호위함을 대체하면서 1982년부터 취역한 하츠유키(はつゆき)급은 8․8함대 체제를 완성한 범용 호위함이다. 이전 구형 호위함과 달리 RIM-7 시 스패로우(Sea Sparrow)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한 하츠유키급은 개함(個艦) 방공이 가능한 수상 전투함으로 가치가 높다. HSS-1 대잠헬기를 고정으로 탑재하는 하츠유키급은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최초로 올 가스터빈 엔진을 탑재한 점도 특징이다. 하츠유키급은 1982년부터 12척이 취역하였고, 개량형인 아사기리(あさぎり)급은 1988년부터 8척이 취역하여 8․8함대에 필요한 20척의 범용 호위함 체제가 완성되었다. 1982년부터 1991년까지 불과 10년 만에 20척의 호위함을 연속으로 건조하여 실전에 배치한 점은 해상자위대가 8․8함대 체제를 완성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였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무라사메급에 이어 등장한 아키즈키급은 지나친 대공방어 능력을 갖추면서 건조비용이 크게 상승하였다. <출처 : 해상자위대>
해상자위대는 하츠유키급, 아사기리급에 이어 1996년부터 무라사메(むらさめ)급 9척, 다카나미(たかなみ)급 5척을 건조하였다. 그러나 성능이 점차 높아지면서 호위함의 건조 비용은 급속하게 증가하였고,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기 힘들게 되었다. 이에 따라 20척의 하츠유키급, 아사기리급을 모두 대체하는 사업은 예산의 확보 문제로 신속한 진행이 어려웠다. 이러한 사정으로 20척의 범용 호위함을 신조함으로 대체하는 사업은 한 번에 추진되지 못하고 4번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해상자위대는 무라사메급, 다카나미급 14척을 확보하여 일단 급한 대로 노후 호위함을 대체하였다. 그리고 6척의 범용 호위함의 건조를 추진하면서 해상자위대는 점차 높아지는 대공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대공 호위함(DDG)의 함대방공에만 의존하지 말고 개함(個艦) 방공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자국산 FCS-3 대공전투체계를 탑재하여 방공능력을 높인 호위함이 바로 아키즈키(あきづき)급이다. 아키즈키급은 2007년부터 예산이 배정되어 2014년까지 모두 4척이 건조되었다.
아사히급은 성능에 지나친 욕심을 가졌단 아키즈키급의 시행 착오를 보완하는데 중점을 두고 건조되었다. <출처 : 해상자위대>
4척의 아키즈키급이 취역하면서 해상자위대의 8․8함대의 범용 호위함 20척 중에서 18척이 신형 호위함으로 교체되었다. 그리고 남은 2척의 노후 호위함을 교체하기 위해 아키즈키급을 개량하여 등장한 5,000톤급 범용 호위함이 바로 아사히(あさひ)급이다. 개함 방공능력이 높아진 아키즈키급이라고 해도 범용 호위함의 본래 임무는 대잠작전이다. 대잠작전은 음향탐지 성능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아시히급은 전기추진방식을 도입하여 자체 소음을 줄이고 탐지센서를 교체하여 대잠작전 능력을 크게 높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아사히급은 2018년, 2019년에 각각 준공되어 해상자위대의 호위함대에 취역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해상자위대의 가장 큰 숙원사업이었던 20척의 노후 범용 호위함 교체사업이 마무리되었다.


특징

선체

아사히급은 앞서 취역한 아키즈키급의 평갑판 선형을 이어받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OPY-1 다기능 평면 위상배열 안테나를 함교 주위에 집중적으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미 해군의 알레이 버크(Arleigh Burke)급 이지스 구축함과 비슷한 인상을 준다. 이러한 안테나 배치의 변경으로 인하여 상부 구조물이 간소하게 변경되어 건조비용이 절감되었으며, 외형적으로도 깔끔한 인상을 준다. 상부 구조물은 아키즈키급처럼 스텔스(stealth) 개념을 적용하고 있다.

정면에서 바라 본 아사히급은 방공 전투함의 이미지가 강하다. <출처 : 해상자위대>

해상자위대는 예전부터 갑판의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평갑판 선형을 선호한다. 무라사메급, 다카나미급을 대폭 개량한 아키즈키급은 성능이 향상됨에 따라 건조비용이 대폭 증가하였다. 이러한 사정으로 해상자위대는 아사히급을 건조하면서 성능보다는 건조비용을 줄이는데 노력하였다. 이에 따라 탑재장비를 간략화하고 향후 성능개량을 할 수 있는 여유를 설계에 반영하였다.


기관

아사히급은 해상자위대의 호위함 최초로 가스터빈과 전기추진을 결합한 COGLAG(COmbined Gas turbine eLectric And Gas turbine)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 방식은 하이브리드 추진방식으로 저속으로 항해할 때는 가스터빈 엔진으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방식으로 추진한다. 반면에 고속으로 항해할 때는 가스터빈 엔진으로 직접 추진축을 구동한다. 이 방식은 기계적으로 복잡하지만 연비가 높고 수명주기비용(LCC, Life Cycle Cost)이 절감되는 효과가 크다고 한다.

LM2500 가스터빈 엔진은 대표적인 군함용 추진기관이다. <출처 : GE>

가스터빈 엔진은 베스트셀러인 LM2500IEC 기종을 탑재한다. 이 엔진은 이즈모급 헬기탑재 호위함에도 탑재된 엔진이다. 고속항해용 LM2500IEC 가스터빈 엔진과 별도로 저속항해용 가스터빈 엔진 발전기 2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함내 전력 공급용으로 디젤발전기 1대가 설치되어 있다. 가스터빈 및 디젤 발전기는 서로 용도가 다르지만 통합 배전을 거치기 때문에 어느 하나가 고장이 날 경우 대체할 수 있다.


전투체계

함교 상단의 앞쪽으로 설치된 OPY-1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 <출처 : Hunini at wikimedia.org>
아사히급은 앞서 아키즈키급에 탑재한 OYQ-11 지휘통제체계를 개량한 OYQ-13을 탑재한다. 일본에서 개발하였다고 하여도 OYQ-11은 미국제 구성품이 일부 포함되어 있었지만, OYQ-13의 경우에는 일본산 구성품으로 대체되었다. 지휘통제체계와 더불어 중요한 OYQ-51 통신체계도 성능이 개량되었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이터링크(Link-11, Link-16), 위성통신장비도 모두 갖추어져 있다.
함교 뒷부분에 설치된 OPY-1 다기능 레이더 안테나의 위치는 아사히급의 독특한 특징이다. <출처 : Hunini at wikimedia.org>

대공방어를 담당하는 FCS-3A 대공 전투체계는 아키즈키급보다 기능이 축소되었다. 아키즈키급은 자함과 함께 동행하는 다른 전투함까지 대공방어를 담당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시스템이 간략화된 아사히급은 자함의 대공방어만 가능하다. 4개의 OPY-1 다기능 평면 위상배열 안테나는 360도 전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미사일

RIM-162 ESSM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 <출처 : 미 해군>
대공 전투의 핵심 무장은 RIM-162B ESSM(Evolved Sea Sparrow Missile) 단거리 함대공 미사일이다. ESSM은 함수에 있는 Mk.41 Mod.29 수직발사기(VLS)에서 발사된다. 수직발사기는 모두 32 셀(cell)이 설치되어 있으며, ESSM과 대잠로켓을 모두 발사할 수 있다. 함대함 미사일은 일본에서 자체개발한 90식 함대함 미사일(SSM-1B)을 4연장 발사관에 탑재한다.
90식 함대함 미사일이 격납된 원형 발사관 <출처 : Hunini at wikimedia.org>



함포

함수에는 Mk.45 Mod.4 62구경 5인치 함포가 탑재되어 있다. <출처 : Hunini at wikimedia.org>
아사히급은 함수에 1문의 5인치(127 mm) 함포를 탑재하며 분당 발사속도는 20발이다. Mk.45 Mod.4 62구경 5인치 단장 함포는 모든 사격과정이 자동화되어 있다. 함포의 사격통제는 대공용 FCS-3A 전투체계를 활용한다. 근접한 대함미사일은 Mk.15 페일랭스(Phalanx) 블록(Block) 1B 20 mm CIWS 2문으로 대응한다.
함교 앞쪽에 설치된 Mk.15 근접방어용 20 mm 기관포 <출처 : Hunini at wikimedia.org>



대잠 무장

일본에서 자체 개발한 07식 수직발사 대잠로켓 <출처 : 일본 방위장비청>

8․8함대의 중심 전력인 범용 호위함의 주 임무는 대잠 작전이다. 아사히급의 함수에 탑재된 소나(sonar)는 아키즈키급의 OQQ-22에서 OQQ-24로 개량되었다. 한편 함미에는 견인식 소나인 OQR-4 TACTAS(TACtical Towed Array System)을 탑재한다. 아사히급은 전기방식을 도입하면서 소음이 줄어들어 대잠 탐지성능이 크게 향상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잠수함 공격 무장으로 하츠유키급, 아사기리급에 탑재한 미국제 ASROC(Anti-Submarine ROCket)과 더불어 자국산 07식 대잠로켓을 Mk.41 수직발사기(VLS)에 탑재한다. 단거리 공격에는 68식 3연장 324 mm 어뢰발사관에서 발사하는 97식 경어뢰, 12식 경어뢰를 사용한다.


대잠 헬기

아사히급은 SH-60K 대잠헬기를 항상 탑재한다. <출처 : 해상자위대>
아사히급은 헬기격납고에 1대의 SH-60K 대잠헬기를 상시 탑재한다. 헬기 격납고에는 최대 2대까지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지만 일반적으로 1대만 탑재하며, 이동용 레일도 아키즈키급과 달리 하나만 설치되어 있다.
해상자위대의 주력 대잠헬기인 SH-60K <출처 : 해상자위대>

동급함(아사히급 2척)
아사히급의 선도함인 아사히(DD-119)함 <출처 : 해상자위대>
함번

함명

착공

진수

취역

건조

비고

DD-119

아시히(あさひ)

2015.5.19

2016.10.19

2018.3.7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조선소

현역

DD-120

시라누이(しらぬい)

2016.5.20

2017.10.12

2019.2.27

미쓰비시중공업 나가사키조선소

현역


아사히급의 2번함이자 최종함인 시라누이(DD-120)함 <출처 : 해상자위대>

운용 현황
아사히급은 저속으로 항해할 때 전기추진방식을 사용한다. <출처 : 해상자위대>
해상자위대가 보유한 20척의 범용 호위함 중에서 가장 최신함인 아사히급은 2015년에 건조가 시작되었다. 모두 2척이 건조되어 2018년, 2019년에 취역하였다. 현재 아시히급은 호위함대 산하 제2, 제3호위대군에 1척씩 배속되어있다. 아시히급이 취역하면서 1980년대부터 취역한 8․8함대 범용 호위함의 세대 교체가 완료되었다.
유도를 받아 착함하는 SH-60K 대잠헬기 <출처 : 해상자위대>


제원

함명 : 아사히급
함종 : 범용호위함(DD)
표준배수량 : 5,100 톤
만재배수량 : 6,800 톤
전장 : 151.0 m
전폭 : 18.3 m
흘수 : 5.4 m
주기관 : COGLAG, IHI-GE KM2500 × 2(65,000 마력), 2축 추진
최대속도 : 30 kt
승조원 : 230명
무장(미사일) : Mk.41 Mod.29 수직발사기 × 1(32 cell)
                       RIM-162B ESSM 공대함 미사일
                       90식 함대함 미사일 4연장 발사관 × 2
무장(함포) : Mk.45 Mod.4 5인치(127 mm)/62 함포 × 1, 20 mm 팰랭크스 블록 1B CIWS × 2
무장(어뢰) : 07식 대잠로켓, 68식 3연장 경어뢰 발사관 × 2
방어체계 : Mk.36 SRBOC × 4, 4식 견인식 어뢰기만기
ESM/ECM : NOLQ-3D
레이더 : OPY-1 다기능 대공탐색 레이더, OPS-48 대해상 탐색 레이더, OPS-20C 항해 레이더
소나 : OQQ-24 통합형 소나체계, OQR-4 TACTAS
헬기 : SH-60K 대잠헬기 × 1


저자 소개

이재필 | 군사 저술가 

항공 및 방위산업 분야에 대한 깊은 관심과 실무적 경험을 바탕으로, 군용기와 민항기를 모두 포함한 항공산업의 발전과 역사, 그리고 해군 함정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국내 여러 매체에 방산과 항공 관련 원고를 기고하고 있다.


+ Recent posts